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냉동인간은 과연 회생할 수 있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2689호 2016년 07월 06일
지난 2011년 대학생이었던 23세의 미국인 킴 수오지(Kim Suozzi) 씨가 치료가 불가능한 뇌종양 진단을 받았다. 죽음이 다가오면서 그녀는 결단을 내렸다. 바로 냉동인간이 되겠다는 것. 의학이 발전한 미래 어느 시점에 자신의 육체가 치료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슬픔에 빠져 있던 그의 아버지와 남자친구는 그녀의 뜻을 따랐다. 23년 된 그녀의 뇌를 애리조나 주에 있는 알코어(Alcor) 생명연장재단의 냉동보존(cryopreservation) 설비 속에 안치했다. 그리고 먼저 안치된 30여 명의 시신들과 함께 생명이 소생될 때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지난해 5월에는 중국 최초의 냉동인간이 탄생했다. 중국에서 유명한 60대 여류 작가 두훙(杜虹)은 5월 30일 췌장암으로 숨을 거둔 후 냉동인간이 되기를 희망했다. 유언에 따라 그녀가 숨을 거두는 순간 그녀의 머리는 미국인 의료진에 의해 40℃ 상태의 얼음 관에 넣어졌다.
■ 불로장생(不老長生) 꿈꾸는 냉동인간 200구 넘어
그리고 미국 LA에 있는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으로 이송됐다. 그녀의 머리는 앞으로 50년 동안 냉동인간으로 보존될 예정. 두홍의 희망대로 50년 후 의료기술이 발전해 냉동인간을 되살려낼 수 있다면 우리 인류는 불로장생의 시대를 맞게 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세포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냉동보존술(cryonics)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을 이론적으로 최초 정립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에틴거(Robert Ettinger)다.
유대인이었던 그는 1962년 ‘냉동인간(The Prospect of Immortality)’을 출간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냉동 및 해동 과정에서의 세포 손상을 막을 수 있다면 인체 냉동보존이 가능하며, 이후 인체 세포의 손상을 치료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틴거는 이런 신념으로 1976년 미국 디트로이트에 냉동보존연구소(Cryonics Institute)를 세웠다. 그리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신체를 장기 보관해 주는 일을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냉동인간은 1977년 사망한 그의 어머니였다.
2000년에는 그의 두 번째 아내와 함께 먼저 사망한 첫 번째 아내를 냉동시켰다.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냉동인간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이 늘기 시작했다. 그리고 39년이 지난 지금 냉동보존되고 있는 시신은 세계적으로 200구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냉동인간이 계속 늘고 있지만 그러나 이들이 다시 회생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캐나다 맥길대의 뇌과학자인 마이클 헨드릭스(Michael Hendricks) 교수는 ‘냉동인간의 꿈’을 격렬히 비난하고 있다.
■ “냉동인간의 부활은 말장난에 불과해”
그는 킴 수오지 씨가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육체적·정신적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트랜스휴머니스트(transhumanist)들의 꼬임에 빠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기술로 사람을 되살릴 수 있다는 이들의 주장이 ‘허황된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
실제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뇌과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커넥토믹스(connectomics) 연구결과를 인용해서 냉동인간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커넥토믹스란 뇌 속 뉴런(신경세포) 간의 연결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이 기술을 통해 마음과 기억, 심지어 성격에 이르기까지 복원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핸드릭스 교수는 이들 과학자들이 커넥토믹스의 적용 범위를 과신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사람의 마음과 기억, 심지어 성격에 이르기까지 복원할 수 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펴나가고 있다는 것. 지금의 과학은 물론 미래 과학에 있어서도 그런 일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냉동보존술(cryonics)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영하 196℃의 상태에서 뇌를 보존해 그 안에 들어있는 정보들을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이들 정보들을 되살려 낼 수 있는지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리한 것으로 확인된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을 예로 들었다. 자신이 지난 30여 년 간 선충의 신경세포를 연구해왔다고 밝히고, 이런 작은 벌레의 신경세포에서조차 ‘마음’을 복제하기에는 그 정보가 극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2000여 명 생존자 시신 냉동보관에 서명
작년 10월 20일에는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뇌과학자 데이비드 크리픈(David W. Crippen) 교수 등 3명의 교수진이 헨드릭스 교수의 주장을 지지하는 글을 실었다. 예쁜꼬마선충 연구 결과 신경세포 연구만으로 마음의 비밀을 밝혀내기는 역부족이라는 주장이다.
