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컵 속에서 떠오르는 신기한 태양!
<KISTI의 과학향기> 제639호 2007년 08월 10일
“와~ 바다다!”
“이 녀석들. 차에서 아주 푸욱~자더니 힘이 넘치는구나.”
8시간의 교통 대란 속에서 막 빠져나온 짠돌 씨는 휴가지에 도착 하자마자 녹초가 됐다.
“얘들아~ 오늘은 날이 저물었으니 어서 저녁 먹고 숙소로 가서 쉬자.”
숙소 근처 횟집에 간 짠돌 씨는 싱싱한 회를 입에 넣으며 생각해 뒀던 휴가 계획을 이야기 했다.
“내일은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일출을 보면서 소원을 빌고, 그 다음 바닷가에서 바나나 보트를 타면서 신나게 놀고, 저녁에는 불꽃놀이를 할거다. 어때?”
“와, 와~! 완전 신나요오~.”
다음 날 아침.
“아빠! 아빠~아! 좀 일어나보세요. 해가 떠오르려 하고 있잖아요!”
“드르렁~휴~. 드르렁~휴~.”
“여보! 이러다 늦겠어요. 아이들과 한 약속인데 지켜야죠. 일어나요, 어서!”
“당신이 애들 데리고 일출 보고와요. 난 좀더 자야겠어. 드르렁~ 드르렁~.”
“아빠 미워!”
아이들은 실망한 눈빛으로 숙소 바닥에 앉아 TV를 보고, 초보주부 김 씨도 입이 퉁퉁 부어 아침 식사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달그락! 덜그럭!. 지글지글~ 보글보글~ 탁! 탁! 탁!”
“아 정말. 시끄러워서 잠을 못자겠네!”
투덜대며 일어난 짠돌 씨. 그러나 아이들과 김 씨의 매서운 눈초리를 받으며 이내 분위기를 파악했다.
“아이쿠 어느새 해가 이렇게…."
“아니 다들 왜 이렇게 기분이 안 좋아 보이지? 자~ 우리 계획대로 일출을 볼까? 소원들은 미리 준비해 왔겠지?”
짠돌 씨는 태연하게 큰 소리로 내면서 숙소에 비치돼 있는 유리컵과 식용유, 알코올 등을 잽싸게 챙겨 밥상으로 가져왔다.
[실험 방법]
1. 준비물 : 투명한 유리컵(음료수 병), 식용유, 빨간색 유성물감(유성매직), 알코올(약국에서 파는 소독용 에탄올), 물
2. 식용유에 빨간색 유성물감을 섞어 빨간색 기름을 만든다.
3. 투명한 유리컵에 알코올을 반쯤 붓는다.
4. 2에서 만든 빨간색 기름 한 숟가락을 3의 알코올이 들어있는 유리컵에 넣는다.
(빨간색 기름이 알코올 아래로 가라앉으며 넓게 퍼진다. 마치 태양이 떠오르기 전 붉은 기운이 동해의 수평선에 걸려 있는 것과 비슷하다.)
5. 4에 천천히 물을 부어 알코올과 섞이게 한다.
(넓게 퍼져있던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공 모양으로 뭉친다. 물을 빨리 부으면 빨간색 기름이 흩어지기 때문에 젓가락을 이용해 천천히 붓는다.)
6. 물을 계속 부으면 빨간색 기름이 동해의 일출처럼 떠오르기 시작한다. 빨간색 기름이 떠오르기 시작하면 물 붓는 것을 멈춘다.
“어, 어라~”
TV 앞에서 곁눈질만 하던 아이들이 어느새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옆에 와서 지켜보고 있다.
“우와, 올라온다, 올라와! 아빠! 여기에 뭘 넣은 거에요?“
“알코올과 물 그리고 빨간색 잉크를 섞은 기름을 넣었지.”
“물은 기름하고 안 섞이잖아요? 기름이 물위에 뜨는 거 같은데?”
“그렇지. 기름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위에 뜨는 거지.”
“그럼 알코올은요?”
“알코올은 기름보다 더 가볍단다. 자, 모든 물질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밀도란 쉽게 말하면 ‘같은 크기가 얼마나 무거운가’를 나타내는 말이란다. 똑같은 크기의 쇠가 솜보다 무거운 이유지. 물, 기름, 알코올을 비교하면 ‘물 〉기름 〉알코올’ 순서로 밀도가 크지.”
“그런데 왜 퍼져있던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해 모양이 된거에요?”
“아하~ 그건 말이지. 기름에 작용하는 두 가지 힘 때문이야. 하나는 위로 뜨려고 하는 부력, 다른 하나는 아래로 떨어지려고 하는 중력이지. 이 두 힘이 똑 같아지면 어떻게 될까?”
