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100kg 판다가 100g 새끼 낳는다? 거대한 판다가 작은 새끼를 낳는 이유는?
2023년 08월 14일1
KISTI의 과학향기
100kg 판다가 100g 새끼 낳는다?
거대한 판다가
작은 새끼 낳는 이유는?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100kg 판다가 100g 새끼 낳는다?
거대한 판다가
작은 새끼 낳는 이유는?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S&C
2
대한민국에서 판다 열풍이 불고 있다.
2020년 한국 최초 자연 번식으로 태어난
판다 공주 ‘푸바오’ 덕분이다.
2020년 한국 최초 자연 번식으로 태어난
판다 공주 ‘푸바오’ 덕분이다.
3
‘행복을 주는 선물’을 뜻하는
푸바오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 것은 2021년,
‘판다 할아버지’ 강철원 사육사와 함께 찍은 유튜브 영상 덕분이었다.
푸바오가 강 씨와 팔짱 데이트를 한 영상은 조회수 1,950만 회를,
강 씨의 다리에 매달려 앙탈 부리는 영상은 1,500만 회를 돌파했다.
‘행복을 주는 선물’을 뜻하는
푸바오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 것은 2021년,
‘판다 할아버지’ 강철원 사육사와 함께 찍은 유튜브 영상 덕분이었다.
푸바오가 강 씨와 팔짱 데이트를 한 영상은 조회수 1,950만 회를,
강 씨의 다리에 매달려 앙탈 부리는 영상은 1,500만 회를 돌파했다.
4
게다가 지난 7월 7일,
푸바오에게 쌍둥이 동생이 생기는 겹경사가 났다.
동바오와 생바오라는 별칭을 얻은 동생들의 몸무게는
고작 180g, 140g이었다.
게다가 지난 7월 7일,
푸바오에게 쌍둥이 동생이 생기는 겹경사가 났다.
동바오와 생바오라는 별칭을 얻은 동생들의 몸무게는
고작 180g, 140g이었다.
5
현재 100kg에 육박하는 푸바오 역시
태어났을 땐 197g에 지나지 않았다.
실제 대왕판다의 새끼 무게는
성체의 900분의 1 수준.
대왕판다의 새끼가 이렇게 작은 까닭은 무엇일까?
현재 100kg에 육박하는 푸바오 역시
태어났을 땐 197g에 지나지 않았다.
실제 대왕판다의 새끼 무게는
성체의 900분의 1 수준.
대왕판다의 새끼가 이렇게 작은 까닭은 무엇일까?
6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진 요인은 곰의 ‘겨울잠 가설’이다.
임신 상태에서 겨울잠에 드는 어미는
영양 섭취 없이 태아를 키우고, 출산 후 수유를 해야 하기에
자연스럽게 미성숙한 새끼를 낳게 되었다는 것.
이러한 메커니즘이 곰과 동물에게 자리 잡혔다는 분석이다.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진 요인은 곰의 ‘겨울잠 가설’이다.
임신 상태에서 겨울잠에 드는 어미는
영양 섭취 없이 태아를 키우고, 출산 후 수유를 해야 하기에
자연스럽게 미성숙한 새끼를 낳게 되었다는 것.
이러한 메커니즘이 곰과 동물에게 자리 잡혔다는 분석이다.
7
하지만 듀크대 연구진은 2019년 해부학 저널에서 다른 주장을 펼쳤다.
겨울잠을 자는 북극곰이나 1년 내내 먹이를 먹는 아열대 곰이나
곰과 동물의 새끼는 골격이 성숙한 상태로 태어나며,
이는 겨울잠 유무와 큰 연관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듀크대 연구진은 2019년 해부학 저널에서 다른 주장을 펼쳤다.
겨울잠을 자는 북극곰이나 1년 내내 먹이를 먹는 아열대 곰이나
곰과 동물의 새끼는 골격이 성숙한 상태로 태어나며,
이는 겨울잠 유무와 큰 연관이 없다는 것이다.
8
대왕판다는 곰과 동물 가운데서
예외적으로 미성숙한 새끼를 낳는다.
연구진은 “대왕판다 새끼는 비글과 비교해
뼈 성숙도가 70%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며
“사람으로 치면 28주 만에 태어난 조산아”라고 비유했다.
대왕판다는 곰과 동물 가운데서
예외적으로 미성숙한 새끼를 낳는다.
연구진은 “대왕판다 새끼는 비글과 비교해
뼈 성숙도가 70%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며
“사람으로 치면 28주 만에 태어난 조산아”라고 비유했다.
9
연구팀은 새끼 판다가 유독 작은 이유가
‘수정란 착상이 늦어서’라고 설명했다.
착상이란 포유류의 수정란이 자궁벽에 붙어
어미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곰과 동물의 수정란은 대략 출산 60일 전 자궁벽에 착상한다.
연구팀은 새끼 판다가 유독 작은 이유가
‘수정란 착상이 늦어서’라고 설명했다.
착상이란 포유류의 수정란이 자궁벽에 붙어
어미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곰과 동물의 수정란은 대략 출산 60일 전 자궁벽에 착상한다.
10
대왕판다는 이 기간이 곰과 동물의 절반(30일)에 불과하다.
연구진은 영양 부족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는데,
실제 판다는 소화능력이 매우 떨어져
하루 절반 이상을 주식인 대나무 섭취에 쓸 정도다.
다만 연구진은 추가연구를 통해 정확한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왕판다는 이 기간이 곰과 동물의 절반(30일)에 불과하다.
연구진은 영양 부족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는데,
실제 판다는 소화능력이 매우 떨어져
하루 절반 이상을 주식인 대나무 섭취에 쓸 정도다.
다만 연구진은 추가연구를 통해 정확한 원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1
대왕판다 새끼는 미성숙한 상태에서 태어나기에
걷는 데까지만 해도 약 4개월이 걸리는 등
하나의 생명으로서 자리 잡기가 몹시 어려운 편이다.
대왕판다 새끼는 미성숙한 상태에서 태어나기에
걷는 데까지만 해도 약 4개월이 걸리는 등
하나의 생명으로서 자리 잡기가 몹시 어려운 편이다.
12
특히 동바오, 생바오 같은 판다 쌍둥이가
동시에 생존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어미 처지에선 하나라도 제대로 키우겠다며
남은 한 마리를 무시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특히 동바오, 생바오 같은 판다 쌍둥이가
동시에 생존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어미 처지에선 하나라도 제대로 키우겠다며
남은 한 마리를 무시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13
다만 사육사와 인큐베이터, 풍부한 먹이 등
전문적인 도움이 있다면 쌍둥이들의 생존율을 충분히 올릴 수 있다.
푸바오의 두 동생 역시
초기 난관을 넘어 폭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다만 사육사와 인큐베이터, 풍부한 먹이 등
전문적인 도움이 있다면 쌍둥이들의 생존율을 충분히 올릴 수 있다.
푸바오의 두 동생 역시
초기 난관을 넘어 폭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14
귀엽고 독특한 외형 덕에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판다.
정성스러운 보살핌으로 멸종 취약종에서 벗어나
우리 곁에 오래 머물길 바란다.
귀엽고 독특한 외형 덕에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판다.
정성스러운 보살핌으로 멸종 취약종에서 벗어나
우리 곁에 오래 머물길 바란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스마트폰 중독이 인간관계에 끼치는 영향
- 같은 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과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무작정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시각은 잠시 거두자. 이제 호모 모빌리쿠스 시대에 걸맞는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