-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스마트폰 중독이 인간관계에 끼치는 영향
2018년 02월 21일우리는
호모 모빌리쿠스(Home Mobilicus)다.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과 함께 있다.
호모 모빌리쿠스(Home Mobilicus)다.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과 함께 있다.
하지만 터치 한 번으로
전세계 누구나 만날 수 있는 스마트폰은
거꾸로 가까운 사람들과는 멀어지게 만든다.
전세계 누구나 만날 수 있는 스마트폰은
거꾸로 가까운 사람들과는 멀어지게 만든다.
그래서 나온 말이 퓨빙(phubbing).
스마트폰에 빠져 가족, 친구 등 주변인을 무시하는 현상이다.
스마트폰에 빠져 가족, 친구 등 주변인을 무시하는 현상이다.
phubbing=phone(스마트폰)+snubbing(무시하다)
퓨빙은 인간관계에 악영향을 끼친다.
최근 영국 더비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는
이를 잘 보여준다.
최근 영국 더비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는
이를 잘 보여준다.
60%
“스마트폰이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스마트폰이 인간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가장 친밀해야 할 커플에게도 치명적이다.
미 베일러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 커플의 70%가
“퓨빙 때문에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변했다.
“퓨빙 때문에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변했다.
이런 경향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30.3%, 유아동의 19.1%가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30.3%, 유아동의 19.1%가
스마트폰 과의존위험군에 해당한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의 주 원인으로
게임, 동영상 시청 등을 지목한 연구 결과는
소통보다 혼자 즐기는 데
스마트폰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게임, 동영상 시청 등을 지목한 연구 결과는
소통보다 혼자 즐기는 데
스마트폰을 주로 사용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능력 점수가 낮았다.
-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김인경, 박상욱, 최혜미)
그렇다면 이대로 우리 미래에서
인간관계는 없어지는 것일까?
인간관계는 없어지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모든 일엔 명암이 있는 법.
의외로 스마트폰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통신 기술은 인간관계의 지속성과 접근성을 더 높여준다.”
-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문: 키스 N. 햄튼(럿거스대 교수)
- 월스트리트저널 기고문: 키스 N. 햄튼(럿거스대 교수)
최근 미국 성인 2,25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0%가 “관련 기술이 인간관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10%가 “관련 기술이 인간관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그 중 74%는 긍정적인 영향이라 밝혔다.
41% “친근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됐다”
23% “다툼 해결에 도움이 됐다”
- 퓨 인터넷&아메리칸 라이프 프로젝트 보고서
23% “다툼 해결에 도움이 됐다”
- 퓨 인터넷&아메리칸 라이프 프로젝트 보고서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분석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 사용은 긍정적,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스마트폰 사용은 긍정적, 부정적인 결과를
모두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사소통’, ‘소외감 및 화(angry) 해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김혜순, 변상해)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김혜순, 변상해)
같은 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과 인간관계도 마찬가지.
무작정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시각은 잠시 거두자.
이제 호모 모빌리쿠스 시대에 걸맞는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때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스마트폰 중독이 인간관계에 끼치는 영향
- 같은 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과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무작정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시각은 잠시 거두자. 이제 호모 모빌리쿠스 시대에 걸맞는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