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조선시대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KISTI의 과학향기> 제2032호 2013년 12월 30일
조선시대 사람들은 얼마나 오래 살았을까?
서울대 의대 황상익 교수에 따르면 조선시대 왕 27명의 평균 수명은 46.1세다. 가장 장수한 조선시대 왕은 영조(82세), 태조(72세)였다. 그 다음으로 고종(66세), 광해군(66세), 정종(62세)이 뒤를 이었다. 회갑 잔치를 치른 왕은 20%도 안 된다.
황 교수는 조선시대 서민들의 평균 수명은 35세 혹은 그 이하였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 이유는 의식주 생활이 전혀 궁핍하지 않고 의료혜택도 가장 많이 받았을 국왕이 백성보다 오래 살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유럽에서 산업화가 막 시작되던 1800년 무렵의 평균수명이 35세 안팎이었던 점 등을 바탕으로 유추한 결과다. 또한 당시 높은 영유아사망률을 고려해 봐도 지금보다 수명이 40년, 혹은 그 이상 짧았을 것이라 분석했다.
한편, 불과 100여 년 후인 오늘날 한국인의 평균수명(평균기대여명)은 남성 78세, 여성 85세로 전 세계 상위권에 속하는 수치를 기록했다.(출처 : 인구보건복지협회가 2013년 10월30일 출간한 유엔인구기금(UNFPA)의 ‘2013년 세계인구현황 보고서’ 한국어판)
서울대 의대 황상익 교수에 따르면 조선시대 왕 27명의 평균 수명은 46.1세다. 가장 장수한 조선시대 왕은 영조(82세), 태조(72세)였다. 그 다음으로 고종(66세), 광해군(66세), 정종(62세)이 뒤를 이었다. 회갑 잔치를 치른 왕은 20%도 안 된다.
황 교수는 조선시대 서민들의 평균 수명은 35세 혹은 그 이하였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 이유는 의식주 생활이 전혀 궁핍하지 않고 의료혜택도 가장 많이 받았을 국왕이 백성보다 오래 살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유럽에서 산업화가 막 시작되던 1800년 무렵의 평균수명이 35세 안팎이었던 점 등을 바탕으로 유추한 결과다. 또한 당시 높은 영유아사망률을 고려해 봐도 지금보다 수명이 40년, 혹은 그 이상 짧았을 것이라 분석했다.
한편, 불과 100여 년 후인 오늘날 한국인의 평균수명(평균기대여명)은 남성 78세, 여성 85세로 전 세계 상위권에 속하는 수치를 기록했다.(출처 : 인구보건복지협회가 2013년 10월30일 출간한 유엔인구기금(UNFPA)의 ‘2013년 세계인구현황 보고서’ 한국어판)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행성들도 태어날 때 ‘명당’ 찾아
- 행성들도 태어날 때 명당을 찾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애리조나대 일라리아 파스쿠치 교수와 영국 레스터대 리차드 알렉산더 박사 공동 연구팀은 태양과 같은 새로운 별이 만들어질 때 별에서 1~2AU 떨어진 위치에 태양계의 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 행성도 잘 만들어진다고 발표했다. AU는 태양과 지구 사이 거리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천문학 거리 단위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소방관, 방화복 대신 웨어러블 로봇 입는다
- 웨어러블 로봇이 소방관들의 안전을 지키는 데 활용될 전망이다. 사람이나 짐을 거뜬하게 짊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기과 불이 자욱한 현장에서도 주변을 정확하게 살필 수 있다.
조선시대의 수명에 대해 실감이 가지 않네요.
2014-01-0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