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여름 필수품 선크림… 산호 세포 파괴하는 ‘독’
2022년 06월 27일1
여름 필수품 선크림…
산호 세포 파괴하는 ‘독’
여름 필수품 선크림…
산호 세포 파괴하는 ‘독’
2
여름이다.
코로나19의 맹위도 한풀 꺾여
많은 사람들이 여름 휴가를 기다리고 있다.
여름이다.
코로나19의 맹위도 한풀 꺾여
많은 사람들이 여름 휴가를 기다리고 있다.
조만간 바캉스를 즐기기 위한 인파가
전 세계 휴가지를 뒤덮을 예정이다.
전 세계 휴가지를 뒤덮을 예정이다.
3
그런데 이러한 사람들의 방문이
그리 달갑지 않은 존재가 있다.
그리 달갑지 않은 존재가 있다.
해양 생태계의 한 축인 산호가 그 주인공.
사람들이 바르는 선크림 때문에
하루하루 죽어가고 있다.
사람들이 바르는 선크림 때문에
하루하루 죽어가고 있다.
4
선크림의 성분인 ‘옥시벤존’이 산호를 위협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연구로 밝혀진 바 있다.
선크림의 성분인 ‘옥시벤존’이 산호를 위협한다는 사실은
이미 지난 연구로 밝혀진 바 있다.
때문에 하와이, 팔라우, 태국 등 세계 각지에서는
문제의 성분이 함유된 선크림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문제의 성분이 함유된 선크림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다만 산호가 피해를 입는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해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었다.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해선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었다.
5
최근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옥시벤존이 산호에 영향을 끼치는 메커니즘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최근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옥시벤존이 산호에 영향을 끼치는 메커니즘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산호와 유사한 말미잘을
크게 세 분류로 나눴다.
자외선(UV)과 옥시벤존(oxy)의 유무가
구별기준이었다.
크게 세 분류로 나눴다.
자외선(UV)과 옥시벤존(oxy)의 유무가
구별기준이었다.
6
그 결과 자외선(UV)과 옥시벤존(oxy)을 모두 경험한
말미잘은 17일 내로 모두 죽었으나,
그렇지 않은 말미잘은 생존할 수 있었다.
결국 자외선(UV)과 옥시벤존(oxy)이 만나면
말미잘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말미잘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7
옥시벤존은 원래 자외선을 흡수해
열로 방출하며 피부를 보호하는 성분이다.
그런데 말미잘의 대사과정 도중 생기는 포도당과 만나면
독성물질로 바뀐다.
독성물질로 바뀐다.
흡수한 빛에너지를 발산하며
주변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주변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다.
8
그나마 평소에는 산호가
독성물질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그나마 평소에는 산호가
독성물질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산호와 공생하는 미생물들이
내부에 독소를 품어 보호해주기 때문이다.
내부에 독소를 품어 보호해주기 때문이다.
9
하지만 수온 변화로 백화현상이 생긴다면?
하지만 수온 변화로 백화현상이 생긴다면?
스트레스로 공생조류들을 쫓아내 하얗게 된 산호는
독성물질로 인해 더 빨리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다.
독성물질로 인해 더 빨리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다.
10
이에 옥시벤존이 첨가되지 않은
친환경 선크림이 대안으로 나오고 있다.
이에 옥시벤존이 첨가되지 않은
친환경 선크림이 대안으로 나오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을 차단하는 다른 화학성분들 역시
옥시벤존과 비슷한 구조를 지녔다는 문제가 있다.
옥시벤존과 비슷한 구조를 지녔다는 문제가 있다.
11
그렇다면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등 무기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선크림은 어떨까.
그렇다면 유기화합물을 배제하고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등 무기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선크림은 어떨까.
화학적 방식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자외선을 산란시켜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자외선을 산란시켜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12
다만 이 역시 산호에 끼치는 영향이
100% 안전한지는 검증되지 않았다.
다만 이 역시 산호에 끼치는 영향이
100% 안전한지는 검증되지 않았다.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등
인체에 유해하다는 논란 역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인체에 유해하다는 논란 역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13
미 국립공원관리청은
매년 미국 해안을 거치는 선크림이 무려
6천 톤에 달한다고 밝혔다.
미 국립공원관리청은
매년 미국 해안을 거치는 선크림이 무려
6천 톤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구에서 가장 큰 생물이라는
대왕고래 50마리에 해당하는 양이다.
대왕고래 50마리에 해당하는 양이다.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은 선크림이
바다를 오염시킬지 두려울 정도.
바다를 오염시킬지 두려울 정도.
14
여기에 온난화로 인한 백화현상은
선크림에 대한 산호의 저항력을 상실하게 만든다.
여기에 온난화로 인한 백화현상은
선크림에 대한 산호의 저항력을 상실하게 만든다.
결국 산호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진정한 친환경 선크림 개발이 시급한 상황.
진정한 친환경 선크림 개발이 시급한 상황.
옥시벤존의 산호 파괴 메커니즘을 밝힌 이번 연구가
그 신호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 신호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암컷 개구리, 짝짓기하기 싫어 사망? ‘죽은 척’ 동물 주연상은 누구일까?
- 오는 11월 15일에는 국내 영화의 1년을 결산하는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이 열린다. 대종상을 비롯한 영화 시상식에서는 최고의 연기자를 뽑는 주연상이 매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는다. 이러한 명연기는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연에서도 수많은 무명 배우가 자신만의 연기력을 뽐내고 있다. 이들의 특기는 바로, ‘죽은 척’이다. 첫 번째 후보는 암컷 유...
선크림이 바다에 이런 영향을 주는지 첨 알았어요..... ㅠㅠ
인간의 편의성의 댓가가 자연에게 피해를 주니 정말 안타깝네요
2022-06-29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