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도레미파솔라시도~ 소리가 보인다?
<KISTI의 과학향기> 제411호 2006년 02월 24일
“엄마, 엄마. 옆집 형이 소리를 볼 수 있다는데 형이 거짓말 하는 거죠? 소리는 못 보는 거죠?”
“음.. 아닌데. 소리도 볼 수 있는데”
“소리는 귀로 듣는 건데 어떻게 눈으로 봐요?”
“현민아! 우리 눈으로 소리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주위 물건들을 조금만 응용한다면 소리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질 수도 있단다”
“정말? 어떻게 소리를 볼 수도 있고 만질 수도 있어? 빨리 보여줘 엄마”“호호. 그래 그래 알았어. 어디 보자, 여기 종이컵이 있네? 현민아, 종이컵을 입에 대고 아~ 하고 소리를 내보렴”
“아~~~ ”
“어때? 종이컵이 좀 이상하지 않아?”
“응 엄마, 종이컵이 작게 바르르~ 울려”“그렇지? 그럼 소리를 좀 더 크게 내볼래?”
“아~~~~~”
“이번에는 어때?”
“조금 전보다 더 세게 울리는 것 같아.”
“그래 현민아, 소리는 현민이처럼 아주 개구쟁이여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해요. 그래서 아~ 하고 소리를 내면 사방으로 도망치듯 소리가 퍼지는데 이때 앞에 있는 공기 친구들을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퍼진단다. 그렇기 때문에 종이컵에 입을 대고 소리를 내면 종이컵이 울리는 거란다.”
(소리의 파동은 소리가 울려퍼지는 방향으로 매질이 압축하고 이완하면서 퍼지기 때문에 종파라고 한다. 하지만 파도나 열 같은 경우는 매질이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횡파라고 한다.)
“아 ~ 그렇구나!”
“그럼 이번에는 좀 더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볼까?”
“어떤 실험을 해 볼 건데?”
“소리의 음높이에 따라 소리를 잡아 낼 수 있는 기구를 만들어 보자!”
“와~ 정말 재미있겠다! 엄마~ 빨리 만들어 주세요”
“그래. 그럼 우리 같이 만들어 볼까?”
현민이와 현민이 엄마가 소리 잡는 기구를 만드는 방법
준비물 : 종이컵 1개, 빨대 1개 (야쿠르트 마시는 빨대), 플라스틱 빗자루 솔 여러 가닥 또는 가느다란 플라스틱 막대, 바늘, 글루건 또는 본드
만드는 방법 :
1. 빨대를 자에 맞춘 후, 적당한 길이(밑에서 2~3cm)에서부터 바늘을 이용해 0.5cm 간격으로 5~6개 정도의 구멍을 낸다.
이때 구멍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주의한다.
2. 플라스틱 빗자루에서 뽑은 빗자루 솔을 한 쪽 구멍에 넣고 반대편 구멍으로 빼낸 후, 솔의 중간부분이 빨대 중앙에 올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플라스틱 솔을 빨대 구멍에 끼워도 좋고 순간접착제로 붙여도 상관없다. 다만 적당한 간격으로 가지런히 붙이는 것이 중요하다.)
3. 5~6개의 솔을 다 넣어 안테나 모형처럼 만든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솔부터 적당한 길이로 양쪽 끝을 잘라내어 아래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만든다. 전체적인 모양이 위로 갈수록 짧고, 아래로 갈수록 길어지는 사다리꼴이 되도록 만든다.
이 때 각 솔의 길이는 적당하게 맞추면 된다.
4. 이렇게 만든 안테나를 종이컵 뒷면의 중앙에 글루건으로 붙인다.
(글루건이 없을 경우 본드로 붙인다. 이때 글루건을 너무 많이 쏘면 진동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양을 쓴다.)
5. 글루건이 마를 때까지 약 5분 정도 기다리면 멋진 소리 잡는 기구 완성!!
완성된 기구를 손으로 감싼 뒤 종이컵 입구에 입을 대고 도~레~미~파~솔~라~시~도~ 음을 바꿔가며 소리를 내 본다.
