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왜 동물은 배가 터질 때까지 먹지 않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660호 2021년 07월 05일한 번쯤 그런 상상을 해보지 않는가? 포만감을 느끼지 못해서 먹고 먹고 또 먹다가 결국엔 배가 터져버리는 그런 상상 말이다. 하지만 자연계 어디를 둘러봐도 자기 배가 터질 때까지 음식을 섭취하는 동물은 없는 것 같다. 지극히 단순해 보이는 질문이지만 그전까지는 동물이 배가 터질 때까지 음식을 먹지 않는 생리학적 이유를 알지 못했다. 그런데 바로 그 이유를 한국의 과학자들이 찾아 냈다.
과식을 억제하는 신호
KAIST 생명과학과 서성배 교수 연구팀은 초파리 연구를 통해 과식을 방지하는 신경세포의 활성 조절을 발견했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렇다. 동물의 뇌 속에는 미각 신경이 생기기 아주 오래전부터 진화에 의해 영양분을 감지 신경세포들이 존재해왔다. 이를 ‘디에이치44(Diuretic Hormone 44, DH44)’ 신경세포라고 하는데, 이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초파리의 식사량이 증가한다. 이때 배가 부르면, 다시 말해 곧 몸 안에 당도가 높아지면 디에이치44 활성화를 억제하는 신호가 발생하고 이것이 음식물을 더 섭취하는 것을 막는다.
이번에 연구팀은 신경세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이 신호가 어디서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말단 장기들을 하나씩 하니씩 제거해 나갔다. 그 결과 초파리의 위에 해당하는 내장 부위와 척수에 해당하는 복부 신경중추에서 디에이치44 억제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찾아냈다.
사진 1. 복부 신경을 제거한 모기는 배가 터질 때까지 피를 빤다. (출처: 유튜브 캡처)
두 가지 신호가 과식을 억제한다
신호 발생 과정을 자세히 분석했더니 이 신호는 물리적 신호와 화학적 신호, 두 가지로 발생한다는 사실도 아울러 밝혀졌다. 디에이치44 신경세포는 내장 기관에 신경 가지를 뻗어 기관에 음식물이 차서 팽창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인지했다. 이 인지 현상은 ‘피에조 채널’을 통해 일어난다. 피에조 채널은 특정 세포나 조직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팽창을 감지할 수 있는 일종의 센서다.
피에조 채널을 통해 음식물을 섭취한 초파리 위의 물리적 팽창을 감지되고, 디에이치44 신경세포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추가 섭취를 막는다. 이는 물론 내장 기관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모기를 대상으로 피에조 채널을 교란시키자 모기가 인간의 피를 끝없이 빨아먹다 배가 터져버리기도 했다.
다른 신호는 화학적 신호로서 또 초파리의 복부 신경중추에서 발생한다. 이 신경중추에 있는 ‘후긴(Hugin)’이라는 신경세포는 몸 속 영양분의 농도가 높으면 디에이치44 신경세포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 역시 소화기관 같은 내장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과식 행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진 2. 초파리의 디에이치44 신경세포의 두 가지 억제신호에 대한 모식도 ⓒKAIST
이번 연구는 동물의 뇌 속에 존재하는 영양분 감지 신경세포가 다양한 신호전달 체계에 의해 작동된다는 것을 입증한 사례다. 물론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에 사람의 식이 와는 다르지만 식이장애 치료나 비만예방에 도움을 주는 연구의 단초가 될지도 모른다.
글: 정원호 과학칼럼니스트/일러스트: 이명헌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 인류 문명의 진보는 곧 데이터 저장장치의 진보이기도 하다. 아주 예전에는 수많은 서사와 지식․지혜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문화의 연속성을 유지시켰다. 이후 점토판․파피루스․양피지․죽간․종이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며 더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전달된 지식과 정보가 쌓여가며 인류는 찬란한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 디지...
-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2024년 한 해를 관통하는 기술을 꼽자면? 비록 과학을 잘 모를지라도 쏟아지는 뉴스와 콘텐츠를 통해 한 번쯤 들어봤을 OpenAI의 ‘챗GPT’가 가장 많은 이의 입에 오르내릴 것이다. 작년 말 과학계를 중심으로 퍼진 생성형 AI 기술 열풍은 그 기술적 파급력으로 인해 학계와 산업계를 넘어 사회 일반에 인공지능의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게끔 했다. ...
-
-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 술을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이는 알코올을 섭취할 때 쾌락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생성되면서, 중추신경계의 활동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만, 알코올이 주는 쾌락은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효과인 데다, 과음할 경우 기억 장애, 신경세포 사멸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럼에도 술이 주는 쾌락이 크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 [과학향기 for Kids] 2025년, 푸른 뱀의 해…뱀은 어떤 동물일까?
- [과학향기 for Kids] 촉각으로 더 생생해지는 가상현실 세계
-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 [과학향기 Story] 위고비의 뜻밖의 효능들
- [과학향기 for Kids] 개는 왜 몸을 흔들어 물을 털어낼까?
- [과학향기 for Kids] 피를 에너지로? 흡혈박쥐만의 놀라운 생존법!
- [과학향기 Story] 달갑지 않은 손님 백일해… 최근 유행 이유는?
- [과학향기 for Kids] 소행성으로 우주 식량을 만든다? 미래 우주 식량
- [과학향기 Story]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80만 년 전부터 시작됐다?
ScienceON 관련논문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약을 발명할 수도 있겠네요.
2021-08-02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