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영원한 줄 알았던 과불화화합물, 분해방법 찾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785호 2022년 09월 12일물건이 제 기능을 하려면 때때로 ‘코팅’이 필요하다. 원치 않는 물질의 침입을 막기 위해 겉면을 얇은 막으로 덮는 작업이다. 예컨대 방수의류·종이컵·소방용품은 물을, 프라이팬은 기름을 차단하기 위해 코팅되는데 이때 코팅제로 널리 쓰이는 물질이 바로 ‘과불화화합물(PFAS)’이다.
과불화화합물은 과불화옥탄산(PFOA),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등을 포함하는 인공 화학물질 군으로, 지난 1947년 미국의 다국적 제조기업 3M이 처음 생산했다. ‘소수성’과 ‘소유성’을 띠는 특성을 지녀 물과 기름 모두와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반도체·살충제·페인트·포장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돼 왔다.
또 과불화화합물은 매우 안정적이다. 주성분인 탄소(C)와 불소(F)의 결합이 강력해 분해하려면 높게는 1000℃의 고온과 고압에서 소각해야 한다. 소각할 때 일부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므로 사실 완벽히 분해되는 것도 아니다. 과불화화합물이 ‘영원한 화학물질(forever chemicals)’로 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안정성은 과불화화합물의 유용성을 퇴색시킨다. 자연 분해되지 않아 자연에 장기간 머물면서 생물체에 축적되는데, 사람의 몸에 쌓이면 암이나 생식기능 저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사람의 체내에서 PFOA와 PFOS의 반감기(양이 절반이 되는 데 걸리는 시간)는 3.5~4년으로 체류 시간도 길다. 환경과 건강을 위해 과불화화합물을 ‘퇴치’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을까?
'과불화 화합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갑상선 질환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유방암
간손상
신장암
궤양성 대장염
고환암
임신성 고혈압:임신 전 증후군
태아에 미치는 영향
유선 발달 지연
백신에 대한 반응 감소
저체중아
비만
조기 사춘기 시작
유산 위험 증가
정자수 및 이동성 감소
sources: US National Tocicology Program,(2016); C8 Health Project Reposrts,(2012);
WHO IARC,(2017); Fenton et al.,(2009); and White et al.,(2011).
환경운동연합 로고
과불화화합물의 약점 발견
일부 선진국에서는 사용을 규제·금지하는 법규를 제정하거나 이를 대체할 친환경 화학물질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 그런데 최근 과불화화합물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분해했다는 연구가 발표돼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연구팀은 지난 8월 18일 PFAS를 일반적인 용매로 분해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PFAS 내 탄소-불소 결합을 끊는 대신 아킬레스건을 찔러 전체를 무너뜨리는 방법을 택했다. PFAS의 결합 사슬 한쪽 끝에 달린, 전하를 띈 산소 원자 그룹을 먼저 공략한 것이다. 연구팀은 PFAS를 유기성 액체 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비누에 포함된 성분인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해 80~120℃ 온도로 가열했다.
그림 3. PFAS의 구조. PFAS는 불소(F)와 탄소(C)가 강하게 결합된 구조다. 연구팀은 이 강한 결합 대신 산소 원자를 공략해 분해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출처: 3M)
그 결과 산소 원자 그룹이 떨어져 나가면서 결합 사슬에서 불소가 이탈하기 시작했고, PFAS가 상대적으로 무해한 물질인 탄소와 무기불화물로 분해됐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이용해 총 10종의 과물화화합물을 분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PFAS를 분해하려면 최대 400℃가 넘는 고온에서 소각하거나 전기화학적 분해, 초음파 처리 등 복잡한 방법을 활용해야 했는데, 이 방법을 통해 까다롭지 않은 조건과 평범한 시약으로 분해했다”라고 설명했다.
아직 1만1990종 남았다
과불화화합물의 약점이 발견된 건 반갑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이 확인한 PFAS의 종류만 1만2000종이 넘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분리한 것은 이중 0.08%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또한 폐기물 처리에서 DMSO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DMSO 자체도 하수구에 버릴 수 없어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다는 게 근거다.
하지만 연구팀은 벅찬 작업이지만 희망적이라고 전했다. 연구에 참여한 윌리엄 디첼 노스웨스턴대 화학과 교수는 "이번에 확인한 ‘아킬레스건’을 지니고 있지 않은 PFAS도 있겠지만, 그들도 고유의 약점이 있을 것"이라며 “약점을 식별할 수 있다면 그 물질의 분해를 활성화하는 방법도 알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향후 식수에 포함된 PFAS를 여과하면서 분해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영국 왕립화학회 소속이자 화학 정책 담당자인 카밀리아 알렉산더-화이트 박사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저비용으로 PFAS를 분해할 수 있다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라고 연구를 좋게 평가하면서도 “규제 당국과 제조업체가 함께 PFAS 사용 중단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과불화화합물 분해법을 찾는 것 이전에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것이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더 빠른 길이라는 걸 명심하라는 뜻이다.
글: 김우현 과학칼럼니스트/ 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전 지구를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드디어 국내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스페이스X와 순조롭게 협의가 이뤄지면 다가오는 3월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과연 스타링크는 국...
-
-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 정말 효과 있을까?
- 자기 전에 스마트폰, 컴퓨터, 텔레비전, 태블릿 PC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 또 너무 오랜 시간 이런 디지털 기기를 보지 말라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됐다. 블루라이트 때문이다. 청색광이 수면을 방해하고 눈을 피로하게 하거나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것이 바로 블루라이트 차단 필터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블루라이...
ScienceON 관련논문
세계를 지배할 우리 대한민국이 더욱 분발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09-13
답글 0
고맙습니다. 아멘.
2022-09-12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