그러면 각 음에 맞는 플라스틱 솔이 공명을 내며 진동하게 된다.
“와~ 신기하다 엄마 내가 만든 것 좀 봐. 내가 ‘미~’ 하면 첫번째 솔이 바르르 떨리고 그 다음 두번째 솔은 ‘솔’할 때 바르르 하고 떨려”
“어때 현민아, 소리를 정말 눈으로 볼 수 있지?”
“응. 그런데 어떻게 소리를 볼 수 있는 거야?”
“이 소리 잡는 기구의 원리는 소리의 공명을 이용한 것이란다”
“공명이요? 공명이 뭐에요?”
“공명을 설명하기 전에, 모든 물체는 진동을 하면서 소리를 내는데 물체가 가진 고유 진동수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게 된단다.”
“고유 진동수요?”
“응. 고유 진동수는 그 물체만이 가지고 있는 진동수를 말하는데 물체에 따라 여러 개의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도 있단다.”
“그런데 이 진동수와 공명이 무슨 상관이 있어요?”
“응. 설명해 줄게. 소리는 물체가 진동하면서 나는 것이고 그 물체는 고유 진동수를 가지고 있다고 했지? 그리고 소리는 공기라는 매질을 앞뒤로 밀면서 전파되고 말야.
공명이란 어떤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똑같은 진동수를 갖는 소리를 내면 그 물체를 직접적으로 울리지 않더라도 그 물체가 진동하는 것을 말한단다. 즉, 학교에 현민이와 똑같은 이름을 가진 친구가 있다면, 선생님이 ‘현민아~!’ 하고 부를 때 너와 그 친구가 동시에 ‘예~’ 하고 대답하듯이 공명이라는 것은 그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을 울려주게 되면 그 물체도 같이 진동하는 것을 말하는 거야”
“아~. 그러니까 공명은 같은 친구들끼리 반응을 보인다라는 것이구나?”
“그렇지. 이 기구도 역시 똑같단다. 현민이 네가 ‘미~’ 하면 이 플라스틱 솔 중에서 ‘미’음과 유사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솔이 반응해 울리게 되는 것이지. 이제 알겠지?”
“아~ 그렇구나. 와 정말 신기하다. 그럼 엄마! 솔의 길이나 그 형태를 다르게 하면 또 다른 소리를 잡아낼 수 있겠네요”
“그렇지. 지금은 솔의 중심이 빨대 중심에 오도록 만들었지만 서로 다른 길이가 되도록 만들거나, 솔의 길이를 다양하게 한다면 한쪽은 떨고 한쪽은 떨지 않을 수도 있겠지?”
“그렇구나. 다시 한번 만들어 봐야지”
소리에 대한 실험은 구하기 힘든 도구나 무엇을 사지 않아도 집에 있는 여러가지 물건으로 쉽게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위 실험도구의 경우 약 10분 정도면 만드실 수 있습니다.) 집에서 아이들과 같이 만들어 보면서 설명을 해 주시면 아이들이 좀 더 쉽게 과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만들어 보시고 각각 어떤 음일 때 진동을 하는지 의견글로 서로 나눠보는 시간도 좋을 듯 합니다. (글 : 과학향기 편집부)
“음.. 아닌데. 소리도 볼 수 있는데”
“소리는 귀로 듣는 건데 어떻게 눈으로 봐요?”
“현민아! 우리 눈으로 소리를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주위 물건들을 조금만 응용한다면 소리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질 수도 있단다”
“정말? 어떻게 소리를 볼 수도 있고 만질 수도 있어? 빨리 보여줘 엄마”“호호. 그래 그래 알았어. 어디 보자, 여기 종이컵이 있네? 현민아, 종이컵을 입에 대고 아~ 하고 소리를 내보렴”
“아~~~ ”
“어때? 종이컵이 좀 이상하지 않아?”
“응 엄마, 종이컵이 작게 바르르~ 울려”“그렇지? 그럼 소리를 좀 더 크게 내볼래?”
