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거리를 활보하는 첨단과학!
<KISTI의 과학향기> 제14호 2003년 08월 13일
찌는 더위와 열대야, 훌훌 벗어 던지고 싶다. ‘옷은 도움이 안 돼!’ 여름에 인간과 옷의 관계는 소원해진다. 더도 덜도 말고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옷이 있다면 게임은 끝날텐데. 아담과 이브 이후 옷은 가림과 보호, 나아가 개성과 예의표현의 수단이다. 그래도 의복은 역시 물질인 의복일 뿐이었다.
그런데 지금 첨단의 과학은 의복의 개념에 혁명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옷마저 가능하다는 것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를 옷감으로 사용하면 스프링 모양의 분자가 감겼다 풀렸다 하면서 온도를 조절한다는 것. 몸에서 땀과 열이 나면 온도를 낮추고 피부의 물기(땀)를 빨아들이고, 몸의 온도가 낮으면 열을 내어 따뜻하게 한다. 나노 섬유를 이용하면 외부 온도가 높으면 섬유의 구멍이 열려 통풍이 되고, 몸에 해로운 물질이 닿으면 구멍이 닫혀 피부를 보호하는 지능형 의복이 된다.
실제로 미항공우주국과 미국공군은 비행사의 손을 따뜻할 목적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열을 내는 섬유를 개발했다. 온도에 따라 성질이 변하는 밀랍화합물을 사용했다. 현재 겨울용 등산화와 양말에 응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입은 사람의 신체기능을 24시간 체크하여 병원으로 보내는 e-섬유 옷, 위치추적장치(GPS)가 연결된 옷, 입은 사람에게만 들리도록 컴퓨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옷 등 기능성 의복도 한창 개발 중이다. 초미세 청소로봇을 옷에 상주시켜 세탁이 필요 없는 옷도 개발 가능하다고 한다.
세상을 물질만능의 사회로 만들었다고 비난 받았던 과학이, 오묘하게도 물질과 소유의 관계에 불과했던 의복과 인간의 관계를 인격의 관계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원근/ 한국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그런데 지금 첨단의 과학은 의복의 개념에 혁명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옷마저 가능하다는 것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를 옷감으로 사용하면 스프링 모양의 분자가 감겼다 풀렸다 하면서 온도를 조절한다는 것. 몸에서 땀과 열이 나면 온도를 낮추고 피부의 물기(땀)를 빨아들이고, 몸의 온도가 낮으면 열을 내어 따뜻하게 한다. 나노 섬유를 이용하면 외부 온도가 높으면 섬유의 구멍이 열려 통풍이 되고, 몸에 해로운 물질이 닿으면 구멍이 닫혀 피부를 보호하는 지능형 의복이 된다.
실제로 미항공우주국과 미국공군은 비행사의 손을 따뜻할 목적으로 온도가 내려가면 열을 내는 섬유를 개발했다. 온도에 따라 성질이 변하는 밀랍화합물을 사용했다. 현재 겨울용 등산화와 양말에 응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입은 사람의 신체기능을 24시간 체크하여 병원으로 보내는 e-섬유 옷, 위치추적장치(GPS)가 연결된 옷, 입은 사람에게만 들리도록 컴퓨터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옷 등 기능성 의복도 한창 개발 중이다. 초미세 청소로봇을 옷에 상주시켜 세탁이 필요 없는 옷도 개발 가능하다고 한다.
세상을 물질만능의 사회로 만들었다고 비난 받았던 과학이, 오묘하게도 물질과 소유의 관계에 불과했던 의복과 인간의 관계를 인격의 관계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원근/ 한국과학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국제 협력을 통한 기술 표준화, 상생의 길을 열다
- [과학향기 Story] 울퉁불퉁 도로의 포트홀, 해바라기유로 고친다?
- [과학향기 Story] 범람하는 가짜 정보 속,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사이언스온’으로!
- [과학향기 for Kids]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엉뚱한 이그노벨상 연구들
- [과학향기 Story] ‘화마’ 불러오는 전기차 화재…피해 심각한 이유는?
- [과학향기 for Kids] 창과 방패의 전쟁, 사이버 공격 VS 사이버보안
- [과학향기 Story] 점점 더워지는 여름, 건물 온도를 낮출 방법은?
- [과학향기 Story] 3시간 후에 침수가 일어난다? ‘데이터’는 알고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나노섬유. 꿈의 섬유군요 ^^ 겨울에 체온이 떨어지면 자동으로열을 내게 해주는 의류가 있다면 정말 좋겠네요. 난방비 걱정까지 덜어주겠는걸요 ^^
2009-04-01
답글 0
항상 좋은 기사 감사드립니다. ^^
2009-04-01
답글 0
하루 빨리 실용화 되길....
2003-08-22
답글 0
대단하네요.실용화가된다면 말이죠..
2003-08-1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