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앨버트로스는 어떻게 천리를 날 수 있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1696호 2012년 09월 17일
지구상에서 날 수 있는 가장 큰 새로 꼽히는 앨버트로스(albatrosses)는 활짝 편 날개 길이가 3.7m, 몸무게는 8~10kg이나 된다. 하지만 날개 짓 없이 우아하게 활공한다. 최근 과학자들이 앨버트로스의 몸에 GPS를 달아 아름답게 활공할 수 있는 이유를 알아냈다.
독일 뮌헨대 요한 트라우고트 박사팀은 남인도제도 케르겔렌 제도에 서식하는 앨버트로스 16마리의 몸에 100g짜리 GPS를 달고 석 달 동안 이들의 비행 정보를 기록했다. 이 정보를 분석한 결과, 4가지 비행 방식이 15초를 주기로 반복됐다.
먼저 해수면 가까이에서 날다가 갑자기 바람 속으로 가로질러 들어간다. 이후 급상승해 고도를 최고 15m까지 올린다. 이 높이에서 바람이 부는 쪽으로 몸을 돌리면서 바람에 몸을 싣는다. 그 다음 다시 올라가야 할 때까지 특별한 힘을 들이지 않고 미끄러지듯 활공한다. 이렇게 급격히 상승해 바람의 방향에 맞춰 몸을 싣는 4가지 비행 단계는 ‘급상승 역학(dynamic soaring)’이라 불린다. 앨버트로스는 이 기술을 통해 크게 노력하지 않고도 바람의 힘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오랫동안 날 수 있다.
또한 양쪽 어깨에 있는 힘줄은 날개를 단단하게 잡아줘 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항공기의 고정된 날개와 같은 효과를 준다.
독일 뮌헨대 요한 트라우고트 박사팀은 남인도제도 케르겔렌 제도에 서식하는 앨버트로스 16마리의 몸에 100g짜리 GPS를 달고 석 달 동안 이들의 비행 정보를 기록했다. 이 정보를 분석한 결과, 4가지 비행 방식이 15초를 주기로 반복됐다.
먼저 해수면 가까이에서 날다가 갑자기 바람 속으로 가로질러 들어간다. 이후 급상승해 고도를 최고 15m까지 올린다. 이 높이에서 바람이 부는 쪽으로 몸을 돌리면서 바람에 몸을 싣는다. 그 다음 다시 올라가야 할 때까지 특별한 힘을 들이지 않고 미끄러지듯 활공한다. 이렇게 급격히 상승해 바람의 방향에 맞춰 몸을 싣는 4가지 비행 단계는 ‘급상승 역학(dynamic soaring)’이라 불린다. 앨버트로스는 이 기술을 통해 크게 노력하지 않고도 바람의 힘을 효과적으로 이용해 오랫동안 날 수 있다.
또한 양쪽 어깨에 있는 힘줄은 날개를 단단하게 잡아줘 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항공기의 고정된 날개와 같은 효과를 준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
큰 몸을 날개해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네요.
2012-11-2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