“아~~~~~”
“이번에는 어때?”
“조금 전보다 더 세게 울리는 것 같아.”
“그래 현민아, 소리는 현민이처럼 아주 개구쟁이여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해요. 그래서 아~ 하고 소리를 내면 사방으로 도망치듯 소리가 퍼지는데 이때 앞에 있는 공기 친구들을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퍼진단다. 그렇기 때문에 종이컵에 입을 대고 소리를 내면 종이컵이 울리는 거란다.”
(소리의 파동은 소리가 울려퍼지는 방향으로 매질이 압축하고 이완하면서 퍼지기 때문에 종파라고 한다. 하지만 파도나 열 같은 경우는 매질이 파동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횡파라고 한다.)
“아 ~ 그렇구나!”
“그럼 이번에는 좀 더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볼까?”
“어떤 실험을 해 볼 건데?”
“소리의 음높이에 따라 소리를 잡아 낼 수 있는 기구를 만들어 보자!”
“와~ 정말 재미있겠다! 엄마~ 빨리 만들어 주세요”
“그래. 그럼 우리 같이 만들어 볼까?”
현민이와 현민이 엄마가 소리 잡는 기구를 만드는 방법
준비물 : 종이컵 1개, 빨대 1개 (야쿠르트 마시는 빨대), 플라스틱 빗자루 솔 여러 가닥 또는 가느다란 플라스틱 막대, 바늘, 글루건 또는 본드
만드는 방법 :
1. 빨대를 자에 맞춘 후, 적당한 길이(밑에서 2~3cm)에서부터 바늘을 이용해 0.5cm 간격으로 5~6개 정도의 구멍을 낸다.
이때 구멍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주의한다.
2. 플라스틱 빗자루에서 뽑은 빗자루 솔을 한 쪽 구멍에 넣고 반대편 구멍으로 빼낸 후, 솔의 중간부분이 빨대 중앙에 올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플라스틱 솔을 빨대 구멍에 끼워도 좋고 순간접착제로 붙여도 상관없다. 다만 적당한 간격으로 가지런히 붙이는 것이 중요하다.)
3. 5~6개의 솔을 다 넣어 안테나 모형처럼 만든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솔부터 적당한 길이로 양쪽 끝을 잘라내어 아래로 갈수록 길어지도록 만든다. 전체적인 모양이 위로 갈수록 짧고, 아래로 갈수록 길어지는 사다리꼴이 되도록 만든다.
이 때 각 솔의 길이는 적당하게 맞추면 된다.
4. 이렇게 만든 안테나를 종이컵 뒷면의 중앙에 글루건으로 붙인다.
(글루건이 없을 경우 본드로 붙인다. 이때 글루건을 너무 많이 쏘면 진동이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적당한 양을 쓴다.)
5. 글루건이 마를 때까지 약 5분 정도 기다리면 멋진 소리 잡는 기구 완성!!
완성된 기구를 손으로 감싼 뒤 종이컵 입구에 입을 대고 도~레~미~파~솔~라~시~도~ 음을 바꿔가며 소리를 내 본다.
그러면 각 음에 맞는 플라스틱 솔이 공명을 내며 진동하게 된다.
“와~ 신기하다 엄마 내가 만든 것 좀 봐. 내가 ‘미~’ 하면 첫번째 솔이 바르르 떨리고 그 다음 두번째 솔은 ‘솔’할 때 바르르 하고 떨려”
“어때 현민아, 소리를 정말 눈으로 볼 수 있지?”
“응. 그런데 어떻게 소리를 볼 수 있는 거야?”
“이 소리 잡는 기구의 원리는 소리의 공명을 이용한 것이란다”
“공명이요? 공명이 뭐에요?”
“공명을 설명하기 전에, 모든 물체는 진동을 하면서 소리를 내는데 물체가 가진 고유 진동수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게 된단다.”
“고유 진동수요?”
“응. 고유 진동수는 그 물체만이 가지고 있는 진동수를 말하는데 물체에 따라 여러 개의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도 있단다.”
