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태평양에 갑자기 나타난 거대한 돌 무리의 정체는?

2019년 10월 02일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1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2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3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4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5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6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7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8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09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0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1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2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3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4
  • 1002 카드뉴스 최종 200dpi 15
1
뉴질랜드 주변에 있는 남태평양의 섬나라 통가.
일명 ‘혹등고래의 성지’로 유명한 이 곳 주변에서
최근 수많은 돌덩이가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2
그 정체는 부석(浮石, pumice)
화산폭발로 생긴 분출물 중
다공질 지름이 4mm를 넘는 암괴를 말한다.
 
3
별 것 아닌 돌덩이가 유명해진 것은
그 양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부석이 뒤덮은 바다의 넓이는 약 150㎢
축구장으로 치면 무려 2만개에 달하는 엄청난 수치다.
 
4
특히 많은 사람들이 단순한 이슈 이상으로
부석의 등장에 환호하는 모습이다.
 
온난화로 망가진 주변 생태계를
복원시킬 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
 
5
부석이 향하고 있는 대보초(Great Barrier Reef)는
198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록된 아름다운 곳이다.
 
약 2,900개의 개별 산호초와 900여 섬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 산호초 생태계로 꼽힌다.
 
6
그런데 이 대보초가 온난화로 시름을 앓고 있다.
 
산호가 하얗게 변해가면서 죽음에 이르는
산호 백화(coral bleaching) 때문이다.
 
7
바닷속 산호는 황록공생조류(zooxanthellae)라는
원생 동물과 공생관계를 가지고 있다.
 
황록공생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산호는 이산화탄소, 암모늄 등을 서로 제공해주는 것.
 
8
그런데 해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면
이 관계가 깨지면서 산호가 황록공생조류를 배출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하얗게 변한 산호는
영양분 부족으로 생존에 어려움을 겪는다.
 
9
제임스쿡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이는 지금껏 20년이 넘게 대보초에 피해를 끼쳐 왔다.
 
특히 2016년에는 대규모 산호 백화 현상이 발생,
90%가 넘는 개별 산호초가 그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10
그렇다면 어떻게
부석이 대보초 복원에 도움을 준다는 것일까.
 
과학자들은 부석이 가져오는
운반 효과에 주목했다.
 
11
사이언스 얼러트, BBC,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부석이 뗏목처럼 떠다니는 과정에서
수없이 많은 건강한 산호와 따개비류(barnacles), 조류(algae) 등의
생물이 달라붙게 된다고 한다.
 
12
그리고 마침내 커다란 상처를 입은 대보초에 당도하면서
생태계를 복원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퀸즐랜드공대 연구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부석 뗏목이
산호초 복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13
결국 해저 화산활동으로 생긴 돌덩이들이
주변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온난화에 대응하는 자연 나름의
자정작용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14
물론 부석의 역할은 생태계 파괴를 잠시 늦추는 것 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인간의 몫이다.
 
온난화라는 문제가 해결돼
진정한 의미의 대보초 복원이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평가하기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