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088호 2024년 08월 19일책을 읽거나, 종이접기에 집중하다가 종이에 베여본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얇은 종이에 베인 건데도, 칼에 베인 것만큼이나 따갑습니다. 종이에 베인 상처에선 피도 거의 나지 않는데 왜 이렇게 따가운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이 엉뚱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파헤친 연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종이에 베인 상처가 유독 따가운 이유
종이에 베였을 때 따가운 이유는 우리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가장 먼저, 손가락이 아픈 걸 바로 느끼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손으로 다양한 물건을 만지는데, 뜨겁거나 날카로운 물건을 만지다 다치기 쉬워요. 이러한 위협을 막기 위해 손에는 아픈 걸 느끼는 ‘통각 세포’가 모여 있어요. 손에 통각 세포가 많으므로 다쳤을 때 빨리 반응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 종이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종이 표면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울퉁불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종이는 칼처럼 깔끔한 상처를 내지 않고, 톱날처럼 피부를 찢어 큰 고통을 줍니다.
마지막으로, 종이에 베인 상처가 얕기 때문이에요. 피가 날 만큼 깊게 베인 경우, 피가 굳으면서 딱지를 만듭니다. 딱지가 생기면 세균 등 외부의 공격을 막아주기 때문에 덜 아프게 느껴져요. 하지만 피가 나지 않는 얕은 상처는 세균이 공격하기 쉬워서 조금 더 오래 아프답니다. 이 밖에도 종이를 하얗게 만드는 화학약품이 상처를 더욱 따갑게 만들 뿐만 아니라, 상처를 간지럽게 만들기도 합니다.
가장 날카로운 종이의 정체는…과학잡지?
그렇다면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최근 덴마크공과대학교 연구팀이 이 궁금증을 해결했어요. 연구팀은 휴지, 잡지, 프린트 용지, 책, 명함, 사진 등 다양한 두께의 종이를 모았습니다. 이후 사람 피부와 비슷하게 만든 젤라틴을 활용해, 어떤 종이가 가장 날카로운지 비교했어요. 젤리에도 사용되는 젤라틴은 동물의 피부나 연골, 관절에 풍부한 콜라겐에서 떼어낸 물질입니다. 그래서 피부와 비슷한 성질을 갖도록 만들 수 있어요.
실험 결과, 주로 과학잡지에 사용되는 65㎛(0.065㎜) 두께의 종이가 가장 위험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종이 두께가 65㎛보다 얇으면 손가락에 닿자마자 휘어집니다. 반대로 종이가 65㎛보다 두꺼우면 종이에 가해지는 힘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아 베일 확률이 낮아졌습니다. 연구팀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65㎛ 종이칼을 제작한 결과, 오이, 사과 심지어 닭고기까지 잘라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즉 종이가 우리 생각보다 더 날카롭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종이에 베이는 일은 갑작스럽게 일어나므로 미리 대처하기는 어렵습니다. 대신 손이 건조할수록 베이기 쉬우니, 로션을 자주 바르면 예방할 수 있어요. 만약 종이에 베였다면, 따갑더라도 물과 비누로 상처를 씻어내 세균 감염을 막고, 반창고를 붙이는 것이 좋답니다.
손가락이 잘 베이는 종이는?(아야!)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물질의 성질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3학년 1학기 과학 - 물질의 성질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 남예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 EZ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책을 읽거나, 종이접기에 집중하다가 종이에 베여본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얇은 종이에 베인 건데도, 칼에 베인 것만큼이나 따갑습니다. 종이에 베인 상처에선 피도 거의 나지 않는데 왜 이렇게 따가운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이 엉뚱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파헤친 연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울퉁불퉁 도로의 포트홀, 해바라기유로 고친다?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Story] 위고비의 뜻밖의 효능들
으어~ 읽으면서도 그저께 종이에 베여 밴드를 붙이고 있는 약지 손가락의 고통이 또 느껴집니다 덜덜
2024-08-27
답글 0
재미있고 흥미있는...
2024-08-19
답글 0
손이 베어지는 종이의 두께만 skduf하지 말고 종이의 종류별 두께도 함께 설명해줘야 하는거 아닐까?
연구팀은 휴지, 잡지, 프린트 용지, 책, 명함, 사진 등 다양한 두께의 종이를 비교 분석했다면서 왜 종류별 두께 설명은 안하는것인가?
2024-08-19
답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