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면역력 높이기 위해 뱀독 주입한 남자
2018년 01월 31일“뱀이 내가 된다”
면역력 높이기 위해
뱀독 주입한 남자
뱀독 주입한 남자
만독불침지체
萬毒不侵之體
萬毒不侵之體
세상 어떤 독도 침범하지 못하는 신체.
무협지에서 자주 나오는 설정 중 하나로
모든 독에 면역을 가진 고수를 일컫는 말이다.
무협지에서 자주 나오는 설정 중 하나로
모든 독에 면역을 가진 고수를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현실에서 이와 비슷한
신체를 가진 사람이 실제 등장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4차원 펑크 락커
스티브 러드윈이 그 주인공.
신체를 가진 사람이 실제 등장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4차원 펑크 락커
스티브 러드윈이 그 주인공.
어려서부터 뱀을 좋아한 스티브는
결국 뱀의 독을 몸에 주입하는 취미를 갖게 됐다.
면역력을 높여 젊어지기 위해서다.
결국 뱀의 독을 몸에 주입하는 취미를 갖게 됐다.
면역력을 높여 젊어지기 위해서다.
“한 시간 전에 코브라와 방울뱀 독을 몸에 주사했더니 내가 마치 23살처럼 느껴져요.”
- 스티브 러드윈(the Guardian 인터뷰. 2016년 7월 1일)
- 스티브 러드윈(the Guardian 인터뷰. 2016년 7월 1일)
그는 30년 가까이 온갖 뱀독을 몸에 주입해 왔다.
이제 위험천만한 독은 그에게 에너지 드링크 수준이다.
이제 위험천만한 독은 그에게 에너지 드링크 수준이다.
“뱀독 주입? 내겐 커피 마시는 일 같아요. 에너지를 얻죠.”
- 스티브 러드윈(the Guardian 인터뷰. 2016년 7월 1일)
- 스티브 러드윈(the Guardian 인터뷰. 2016년 7월 1일)
그런데 ‘뱀독인간’에 대한 소문이 퍼지자
수많은 과학자들이 러브콜을 보내왔다.
수많은 과학자들이 러브콜을 보내왔다.
대체 왜?
뱀은 아직 인류에게 거대한 위협이다.
뱀 때문에 1년에 15만 명이 죽고
40만 명이 사지를 절단한다.
뱀 때문에 1년에 15만 명이 죽고
40만 명이 사지를 절단한다.
통상 뱀독 항체에 쓰이는 말의 혈청.
거부반응 때문에 사망사고가 나곤 한다.
하지만 인체를 이용해 만들어진 항체는
부작용이 극히 드물다.
이 때문에 스티브의 몸은
천금같은 보물이 되는 것이다.
천금같은 보물이 되는 것이다.
코펜하겐 대학 브라이언 로제 박사는
스티브를 초청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의 면역 체계는 실로 금광이나 마찬가지입니다"
- 사이먼 글레럽(오르후스 대학 생물의학과 교수)
- 사이먼 글레럽(오르후스 대학 생물의학과 교수)
물론 어려움도 있었다.
스티브의 혈액에는 항체를 만들 때 필요한 B세포가 없었다.
이때문에 골수로부터 B세포를 채취해야 했다.
“고통스러운 절차였지만, 우리는 마침내 충분한 B세포를 추출할 수 있었습니다”
- 브라이언 로제(코펜하겐대학 분자생물학 교수)
- 브라이언 로제(코펜하겐대학 분자생물학 교수)
결국 2년간의 연구 끝에 35종이 넘는 뱀독의 항체인
'스티브 라이브러리'가 완성됐다.
향후 해독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결국 4차원 락커 스티브의 기이한 습관은
많은 이들의 목숨을 살리는 계기가 됐다.
엉뚱한 발상이 세상을 좋게 바꾼 것이다.
많은 이들의 목숨을 살리는 계기가 됐다.
엉뚱한 발상이 세상을 좋게 바꾼 것이다.
이렇게 의외성은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가끔씩은 무모해 보이는 도전이 필요한 이유다.
물론 뱀독 주입은 빼고.
가끔씩은 무모해 보이는 도전이 필요한 이유다.
물론 뱀독 주입은 빼고.
“날 따라하는 사람이 있다면 죽을지도 몰라요. 결코 안전하지 않습니다.”
- 스티브 러드윈(Business Insider 인터뷰. 2016년 6월 17일)
- 스티브 러드윈(Business Insider 인터뷰. 2016년 6월 17일)
글: 김청한 칼럼니스트
디자인: 심수희 디자이너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스마트폰 중독이 인간관계에 끼치는 영향
- 같은 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과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무작정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시각은 잠시 거두자. 이제 호모 모빌리쿠스 시대에 걸맞는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때다.
와우!!! 대단하네요. 근데 저 사람, 누군가가 납치해 가서 똑같은 실험 대상으로 삼으면 어쩌죠?
2018-01-3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