“올라가는 힘과 내려가는 힘이 똑같으면 아무 힘도 없는 거겠네요.”
“그렇지. 우리 아들 대단한걸. 이런 상태를 무중력 상태라고 해. 액체는 무중력 상태에서 동그란 공 모양이 되려는 성질이 있어. 가만있자…. 전에 TV에서 우주정거장에 있는 사람들이 양치질하는 거 본 적 있지?”
“아, 맞다. 그때 물이 동그랗게 동동 떠다녔어요.”
“액체를 구성하는 분자들끼리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어서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고 하기 때문에 공 모양이 되는 거란다. 이 실험에서는 물을 조금 넣어 기름에 아무런 힘도 가해지지 않는 무중력 상태를 만들었기 때문에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해 모양이 됐지. 그 다음 물을 계속 넣어서 기름보다 밀도를 높여 위로 떠오르게 한 거야.”
“아빠! 내도 한번 만들어서 소원을 빌래요!”
“나두~. 엄마! 엄마도 얼른 와서 함께 소원 빌어요!”
실험 덕분에 짠돌 씨는 아침에 늦게 일어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무사히 휴가를 즐길 수 있었다. (글 : 과학향기 편집부)
“이 녀석들. 차에서 아주 푸욱~자더니 힘이 넘치는구나.”
8시간의 교통 대란 속에서 막 빠져나온 짠돌 씨는 휴가지에 도착 하자마자 녹초가 됐다.
“얘들아~ 오늘은 날이 저물었으니 어서 저녁 먹고 숙소로 가서 쉬자.”
숙소 근처 횟집에 간 짠돌 씨는 싱싱한 회를 입에 넣으며 생각해 뒀던 휴가 계획을 이야기 했다.
“내일은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일출을 보면서 소원을 빌고, 그 다음 바닷가에서 바나나 보트를 타면서 신나게 놀고, 저녁에는 불꽃놀이를 할거다. 어때?”
“와, 와~! 완전 신나요오~.”
다음 날 아침.
“아빠! 아빠~아! 좀 일어나보세요. 해가 떠오르려 하고 있잖아요!”
“드르렁~휴~. 드르렁~휴~.”
“여보! 이러다 늦겠어요. 아이들과 한 약속인데 지켜야죠. 일어나요, 어서!”
“당신이 애들 데리고 일출 보고와요. 난 좀더 자야겠어. 드르렁~ 드르렁~.”
“아빠 미워!”
아이들은 실망한 눈빛으로 숙소 바닥에 앉아 TV를 보고, 초보주부 김 씨도 입이 퉁퉁 부어 아침 식사 준비를 하기 시작했다.
“달그락! 덜그럭!. 지글지글~ 보글보글~ 탁! 탁! 탁!”
“아 정말. 시끄러워서 잠을 못자겠네!”
투덜대며 일어난 짠돌 씨. 그러나 아이들과 김 씨의 매서운 눈초리를 받으며 이내 분위기를 파악했다.
“아이쿠 어느새 해가 이렇게…."
“아니 다들 왜 이렇게 기분이 안 좋아 보이지? 자~ 우리 계획대로 일출을 볼까? 소원들은 미리 준비해 왔겠지?”
짠돌 씨는 태연하게 큰 소리로 내면서 숙소에 비치돼 있는 유리컵과 식용유, 알코올 등을 잽싸게 챙겨 밥상으로 가져왔다.
[실험 방법]
1. 준비물 : 투명한 유리컵(음료수 병), 식용유, 빨간색 유성물감(유성매직), 알코올(약국에서 파는 소독용 에탄올), 물
2. 식용유에 빨간색 유성물감을 섞어 빨간색 기름을 만든다.
3. 투명한 유리컵에 알코올을 반쯤 붓는다.
4. 2에서 만든 빨간색 기름 한 숟가락을 3의 알코올이 들어있는 유리컵에 넣는다.
(빨간색 기름이 알코올 아래로 가라앉으며 넓게 퍼진다. 마치 태양이 떠오르기 전 붉은 기운이 동해의 수평선에 걸려 있는 것과 비슷하다.)
5. 4에 천천히 물을 부어 알코올과 섞이게 한다.
(넓게 퍼져있던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공 모양으로 뭉친다. 물을 빨리 부으면 빨간색 기름이 흩어지기 때문에 젓가락을 이용해 천천히 붓는다.)
6. 물을 계속 부으면 빨간색 기름이 동해의 일출처럼 떠오르기 시작한다. 빨간색 기름이 떠오르기 시작하면 물 붓는 것을 멈춘다.
“어, 어라~”
TV 앞에서 곁눈질만 하던 아이들이 어느새 초롱초롱한 눈빛으로 옆에 와서 지켜보고 있다.
