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터로 공유하기
  •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프린트하기
  • 텍스트 파일로 다운로드하기

에피소드

질풍노도의 시기,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2217호   2014년 09월 15일
청소년기를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질풍노도의 시기답게 청소년들은 반항하고, 일탈을 서슴지 않으며, 감정적인 동요가 심하다.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신경과학과 프라딥 바이드 교수는 질풍노도의 시기의 청소년들 행동은 신경 생물학적 근거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청소년들의 뇌가 작동하는 매커니즘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위협적인 일이 닥쳤을 때 감정을 통제하는 뇌 부위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위협에 반응하는 뇌 부위가 다른 시기의 사람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 것이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잘못된 행동을 하고도 처벌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도 위험한 상황에 닥쳤을 때, 두려움을 느끼는 뇌 부위가 덜 활성화되는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바이드 교수는 청소년기의 일탈이나 반항이 신경 생물학적 근거를 띠고 있긴 하지만, 스트레스나 호르몬 변화, 사회적인 환경 등에 의해서도 청소년들의 행동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드 교수의 연구는 ‘발달 신경과학저널’ 특별판에 실렸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