이들 교수들은 뇌 세포 속에 분자 수준에서 전기화학적인 특성들이 상존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이 소요돼야 하고 또 인간이 과연 이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연례 ‘의식과학학회(Association for the Scientific Study of Consciousness)’에서도 유사한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자와 철학자의 만남을 통해 기계가 철학적 사고를 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러나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리고 싶은 인간의 희망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야후 뉴스에 따르면 한 사람의 시신을 냉동보관하려면 27만 달러(한화 약 3억1200만원)를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에 지불해야 한다.
킴 수오지 씨처럼 뇌만 보관하려면 11만 달러(한화 약 1억2700만원)를 지불해야 한다. 적지 않은 금액을 지불해야 하지만 불로장생을 꿈꾸며 죽은 후 시신을 냉동보관하려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며 줄을 잇고 있다.
‘허핑턴 포스트’에 따르면 200여구의 시신이 냉동 중에 있는 가운데 2000여 명의 생존자가 사망 후 냉동보관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불로장생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사람들의 열망을 보여주고 있다.
글 : 이강봉 사이언스타임즈 편집위원
슬픔에 빠져 있던 그의 아버지와 남자친구는 그녀의 뜻을 따랐다. 23년 된 그녀의 뇌를 애리조나 주에 있는 알코어(Alcor) 생명연장재단의 냉동보존(cryopreservation) 설비 속에 안치했다. 그리고 먼저 안치된 30여 명의 시신들과 함께 생명이 소생될 때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지난해 5월에는 중국 최초의 냉동인간이 탄생했다. 중국에서 유명한 60대 여류 작가 두훙(杜虹)은 5월 30일 췌장암으로 숨을 거둔 후 냉동인간이 되기를 희망했다. 유언에 따라 그녀가 숨을 거두는 순간 그녀의 머리는 미국인 의료진에 의해 40℃ 상태의 얼음 관에 넣어졌다.
■ 불로장생(不老長生) 꿈꾸는 냉동인간 200구 넘어
그리고 미국 LA에 있는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으로 이송됐다. 그녀의 머리는 앞으로 50년 동안 냉동인간으로 보존될 예정. 두홍의 희망대로 50년 후 의료기술이 발전해 냉동인간을 되살려낼 수 있다면 우리 인류는 불로장생의 시대를 맞게 되는 것이다.

사진 1. 인체를 냉동보관하는 질소 탱크 ‘듀어(Dewar)’
(출처: 알코어 생명연장재단)
많은 사람들이 이런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세포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냉동보존술(cryonics)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을 이론적으로 최초 정립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에틴거(Robert Ettinger)다.
유대인이었던 그는 1962년 ‘냉동인간(The Prospect of Immortality)’을 출간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냉동 및 해동 과정에서의 세포 손상을 막을 수 있다면 인체 냉동보존이 가능하며, 이후 인체 세포의 손상을 치료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에틴거는 이런 신념으로 1976년 미국 디트로이트에 냉동보존연구소(Cryonics Institute)를 세웠다. 그리고 영하 196℃의 액체질소 탱크 속에 신체를 장기 보관해 주는 일을 시작했다. 그의 첫 번째 냉동인간은 1977년 사망한 그의 어머니였다.
2000년에는 그의 두 번째 아내와 함께 먼저 사망한 첫 번째 아내를 냉동시켰다. 이 소식이 알려지면서 냉동인간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이 늘기 시작했다. 그리고 39년이 지난 지금 냉동보존되고 있는 시신은 세계적으로 200구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2. 냉동인간이 된 미국 심리학자 ‘제임스 베드포드’를 옮기는 모습(출처: 알코어 생명연장재단)
냉동인간이 계속 늘고 있지만 그러나 이들이 다시 회생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캐나다 맥길대의 뇌과학자인 마이클 헨드릭스(Michael Hendricks) 교수는 ‘냉동인간의 꿈’을 격렬히 비난하고 있다.
■ “냉동인간의 부활은 말장난에 불과해”
그는 킴 수오지 씨가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육체적·정신적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트랜스휴머니스트(transhumanist)들의 꼬임에 빠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학기술로 사람을 되살릴 수 있다는 이들의 주장이 ‘허황된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것.
