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초음파로 오래 가는 생체 이식 전자기기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016호 2023년 12월 11일박성민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융합대학원 교수팀이 배터리 대신 초음파로 작동하는 생체 이식 전자기기를 개발했다. 심장이나 뇌 등 몸속에 이식하는 전자기기는 생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해, 파킨슨병 같은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한 번 이식한 전자기기는 기술적 한계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전파 대신 진단과 치료 등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초음파에 주목했다. 이에 일정한 전압이나 전류를 가하면 내부에서 전하를 축적하고, 외부 전압이 사라지면 쌓아둔 전하를 방출하는 고분자와 세라믹 소재를 사용해 약한 초음파에도 반응하는 정전기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초음파를 받아 층간 마찰로 정전기를 내고, 전기 에너지를 생산해 생체 이식 기기를 작동시켰다. 전기를 생산하는 이 부품은 가로 이 부품은 가로 17㎜, 세로 17㎜, 높이 5㎜ 정도로 제작됐다.
연구팀은 과민성 방광 장애를 앓는 실험 쥐에 생체 이식 신경자극기를 삽입해 성능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신경자극기는 일반 영상용 초음파 수준인 500㎽/㎠으로 작동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이 기기 덕분에 실험 쥐의 배뇨 활동 이상 증상도 완화됐다.
연구를 주도한 박성민 교수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초음파 기반 에너지 전송 기술을 통해 이식형 의료기기 분야의 난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이번 개발에 함께 한 김상우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김상우 교수는 “장기 안정성이 확보된 비(非) 배터리형 초소형 기기는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발표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술 마신 사람은 모기의 표적?
- 모기는 사람의 땀 냄새와 호흡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 냄새를 맡고 달려든다. 그런데 술 마신 사람을 유독 좋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술이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요산과 암모니아가 생기는데, 이 냄새도 모기를 끌어들인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이동규 교수는 “술을 마신 뒤 입이나 피부에서 나오는 요산 등의 대사물질이 표적이 되기 쉽다”며 “...
-
- 세계 최초로 구리의 산화 원리 밝혔다
- 구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도체다. 하지만 구리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돼 붉은 갈색에서 청록색으로 바뀐다. 그래서 초정밀 소재 등의 전기회로에는 구리보다 전기전도성도 나쁘고 훨씬 더 비싼 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구리를 단원자층 높이의 얇은 박막으로 만들면 산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