“그런데 이 진동수와 공명이 무슨 상관이 있어요?”
“응. 설명해 줄게. 소리는 물체가 진동하면서 나는 것이고 그 물체는 고유 진동수를 가지고 있다고 했지? 그리고 소리는 공기라는 매질을 앞뒤로 밀면서 전파되고 말야.
공명이란 어떤 물체의 고유 진동수와 똑같은 진동수를 갖는 소리를 내면 그 물체를 직접적으로 울리지 않더라도 그 물체가 진동하는 것을 말한단다. 즉, 학교에 현민이와 똑같은 이름을 가진 친구가 있다면, 선생님이 ‘현민아~!’ 하고 부를 때 너와 그 친구가 동시에 ‘예~’ 하고 대답하듯이 공명이라는 것은 그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을 울려주게 되면 그 물체도 같이 진동하는 것을 말하는 거야”
“아~. 그러니까 공명은 같은 친구들끼리 반응을 보인다라는 것이구나?”
“그렇지. 이 기구도 역시 똑같단다. 현민이 네가 ‘미~’ 하면 이 플라스틱 솔 중에서 ‘미’음과 유사한 고유 진동수를 갖는 솔이 반응해 울리게 되는 것이지. 이제 알겠지?”
“아~ 그렇구나. 와 정말 신기하다. 그럼 엄마! 솔의 길이나 그 형태를 다르게 하면 또 다른 소리를 잡아낼 수 있겠네요”
“그렇지. 지금은 솔의 중심이 빨대 중심에 오도록 만들었지만 서로 다른 길이가 되도록 만들거나, 솔의 길이를 다양하게 한다면 한쪽은 떨고 한쪽은 떨지 않을 수도 있겠지?”
“그렇구나. 다시 한번 만들어 봐야지”
소리에 대한 실험은 구하기 힘든 도구나 무엇을 사지 않아도 집에 있는 여러가지 물건으로 쉽게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위 실험도구의 경우 약 10분 정도면 만드실 수 있습니다.) 집에서 아이들과 같이 만들어 보면서 설명을 해 주시면 아이들이 좀 더 쉽게 과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만들어 보시고 각각 어떤 음일 때 진동을 하는지 의견글로 서로 나눠보는 시간도 좋을 듯 합니다. (글 : 과학향기 편집부)
실험은 이렇게!! |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수력 엘리베이터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달 남극 정복하려는 주요국들의 단두대 매치, 목적과 현황은?
- 36초 남은 마라톤 ‘2시간의 벽’, 과학이 도와줄 수 있을까?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 무음은 소리 ‘없을 무(無)’? 뇌에게는 ‘있을 유(有)’다!
- 영화 <오펜하이머> 개봉: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의 파란만장한 인생
- [한여름 밤의 술] 시원한 여름 맥주, 과학 알면 더 맛있다!
재미있는 실험이네요.. 아이들과 함께 하면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되겠어요.
2009-04-15
답글 0
근데 이거 스펀지였나? 그거랑 비슷한거 같네요;;;
보여주는 방법만 틀리고..하지만..이건 손 쉽게 해 볼 수 있어서..꽤 괜찮은것 같네요~ㅎㅎ앞으로도 이렇게 손쉽게 할수있고,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글 많이 부탁드립니다..
2006-03-04
답글 0
한 번 해봐야겠어요..앞으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실험들 많이 소개해 주세요..늘 감사합니다.
2006-02-27
답글 0
항상 좋은 정보를 보내주셔서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글 쓰기가 익숙치 않아 망설였는데.. 이렇게나마 고마움을 전합니다.
2006-02-25
답글 0
우와 신기하네
2006-02-25
답글 0
그동안 과학향기가 배달되면 시간이 없어서 삭제를 했는데 오늘은 시간이 있어서 유익하게 읽었습니다. 그렇다고 많은 양을 읽을 형편은 아니지만 앞으로 읽는 양을 늘이도록 하겠습니다.
2006-02-25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