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질풍노도의 시기,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2217호 2014년 09월 15일
청소년기를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질풍노도의 시기답게 청소년들은 반항하고, 일탈을 서슴지 않으며, 감정적인 동요가 심하다.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신경과학과 프라딥 바이드 교수는 질풍노도의 시기의 청소년들 행동은 신경 생물학적 근거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청소년들의 뇌가 작동하는 매커니즘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위협적인 일이 닥쳤을 때 감정을 통제하는 뇌 부위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위협에 반응하는 뇌 부위가 다른 시기의 사람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 것이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잘못된 행동을 하고도 처벌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도 위험한 상황에 닥쳤을 때, 두려움을 느끼는 뇌 부위가 덜 활성화되는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바이드 교수는 청소년기의 일탈이나 반항이 신경 생물학적 근거를 띠고 있긴 하지만, 스트레스나 호르몬 변화, 사회적인 환경 등에 의해서도 청소년들의 행동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드 교수의 연구는 ‘발달 신경과학저널’ 특별판에 실렸다.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 신경과학과 프라딥 바이드 교수는 질풍노도의 시기의 청소년들 행동은 신경 생물학적 근거가 있다는 점에 착안해 청소년들의 뇌가 작동하는 매커니즘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청소년들은 위협적인 일이 닥쳤을 때 감정을 통제하는 뇌 부위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을 발견했다. 위협에 반응하는 뇌 부위가 다른 시기의 사람과는 다른 반응을 보인 것이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잘못된 행동을 하고도 처벌에 크게 동요하지 않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도 위험한 상황에 닥쳤을 때, 두려움을 느끼는 뇌 부위가 덜 활성화되는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바이드 교수는 청소년기의 일탈이나 반항이 신경 생물학적 근거를 띠고 있긴 하지만, 스트레스나 호르몬 변화, 사회적인 환경 등에 의해서도 청소년들의 행동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드 교수의 연구는 ‘발달 신경과학저널’ 특별판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실제 팔다리처럼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생체 신경 인터페이스 개발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상훈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와 말초신경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생체 인터페이싱 기술, ‘하이브리드 바이오닉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최근 당뇨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면서 사고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사지 절단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사지 절단은 영구적인 물리적인 장애로, 신체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