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네안데르탈인은 무얼 먹고 살았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845호 2023년 04월 03일3D 애니메이션 ‘아이스 에이지’(Ice Age)의 주인공 3인방 중 하나인 맨프레드(Manfred)는 북슬북슬한 털을 가진 수컷 매머드다. 맨프레드는 아내와 자식을 잃고 차갑고 무뚝뚝한 성격으로 바뀌었다. 누가 그 아내와 자식을 죽였을까? 2편부터 나오는 암컷 매머드 엘리(Elli)는 어릴 때 부모를 잃어 자신이 매머드인지도 모른다. 그 부모는 어떻게 사라졌을까?
‘아이스 에이지’는 2만년 전의 빙하기를 배경으로 한다. 호모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이 공존했을 수도 있는 시기다. 마지막 빙하기인 2만 년 전이라면, 호모사피엔스는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퍼져나갔고, 네안데르탈인은 거의 멸종하고 사라진 시기다. 호모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이 잠깐 같이 살았던 시기에, 누가 매머드를 더 잘 사냥했을까?
네안데르탈인의 훌륭한 단백질원, 코끼리
네안데르탈인이 지금 아프리카코끼리보다 2~3배 큰 거대 코끼리를 사냥하고 죽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대와 네덜란드 라이덴대 공동 연구팀은 멸종한 곧은상아코끼리(Palaeoloxodon antiquus)가 12만5천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에게 잡혀 죽은 흔적을 발견했다. 곧은상아코끼리는 홍적세 유라시아 대륙에서 가장 큰 동물이다. 다 자란 수컷은 키 4m에 몸무게가 13t이나 되며, 매머드보다 크다.
연구팀이 3천4백개가 넘는 뼈를 일일이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뼈에서 찍히거나 긁힌 자국이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이 석기로 찌르거나 때려 잡은 흔적이다. 늑대나 하이에나 같은 짐승이 덤벼든 흔적은 없다. 네안데르탈인은 심지어 돌칼로 마지막 살 한 점까지 꼼꼼하게 저며낸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서 불을 피운 흔적도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이 찢은 고깃덩이를 돌판에 올려 놓고 구워먹었을까? 남은 건 돌선반에 올려 놓고 말렸을까? 잡힌 코끼리는 다 자란 수컷이다. 코끼리는 암컷과 새끼는 무리 지어 살지만, 다 자란 수컷은 혼자 다니기 때문에 함정으로 몰아 사냥하기가 쉬운 편이다.
네안데르탈인도 게 맛을 알았다!
네안데르탈인은 게도 잡아 먹었다. 스페인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연구소는 포르투갈 리스본 주변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결과, 635조각을 합치면 적어도 33마리가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게의 종류는 지금도 유럽 서부와 남부에서 즐겨 먹는 ‘브라운 크랩’(Cancer pagurus)이다. 껍데기에 남은 흔적으로 볼 때, 새나 쥐에게 잡아 먹혔을 가능성은 낮다.
등딱지와 집게발의 크기를 재본 결과 등딱지는 크기 16㎝가 넘고 살이 200g 가량 나오는, 큰 개체만 잡은 것으로 추정됐다. 등딱지나 집게발을 쪼갠 도구는 다르지만, 요즘 게를 먹는 방식과 비슷하다. 게 껍데기가 불에 그을린 흔적도 나왔다. 섭씨 150∼260℃의 불에 통째로 구운 뒤, 돌로 껍데기를 깨고 살을 빼먹었을 것이다. 그들도 게맛을 알았을까?
네안데르탈인은 굳이 그 거대한 코끼리를 사냥할 필요가 있었을까? 당시 가장 큰 동물은 잡는 것도 위험하지만, 다 먹지도 못할 고깃덩어리를 굳이 사냥하지는 않았을 터다. 독일과 네덜란드의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이 100명 이상 모여 집단생활 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이전까지 20명 이하로 모여 살았다는 가설을 반박하는 주장이다.
네안데르탈인 집단, 생각보다 컸을 수도
당시 돌칼로 볼 때, 10톤이 넘는 고깃덩어리를 먹을 수 있을 만큼 떼내는 데는 6~10일이 걸렸을 것이다. 무리가 25명이라면 석 달, 100명이라면 한 달, 350명이라면 일주일 동안 먹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뼈에 붙은 마지막 살 한 점까지 발라먹은 걸 보면, 음식이 풍족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고깃덩어리를 오래 보관하는 방법을 알았거나, 집단이 훨씬 컸을 수 있다는 실마리다.
게도 마찬가지다. 큰 게를 맨손으로 잡는 게 쉽지 않았을 것이다. 썰물로 물이 빠졌을 때, 여러 명이 동굴 주변 웅덩이에서 창을 써서 잡았을 가능성이 높다. 네안데르탈인이 하이에나처럼 죽은 동물의 사체나 뜯어먹으며 연명하던 동굴 원시인이라는 낡은 관념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호모사피엔스’(Homo sapiens, 슬기로운 인간)보다 열등한 ‘호모스투피두스’(Homo stupidus, 멍청한 인간)가 아닐지도 모른다.
그들은 왜 그리 많은 칼로리가 필요했을까? 키가 남성 167㎝, 여성 154㎝로 현재 인류보다는 작지만, 당시 호모사피엔스보다는 상당히 큰 몸집이다. 이런 몸을 유지하려면 필요한 최소 열량이 하루 4,000kcal로, 호모사피엔스보다 적어도 30% 이상 많았을 것이다. 이 정도 열량을 섭취하려면 육식이 불가피하다. 네안데르탈인들이 큰 짐승을 사냥하는데 그토록 집착한 이유다. 사냥에 성공하면 폭식하고, 실패하면 굶주리는 생활로 얼마나 오래 살 수 있을까?
몸집이 작았던 호모사피엔스는 사냥에 실패하면, 영민하게 식물의 씨를 빼먹고 과일을 따먹고 뿌리도 캐먹었다. 마지막 빙하기에 네안데르탈인은 사냥감이 없어 쫄쫄 굶었지만, 호모사피엔스는 채식으로 꿋꿋하게 버텼다. 고깃덩어리로 폭식하고 나서 ‘간헐적 단식’으로 건강을 관리하려는 호모사피엔스에게 네안데르탈인이 이렇게 말할 것이다. “골고루 꾸준하게 먹는 게 살아남는 법이야!”
글: 허두영 과학칼럼니스트 / 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ScienceON 관련논문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확실히 흥미가 있네요. 잘 보았습니다. 아멘. 고맙습니다.
2023-04-07
답글 0
재미있는 내용 잘 읽었습니다. 마지막 문장에서는 호모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2023-04-03
답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