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QR코드의 정체를 알려주마!
<KISTI의 과학향기> 제1219호 2010년 10월 04일
얼마 전 모 방송사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들에게 미션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특이하게 생긴 코드를 사용하는 장면이 나왔다. 출연자가 이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찍으니 미션이 폰 화면에 표시됐다.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길쭉한 막대기 모양의 바코드가 아니라 다양한 정사각형 무늬로 이뤄진 코드. 대체 이 코드의 정체는 무엇일까?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라고 하는 2차원 바코드다. 1994년 일본 덴소사(社)의 개발 부서(현재는 덴소 웨이브사(社))가 개발한 이 코드에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일반 바코드는 세로 방향으로만 정보를 저장할 수 있지만, QR코드는 가로와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50년대에 개발된 바코드는 새로운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의 등장으로 그 생명력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
QR코드에 저장할 수 있는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ASCII)는 최대 4296자, 한자 같은 아시아 문자는 최대 1817자까지 담을 수 있다. 작은 정사각형의 점이 많을수록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나, 점이 많아지면 필요한 면적이 넓어진다. 또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에서도 일반 바코드보다 뛰어나다. 이름처럼 ‘빠른 응답’이 가능한 셈이다.
덴소 웨이브가 QR코드에 대한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이 코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 PDF417,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맥시코드(MaxiCode)처럼 국제 표준으로 채택돼 있어 누구나 사양을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다.
QR코드를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하는 곳은 일본이다. 일본은 자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 QR코드 리더기를 탑재하고 있고, 이 기능이 있는 휴대폰 소지자의 80% 이상이 QR코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 가지 활용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스웨스트사(社)는 QR코드를 기업 홍보에 이용했다. 도쿄 긴자의 건물에 대형 QR코드를 걸고 사람들이 이를 휴대폰으로 읽으면 각종 쿠폰이나 게임, 상품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되게 만든 것이다.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는 QR코드를 사용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청구서에 인쇄된 QR코드를 읽으면 자동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서비스가 인기다.
일본의 유통업체인 자스코(JASCO)는 우수한 일본 내 농가와 계약을 맺어 ‘톱 밸류(TOP Value)’라는 브랜드를 붙인 상품을 출시했다. 이 상품에는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담고 있는 QR코드가 부착돼 있다. 또 비석판매 회사는 비석에 QR코드를 부착해 고인의 사진이나 생전의 기록을 볼 수 있는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다.
이 밖에 보관소에 맡겨진 길 잃은 애완동물의 주인을 찾는 서비스도 진행되고 있다. 애완동물 주인의 주소와 연락처를 담은 QR코드를 목걸이로 만들어 애완동물에 달아 두면,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쉽게 주인을 찾을 수 있다.
QR코드가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문제가 호환성이다. 단순한 홈페이지 URL 주소를 담고 있는 QR코드라면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QR코드가 많이 사용되는 분야인 명함의 경우, 현재 코드 생성기와 리더기 사이에 호환성 문제가 있다. 특정 생성기로 만든 QR코드 명함은 특정 리더기에서만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옆의 QR코드는 스캐니(scany)라는 QR코드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에서 만든 것인데, 이것을 scany에서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읽으면 잘 정리된 명함이 나오지만 다른 리더기에서는 정상적인 명함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현재 QR코드 명함으로 많이 사용되는 포맷은 ‘meCard’와 ‘vCard’인데, 리더기 애플리케이션끼리 호환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QR코드가 더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돼야 할 문제다.
또 다른 문제는 보안이다. QR코드는 이전의 바코드에 비해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데, 이 점을 악용해 QR코드에 악성코드나 유해 웹사이트 주소를 담을 수도 있다. 이러한 유해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별다른 의심 없이 리더기로 읽는다면 악성코드에 노출되거나 유해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증된 곳이나 기업에서 제공하는 QR코드가 아닌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QR코드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어날수록 그 사용범위는 더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QR코드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이 바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 비용이나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바코드를 완전히 대체하기 어려워서다.
또한 기업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RFID와 달리, QR코드는 ‘누구나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프린트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QR코드의 생명력은 계속 유지되지 않을까 한다.
글 : 김성현 동아사이언스 기술지원팀장
이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코드는 ‘QR(Quick Response)코드’라고 하는 2차원 바코드다. 1994년 일본 덴소사(社)의 개발 부서(현재는 덴소 웨이브사(社))가 개발한 이 코드에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일반 바코드는 세로 방향으로만 정보를 저장할 수 있지만, QR코드는 가로와 세로 두 방향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50년대에 개발된 바코드는 새로운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의 등장으로 그 생명력을 연장할 수 있게 됐다.
