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팬데믹은 건강 중시', '엔데믹은 여행 중시'? 인공지능으로 알려준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012호 2023년 11월 27일감종훈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사람들의 온라인 소비 심리와 행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가 데이터 로깅으로 저장한 제품 검색 데이터를 자료로 활용했다.
데이터 로깅(data logging)은 시스템이나 웹사이트 내 활동에 대한 기록인 로그(lg)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기업은 데이터 로깅으로 제품 검색 패턴을 분석하고, 쇼핑 트렌드를 파악한다. 특히, 특정 제품에 대한 검색량이 증가하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판단해 새로운 재고 관리 계획을 세운다.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1,800개 이상의 제품 온라인 검색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술인 주성분 분석(PCA) 방법으로 분석했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이란 데이터의 변수가 너무 많을 때,주요 특징을 추출해 차원을 축소하는 방법이다. 또, 팬데믹과 소비 패턴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코로나의 심각성과 관련된 치명성 지표와 정부의 강력한 정책과 관련된 엄격성 지표 등 총 6개의 지표를 사용했다.
그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정부의 정책으로 외부 활동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진 코로나19 발생 직후에는 건강과 생활 카테고리의 제품 온라인 검색량이 증가했다. 시간이 지나 정부의 정책이 완화되고, 코로나19에 대한 사람들의 공포심이 줄어든 시기에는 면세 · 여행 관련 제품에 대한 온라인 검색량이 늘어났다. 코로나19의 심각성과 정부의 정책 수준에 따라 사람들의 제품 검색 패턴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RCA 프레임워크’ 이론으로 설명했다. 여기서 RCA 프레임워크란 사람들의 행동 변화를 반응(React), 대처(Cope), 적응(Adapt) 단계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사람들의 구매 패턴이 변하는 시기는 반응(React) 단계에, 새로운 구매 패턴을 찾게 되는 시기는 대처(Cope) 단계에 해당하며, 새로운 구매 패턴이 정착되는 시기가 바로 적응(Adapt) 단계라고 한다.
감종훈 교수는 “팬데믹을 포함해 여러 글로벌 위기 속에서 대중들의 온라인 소비 심리와 구매 패턴을 예측하는 것은 기업의 리스크와 공급 관리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빅 데이터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사회과학 융합 분야 국제 학술지인 ‘인문학과 사회과학 커뮤니케이션(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술 마신 사람은 모기의 표적?
- 모기는 사람의 땀 냄새와 호흡할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 냄새를 맡고 달려든다. 그런데 술 마신 사람을 유독 좋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술이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요산과 암모니아가 생기는데, 이 냄새도 모기를 끌어들인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이동규 교수는 “술을 마신 뒤 입이나 피부에서 나오는 요산 등의 대사물질이 표적이 되기 쉽다”며 “...
-
- 세계 최초로 구리의 산화 원리 밝혔다
- 구리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도체다. 하지만 구리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돼 붉은 갈색에서 청록색으로 바뀐다. 그래서 초정밀 소재 등의 전기회로에는 구리보다 전기전도성도 나쁘고 훨씬 더 비싼 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구리를 단원자층 높이의 얇은 박막으로 만들면 산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