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2023년에는 상쾌한 아침을… 아침 컨디션 좌우하는 4가지 요인
2023년 01월 09일0
2023년에는 상쾌한 아침을...
아침 컨디션 좌우하는 4가지 요인
[글] 김정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동아 S&C
2023년에는 상쾌한 아침을...
아침 컨디션 좌우하는 4가지 요인
[글] 김정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동아 S&C
1
2023년이 밝았다.
새해를 맞는 모든 사람은
상쾌하게 하루를 시작하길 바란다.
하지만 때론 충분히 잤는데도
유난히 머리가 무겁고 졸린 날이 있다.
2
과연 상쾌한 아침과 흐리멍덩한 아침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최근 이에 대한 연구결과가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3
미국 UC버클리 연구진은
아침 각성도(alertness)를 좌우하는 요소를
알아내기 위해 833명을 대상으로 2주간
실험을 진행했다.
이중엔 유전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쌍둥이가 다수 포함됐다.
4
연구진은 손목시계형 장치를 통해 실험 참가자들의
신체 활동, 수면시간, 수면의 질, 수면시기 등을 꼼꼼히 기록했다.
참가자는 다양한 아침식사를 제공받았으며,
기상 직후부터 일정한 시간마다 각성도 등에 점수를 매겼다.
5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연구진이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했더니,
의외로 유전적 요인은 큰 영향이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대신 4가지 요인이
상쾌한 아침과 관련돼 있음을 밝혀냈다.
6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수면.
사람들은 수면 시간이 길수록 상쾌하게 아침을 시작했으며
수면시간이 같을 경우, 기상이 늦을수록 각성도가 높았다.
연구진은 7~9시간을 적정한 수면시간으로 제시했다.
7
적정 수면시간은 하루 종일 몸에 축적되는
졸음 유발 물질인 ‘아데노신’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진은 휴일에 밀린 잠을 몰아서 자는 것도
쌓인 아데노신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추측했다.
8
그렇다면 늦게 일어나는 것은
각성도와 무슨 연관이 있을까.
연구진은 24시간 주기로 돌아가는
인간 생체시계의 움직임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점심~오후에 각성도가 정점을 찍기에
늦게 일어날수록 각성도가 높은 상태로 하루를 시작한다는 분석이다.
9
두 번째는 활동량이다.
즉 일과시간에 신체를 많이 움직인 사람일수록
숙면을 취해 상쾌한 아침을 맞는다는 것.
다만 밤에 운동을 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10
세 번째는 아침식사.
탄수화물 섭취를 풍부하게 한 경우
아침 각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지나친 고단백 식단은
각성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모습이었다.
11
네 번째는 혈당.
포도당 음료를 많이 섭취해 혈당이 올라간 사람은 각성도가 낮았고,
반대로 적게 섭취한 사람은 각성도가 높았다.
단 음식이 아침 기운을 북돋는다는 속설이
최소한 아침에는 통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12
결과적으로 좋은 아침을 위한 4가지 비결은 다음과 같다.
1) 전날 상당한 수준의 운동을 한다.
2) 길게 자고 늦게 일어난다.
3) 복합 탄수화물 위주의 저설탕 아침을 먹는다. 단백질은 적당량만.
4) 식사 후 혈당 반응(body’s glucose response)을 확인하라.
13
결국 상쾌한 아침의 비결은
특별한 약물이나 방법이 아닌
충분한 수면과 적당한 운동, 올바른 식단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기본을 지키는 사람이야말로 비로소
상쾌한 아침을 맞을 자격이 있다는 뜻은 아닐까.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넷플릭스도 인정한 교감능력, 볼수록 놀라운 문어의 사회성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의 문어 선생님’에서 다큐멘터리 감독이자 박물학자인 크레이그 포스터는 남아공 바다에서 한 문어를 만난다. 처음엔 그를 경계하던 문어는 매일 찾아오는 인간이 익숙해지자 친근함을 느끼며 교감을 시작한다. 거듭된 작업으로 우울증에 걸린 포스터에게 문어와의 만남은 활력소가 되어 줬다. 반려동물을 통해 삶을 위로받는 것처럼 문어와 교감...
-
- 렘브란트, 모네의 그림에 미세먼지가? - 명화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 예술작품, 그중에서도 명작의 기준은 무엇일까? 높은 완성도, 예술사적 가치, 대중적 인기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당시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도 큰 요건 중 하나로 꼽힐 것이다. 최근 과학자들이 오래된 명화에서 당시 대기환경을 유추해 화제가 되고 있다. 유행, 문화사조와 같은 문화적 시대상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파악한 흥미로운 사례다....
-
- 모기는 빨간색을 좋아해? 과학으로 알아보는 모기의 취향
- 1 눈부시게 밝은 태양과 넘실거리는 바다, 피서와 로망의 계절 여름에도 불청객은 존재한다. 앵앵거리는 소음과 가려움으로 불쾌감을 안기는 모기가 대표적이다. 2 그런데 여럿이 함께 있다 보면 유독 모기에게 인기 많은(?) 사람이 있다. 모기도 사람을 가리는 걸까? 3 최근 워싱턴대 연구진은 모기가 특별히 좋아하는 색이 있다고 발표했다. 국제학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