QR코드에 저장할 수 있는 숫자는 최대 7089자, 문자(ASCII)는 최대 4296자, 한자 같은 아시아 문자는 최대 1817자까지 담을 수 있다. 작은 정사각형의 점이 많을수록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나, 점이 많아지면 필요한 면적이 넓어진다. 또 인식속도와 인식률, 복원력에서도 일반 바코드보다 뛰어나다. 이름처럼 ‘빠른 응답’이 가능한 셈이다.
덴소 웨이브가 QR코드에 대한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이 코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 PDF417,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맥시코드(MaxiCode)처럼 국제 표준으로 채택돼 있어 누구나 사양을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다.
QR코드를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하는 곳은 일본이다. 일본은 자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휴대폰에 QR코드 리더기를 탑재하고 있고, 이 기능이 있는 휴대폰 소지자의 80% 이상이 QR코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 가지 활용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스웨스트사(社)는 QR코드를 기업 홍보에 이용했다. 도쿄 긴자의 건물에 대형 QR코드를 걸고 사람들이 이를 휴대폰으로 읽으면 각종 쿠폰이나 게임, 상품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웹사이트로 연결되게 만든 것이다.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는 QR코드를 사용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청구서에 인쇄된 QR코드를 읽으면 자동으로 결제를 수행하는 서비스가 인기다.
일본의 유통업체인 자스코(JASCO)는 우수한 일본 내 농가와 계약을 맺어 ‘톱 밸류(TOP Value)’라는 브랜드를 붙인 상품을 출시했다. 이 상품에는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정보를 담고 있는 QR코드가 부착돼 있다. 또 비석판매 회사는 비석에 QR코드를 부착해 고인의 사진이나 생전의 기록을 볼 수 있는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다.
이 밖에 보관소에 맡겨진 길 잃은 애완동물의 주인을 찾는 서비스도 진행되고 있다. 애완동물 주인의 주소와 연락처를 담은 QR코드를 목걸이로 만들어 애완동물에 달아 두면,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쉽게 주인을 찾을 수 있다.
QR코드가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겪을 수 있는 문제가 호환성이다. 단순한 홈페이지 URL 주소를 담고 있는 QR코드라면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QR코드가 많이 사용되는 분야인 명함의 경우, 현재 코드 생성기와 리더기 사이에 호환성 문제가 있다. 특정 생성기로 만든 QR코드 명함은 특정 리더기에서만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옆의 QR코드는 스캐니(scany)라는 QR코드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에서 만든 것인데, 이것을 scany에서 다운받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읽으면 잘 정리된 명함이 나오지만 다른 리더기에서는 정상적인 명함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현재 QR코드 명함으로 많이 사용되는 포맷은 ‘meCard’와 ‘vCard’인데, 리더기 애플리케이션끼리 호환이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QR코드가 더 널리 사용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돼야 할 문제다.
또 다른 문제는 보안이다. QR코드는 이전의 바코드에 비해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데, 이 점을 악용해 QR코드에 악성코드나 유해 웹사이트 주소를 담을 수도 있다. 이러한 유해 정보가 담긴 QR코드를 별다른 의심 없이 리더기로 읽는다면 악성코드에 노출되거나 유해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검증된 곳이나 기업에서 제공하는 QR코드가 아닌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QR코드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어날수록 그 사용범위는 더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QR코드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이 바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 비용이나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바코드를 완전히 대체하기 어려워서다.
또한 기업 서비스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RFID와 달리, QR코드는 ‘누구나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프린트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QR코드의 생명력은 계속 유지되지 않을까 한다.
글 : 김성현 동아사이언스 기술지원팀장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국내외 데이터 잇는 KREONET, 미래 과학기술을 부탁해!
- [과학향기 Story] 국제 협력을 통한 기술 표준화, 상생의 길을 열다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Story] 인공지능이 맛보는 위스키의 미래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과학향기 for Kids] 산타할아버지는 언제 한국에 도착할까?
- [과학향기 Story] 범람하는 가짜 정보 속,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사이언스온’으로!
- [과학향기 Story] 사이버 안보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 어떻게 대응할까?
- [과학향기 for Kids] 창과 방패의 전쟁, 사이버 공격 VS 사이버보안
소프트웨어과라 관심 많았는데 정말 많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2010-11-08
답글 0
잘보았습니다
2010-10-10
답글 0
....일장일단....
2010-10-09
답글 0
QR코드 만들어보고 싶은 학생입니다만 혹시 이런 종류의 QR코드 말고 3D를 입힐 수 있는 종류의 QR코드는 만들 수 없을까요?
2010-10-05
답글 0
제작 규칙입니다 : http://swetake.com/qr/qr1_en.html
2010-10-04
답글 0
그래서 정체가 뭐지요? 어떤 규칙으로 인코딩을 하는지...
2010-10-04
답글 0
갤럭시S로 깔려있는 프로그램으로 위의 QR코드를 스캔해 봤더니 QRooQRoo에서는 안나오고 Barcode Scanner에서는 제대로 나오네요.
2010-10-04
답글 0
좋은 정보입니다.
2010-10-04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