실제로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뇌과학에서 시도하고 있는 커넥토믹스(connectomics) 연구결과를 인용해서 냉동인간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커넥토믹스란 뇌 속 뉴런(신경세포) 간의 연결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트랜스휴머니스트들은 이 기술을 통해 마음과 기억, 심지어 성격에 이르기까지 복원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핸드릭스 교수는 이들 과학자들이 커넥토믹스의 적용 범위를 과신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사람의 마음과 기억, 심지어 성격에 이르기까지 복원할 수 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펴나가고 있다는 것. 지금의 과학은 물론 미래 과학에 있어서도 그런 일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냉동보존술(cryonics)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영하 196℃의 상태에서 뇌를 보존해 그 안에 들어있는 정보들을 보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이들 정보들을 되살려 낼 수 있는지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리한 것으로 확인된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을 예로 들었다. 자신이 지난 30여 년 간 선충의 신경세포를 연구해왔다고 밝히고, 이런 작은 벌레의 신경세포에서조차 ‘마음’을 복제하기에는 그 정보가 극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2000여 명 생존자 시신 냉동보관에 서명
작년 10월 20일에는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뇌과학자 데이비드 크리픈(David W. Crippen) 교수 등 3명의 교수진이 헨드릭스 교수의 주장을 지지하는 글을 실었다. 예쁜꼬마선충 연구 결과 신경세포 연구만으로 마음의 비밀을 밝혀내기는 역부족이라는 주장이다.
이들 교수들은 뇌 세포 속에 분자 수준에서 전기화학적인 특성들이 상존하고 있으며, 이들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이 소요돼야 하고 또 인간이 과연 이 비밀을 밝혀낼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최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연례 ‘의식과학학회(Association for the Scientific Study of Consciousness)’에서도 유사한 주장이 제기됐다. 과학자와 철학자의 만남을 통해 기계가 철학적 사고를 할 수 없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그러나 죽은 사람을 다시 살리고 싶은 인간의 희망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야후 뉴스에 따르면 한 사람의 시신을 냉동보관하려면 27만 달러(한화 약 3억1200만원)를 알코어 생명연장재단에 지불해야 한다.
킴 수오지 씨처럼 뇌만 보관하려면 11만 달러(한화 약 1억2700만원)를 지불해야 한다. 적지 않은 금액을 지불해야 하지만 불로장생을 꿈꾸며 죽은 후 시신을 냉동보관하려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며 줄을 잇고 있다.
‘허핑턴 포스트’에 따르면 200여구의 시신이 냉동 중에 있는 가운데 2000여 명의 생존자가 사망 후 냉동보관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불로장생의 꿈을 키워가고 있는 사람들의 열망을 보여주고 있다.
글 : 이강봉 사이언스타임즈 편집위원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불멸의 꿈이라,,,,언제나
2016-07-13
답글 0
안녕하세요. 과학향기 편집부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을 다시 확인한 결과 그냥 40도가 아니라 '영하 40도'인데 잘못 표기됐습니다. 앞으로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하겠습니다.
과학향기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2016-07-08
답글 0
대사기극
2016-07-06
답글 0
어젯밤 잠들기 전 아들이 궁금해하던 내용이었는데 과학향기에 올라와서 프린트 했습니다. 오늘 아들과 다시 토의해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2016-07-06
답글 0
그것은 사실 물리학자들 중 일부가 절대적으로 믿고 있는 [시간의 화살]이라는 이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이야기입니다. 그것은 지금까지 인류의 탄생, 아니 우주의 발생과 그 기원에 최초의 동기인 조물주적 존재의 시간의 화살이라는 것이 작용했고 그것을 돌리는 기술은 신만이 알고 있다는 생각이므로 절대시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하여는 저는 제 블로그에 자세한 내용과 그 실제에 대한 저의 생각을 교황청과 나누었다고 실은 바 있습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생략합니다. 아무튼 냉동인간술에 대하여는 저는 반대합니다.
2016-07-06
답글 0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다만 내용 중에 오류가 있는 듯 하여 확인 부탁을 드립니다.
세 번째 문단에 두홍의 머리는 40℃ 상태 얼음관에 있다고 하는데,
40℃에서 얼음으로 존재하려면 기압 조정을 한 관인가요?
2016-07-0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