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음 봉주르 라이프, 탄수화물을 섭취하라!
<KISTI의 과학향기> 제285호 2005년 05월 06일
"나는 달릴 때가 가장 행복합니다." 올 상반기 최고의 흥행작인 영화 말아톤의 주인공인 초원이의 생각을 대변하는 말이다. 영화의 내용이 감동적이기도 하지만 몇 년 전 부터 불기 시작한 마라톤의 열풍도 영화 흥행의 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올해만 총 278개의 마라톤 대회가 열린다고 하니 국민들의 달리기 열풍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마라톤은 42.195㎞를 달리는 경기이다. 그렇다면 이 엄청난 거리를 뛸 수 있는 인체의 에너지원은 무엇일까? 마라톤은 우선 우리가 흔히 말하는 달리기 경기 중의 하나이다. 사람이 마라톤과 같이 장거리의 달리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강한 지구력과 정신력이 필요하다. 정신력이 심리적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반면, 지구력은 인간의 근육 발달 정도와 능력에 달려 있다. 따라서 근육을 잘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원이 인체에 많으면 많을수록 마라토너의 달리기 능력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주된 에너지원은 글리코겐(Glycogen)이다. 글리코겐은 인체가 탄수화물을 섭취할 때 체내에 생성, 축적 된다. 탄수화물(炭水化物, Carbohydrate)이란 세포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의 공급원이 되는 물질로 ‘탄소(Carbon)’와 ‘물이 결합된 화합물(Hydrate)’처럼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말이다. 인체가 탄수화물을 섭취하게 되면 아밀라아제에 의해 엿당(Maltose)으로 분해되고, 이 엿당이 말타아제에 의해 글루코오스(포도당, Glucose)로 변환된다. 이 글루코소스의 중합체가 바로 글리코겐이다.
따라서 탄수화물 섭취가 마라토너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마라톤 전문 용어 중 카보로딩(Carbo-Loading)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장거리를 달리는 마라토너의 체내에 글리코겐을 다량으로 축적하기 위한 일종의 탄수화물 비축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을 말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 보다는 인체가 탄수화물 즉, 근육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을 최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마라토너들은 대회 1주일전에 체내에 있는 글리코겐을 전부 소진해 버린다. 그리고 대회 3일전까지는 탄수화물을 섭취하지 않다가, 그 후 3일간 집중적으로 탄수화물을 섭취하게 되면, 인체는 그 이전에 비해 체내에 글리코겐을 더 많이 축적한다고 한다. 이는 지방의 섭취를 줄이면, 오히려 그 전보다 체내에 축적되는 지방의 양이 늘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아시안게임 2연패 및 2001년 보스턴 마라톤 우승자인 국민적인 영웅, 이봉주 선수의 예를 들어 보자. 대회 일주일 전까지는 일반식사와 스테미너식 위주로 식단을 잡는다. 그리고 대회 3일전까지는 밥을 먹지 않고 대신 세 끼를 고기만 먹는다. 그리고 대회전 3일간은 지방과 단백질의 공급을 끊고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을 차려, 체내에 축적되는 글리코겐의 양을 최대화하여 대회에서 최상의 신체 컨디션을 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마라토너에게 탄수화물 섭취와 더불어 수분과 무기질 섭취 또한 중요하다. 달리기를 할 때 인체에서는 많은 양의 수분이 땀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분 섭취가 필요하며, 무기질(철분)은 혈액 내에서 산소 운반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제 바야흐로 마라톤의 계절이 왔다. 그러나 지나치면 모자람보다 못한 법이다. 그리고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이듯 무작정 풀 코스를 도전하기 보다는 간단한 조깅부터 시작해서 단계별로 거리를 늘려 나가는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Kisit의 과학향기’ 독자 여러분도 올 봄에는 ‘초원이’처럼 ‘말아톤’에 도전해 보기를 기원해 본다. (과학향기 편집부)
따라서 탄수화물 섭취가 마라토너에게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마라톤 전문 용어 중 카보로딩(Carbo-Loading)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장거리를 달리는 마라토너의 체내에 글리코겐을 다량으로 축적하기 위한 일종의 탄수화물 비축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을 말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 보다는 인체가 탄수화물 즉, 근육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을 최적으로 축적하기 위한 몸 상태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마라토너들은 대회 1주일전에 체내에 있는 글리코겐을 전부 소진해 버린다. 그리고 대회 3일전까지는 탄수화물을 섭취하지 않다가, 그 후 3일간 집중적으로 탄수화물을 섭취하게 되면, 인체는 그 이전에 비해 체내에 글리코겐을 더 많이 축적한다고 한다. 이는 지방의 섭취를 줄이면, 오히려 그 전보다 체내에 축적되는 지방의 양이 늘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아시안게임 2연패 및 2001년 보스턴 마라톤 우승자인 국민적인 영웅, 이봉주 선수의 예를 들어 보자. 대회 일주일 전까지는 일반식사와 스테미너식 위주로 식단을 잡는다. 그리고 대회 3일전까지는 밥을 먹지 않고 대신 세 끼를 고기만 먹는다. 그리고 대회전 3일간은 지방과 단백질의 공급을 끊고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을 차려, 체내에 축적되는 글리코겐의 양을 최대화하여 대회에서 최상의 신체 컨디션을 끌어 낼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마라토너에게 탄수화물 섭취와 더불어 수분과 무기질 섭취 또한 중요하다. 달리기를 할 때 인체에서는 많은 양의 수분이 땀으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분 섭취가 필요하며, 무기질(철분)은 혈액 내에서 산소 운반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제 바야흐로 마라톤의 계절이 왔다. 그러나 지나치면 모자람보다 못한 법이다. 그리고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이듯 무작정 풀 코스를 도전하기 보다는 간단한 조깅부터 시작해서 단계별로 거리를 늘려 나가는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Kisit의 과학향기’ 독자 여러분도 올 봄에는 ‘초원이’처럼 ‘말아톤’에 도전해 보기를 기원해 본다. (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for Kids] 개는 왜 몸을 흔들어 물을 털어낼까?
- [과학향기 Story] 위고비의 뜻밖의 효능들
마라톤을 뛸때 주 에너지원이 탄수화물이군요. 좋은 기사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04-14
답글 0
항상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
2009-04-01
답글 0
지방의 섭취를 줄이면 체내 지방 축적량이 늘어난다 말씀에 대한 설명 좀 해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처음 듣는 말이라 ... 좀 놀랍네요.
2005-05-06
답글 0
안녕하세요 이미경님 Kisti의 과학향기 입니다.
인체는 환경 변화에 대해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인체의 항상성이라고 합니다. 만약 인위적으로 지방 섭취를 줄이면, 인체는 기존과 동일한 양의 지방을 축적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구요. 일시적으로 지방의 축적량이 늘어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음식물 섭취를 줄이게 되면,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기초 대사량이 낮아지기 때문에 잉여 에너지가 생기게 됩니다. 이 잉여 에너지가 가장 축적되기 쉬운 지방으로 체내에 남게 되는 것도 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Kisti의 과학기술 통합검색 사이트 - Yes Kisti.net]
http://www.yeskisti.net/index.jsp
좋은 의견 올려 주셔서 감사드리구요~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 드립니다.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의 과학향기
2005-05-0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