“우와, 올라온다, 올라와! 아빠! 여기에 뭘 넣은 거에요?“
“알코올과 물 그리고 빨간색 잉크를 섞은 기름을 넣었지.”
“물은 기름하고 안 섞이잖아요? 기름이 물위에 뜨는 거 같은데?”
“그렇지. 기름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위에 뜨는 거지.”
“그럼 알코올은요?”
“알코올은 기름보다 더 가볍단다. 자, 모든 물질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밀도란 쉽게 말하면 ‘같은 크기가 얼마나 무거운가’를 나타내는 말이란다. 똑같은 크기의 쇠가 솜보다 무거운 이유지. 물, 기름, 알코올을 비교하면 ‘물 〉기름 〉알코올’ 순서로 밀도가 크지.”
“그런데 왜 퍼져있던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해 모양이 된거에요?”
“아하~ 그건 말이지. 기름에 작용하는 두 가지 힘 때문이야. 하나는 위로 뜨려고 하는 부력, 다른 하나는 아래로 떨어지려고 하는 중력이지. 이 두 힘이 똑 같아지면 어떻게 될까?”
“올라가는 힘과 내려가는 힘이 똑같으면 아무 힘도 없는 거겠네요.”
“그렇지. 우리 아들 대단한걸. 이런 상태를 무중력 상태라고 해. 액체는 무중력 상태에서 동그란 공 모양이 되려는 성질이 있어. 가만있자…. 전에 TV에서 우주정거장에 있는 사람들이 양치질하는 거 본 적 있지?”
“아, 맞다. 그때 물이 동그랗게 동동 떠다녔어요.”
“액체를 구성하는 분자들끼리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어서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고 하기 때문에 공 모양이 되는 거란다. 이 실험에서는 물을 조금 넣어 기름에 아무런 힘도 가해지지 않는 무중력 상태를 만들었기 때문에 빨간색 기름이 동그란 해 모양이 됐지. 그 다음 물을 계속 넣어서 기름보다 밀도를 높여 위로 떠오르게 한 거야.”
“아빠! 내도 한번 만들어서 소원을 빌래요!”
“나두~. 엄마! 엄마도 얼른 와서 함께 소원 빌어요!”
실험 덕분에 짠돌 씨는 아침에 늦게 일어난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무사히 휴가를 즐길 수 있었다. (글 : 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Story] 칠흑같이 깜깜한 우주…그래서 얼마나 어두운데?
- [과학향기 for Kids] 촉각으로 더 생생해지는 가상현실 세계
- [과학향기 Story] 스페이스X 스타십, 집으로 돌아와 주차까지 완료!
- [과학향기 for Kids] 수력 엘리베이터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고?
- [과학향기 for Kids]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커튼 ‘오로라’
- 2022-2023, ‘양자 개념’이 노벨상 연속으로 차지했다? 양자 연구 톺아보기
- 달 남극 정복하려는 주요국들의 단두대 매치, 목적과 현황은?
- 36초 남은 마라톤 ‘2시간의 벽’, 과학이 도와줄 수 있을까?
- 일장춘몽(一場春夢)이었나? LK-99 초전도체 가능성 ‘0으로 수렴 중’
- [한여름 밤의 술] 샴페인 제대로 즐기려면? 답은 거품 속에 있다!
수업시간에 실험해 보니, 위험하지 않으면서 흥미를 유발해 좋았습니다.
예비실험에서 식용유에 붉은 유성매직 물감을 녹이는 과정이 원활하지 않아서, 고추씨기름을 이용했는데 이 방법이 훨씬 간단하군요.
2011-09-09
답글 0
정말 신기하네요. 빨간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만들다니...과학의 원리를 알면 정말 재미있는 실험을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2009-04-16
답글 0
재미있네요.
2008-03-17
답글 0
꼭 한번 해보고싶네요 ^^
2008-03-17
답글 0
과학 정보를 쉬운 실험과 함께 해서 좋네요.
꼭 해보고 싶어요.
2007-08-13
답글 0
간단해서 아이와 실험하려고 합니다...
2007-08-12
답글 0
우와 인공태양 만드는데 오천원 정도들었네요?
대단하네요 .
2007-08-12
답글 0
좋은 정보 늘 감사드립니다^^
2007-08-11
답글 0
메일이 오면 꼭 보게되요..^^
너무 재미있고 애들한테도 가르쳐 주고 싶어요..
2007-08-11
답글 0
예전에 저도 염화칼슘에 잉크 넣어서 해 본 기억이 나네요 ^^ 오래 두었다가 망했는데 ㅋㅋㅋ
2007-08-10
답글 0
오늘도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2007-08-10
답글 0
아주 간단하면서도 재미있는 실험인 것 같습니다. 한번 배보고 싶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7-08-10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