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오르트 구름’ 넘어 ‘사건의 지평선’으로… 윤하 6집 리패키지 앨범이 담은 과학의 로망
2022년 12월 12일1
'오르트 구름' 넘어 '사건의 지평선'으로...
윤하 6집 리패키지 앨범이 담음 과학의 로망
'오르트 구름' 넘어 '사건의 지평선'으로...
윤하 6집 리패키지 앨범이 담음 과학의 로망
2
최근 음원 역주행으로 화제를 모은 가수,
윤하는 과학에 진심인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 음원 역주행으로 화제를 모은 가수,
윤하는 과학에 진심인 것으로 유명하다.
과학다큐를 즐겨 보며 자신의 존재를 고찰하던 윤하는
음악을 통해 과학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음악을 통해 과학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6집 리패키지 앨범
<END THEORY: Final Edition> 속
흥미로운 과학 소재들을 살펴보자.
<END THEORY: Final Edition> 속
흥미로운 과학 소재들을 살펴보자.
3
역주행의 근원지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은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갈라놓는 경계면을 뜻한다.
역주행의 근원지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은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갈라놓는 경계면을 뜻한다.
즉 사건의 지평선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은
외부에 어떤 식으로든 간섭하거나 영향을 줄 수 없다.
외부에 어떤 식으로든 간섭하거나 영향을 줄 수 없다.
4
대표적인 사례를 블랙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를 블랙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는 빛마저 빠져나오지 못하기에,
우리는 블랙홀을 제대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우리는 블랙홀을 제대로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019년 4월 최초로 성공한 블랙홀 관측 역시
그림자*와 중력으로 왜곡된 주변 빛을 확인한 것이다.
그림자*와 중력으로 왜곡된 주변 빛을 확인한 것이다.
* 빛이 없어 어두운 블랙홀 내부 공간
5
윤하는 연인과의 애틋한 이별을
바로 이 사건의 지평선에 비교했다.
윤하는 연인과의 애틋한 이별을
바로 이 사건의 지평선에 비교했다.
‘많이 많이 그리워하고 고마운 존재’이건만,
단호하게 사건의 지평선을 언급하며
이제는 인연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단호하게 사건의 지평선을 언급하며
이제는 인연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6
앨범의 첫 번째 트랙인 ‘오르트 구름(Oort cloud)’은
네덜란드 천문학자 얀 오르트의 가설을 통해 등장했다.
앨범의 첫 번째 트랙인 ‘오르트 구름(Oort cloud)’은
네덜란드 천문학자 얀 오르트의 가설을 통해 등장했다.
작은 천체가 무수히* 모인 천체집단이
태양계를 구름처럼 감싸고 있는데,
여기서 이탈한 천체들이 혜성이 된다는 것이다.
태양계를 구름처럼 감싸고 있는데,
여기서 이탈한 천체들이 혜성이 된다는 것이다.
* 대략 1×1012~1×1013개로 추정
7
오르트 구름은 아직 관측된 바는 없지만,
혜성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그 존재 여부가 확실시되고 있다.
오르트 구름은 아직 관측된 바는 없지만,
혜성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그 존재 여부가 확실시되고 있다.
정확한 크기는 잘 모르지만,
최대 10만AU*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최대 10만AU*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지구 간 평균 거리: 149,597,870.7km
8
그런데 가사에는 막상 ‘오르트 구름’이란 단어가 보이지 않는다.
노래의 주인공이 얼마 전 태양계를 벗어난 보이저호이기 때문.
그런데 가사에는 막상 ‘오르트 구름’이란 단어가 보이지 않는다.
노래의 주인공이 얼마 전 태양계를 벗어난 보이저호이기 때문.
“두 눈앞의 끝, 사뿐 넘어가
한계 밖의 trip, 짜릿하잖아” 라며
한계 밖의 trip, 짜릿하잖아” 라며
껍질(오르트 구름)을 깨뜨리길 바라는
보이저호의 여정을 응원하는 곡이다.
보이저호의 여정을 응원하는 곡이다.
9
두 번째 트랙 ‘살별’은 혜성의 순우리말로,
주인공은 ‘C/2022YH’라는 천체다.
두 번째 트랙 ‘살별’은 혜성의 순우리말로,
주인공은 ‘C/2022YH’라는 천체다.
여기서 C/는 비주기혜성임을 나타내는 명명,
2022는 발견연도, YH는 발견자를 뜻한다.
즉 C/2022YH는 YH가 2022년에 발견한 비주기혜성이다.
2022는 발견연도, YH는 발견자를 뜻한다.
즉 C/2022YH는 YH가 2022년에 발견한 비주기혜성이다.
10
혜성의 핵은 얼음, 암석, 먼지 입자들로 이뤄져 있다.
살별은 이런 혜성의 입장에서
“돌덩이에 지나지 않더라도 타오를 거야”라며
나를 잊지 말아 달라 노래한다.
“돌덩이에 지나지 않더라도 타오를 거야”라며
나를 잊지 말아 달라 노래한다.
떨어지는 별똥별*을 보며 소원을 비는 낭만이
신나는 리듬과 어우러진 멋진 곡이다.
신나는 리듬과 어우러진 멋진 곡이다.
* 혜성의 부스러기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며 빛을 내는 것
11
다섯 번째 트랙 ‘6년 230일’은
기후 위기 시계를 의미한다.
다섯 번째 트랙 ‘6년 230일’은
기후 위기 시계를 의미한다.
미국 환경운동가 간 골란이 고안한 기후 위기 시계는
기후재앙(산업화 이전 대비 1.5℃ 상승)까지 남은 인류의 시간을 나타낸다.
기후재앙(산업화 이전 대비 1.5℃ 상승)까지 남은 인류의 시간을 나타낸다.
코로나로 경제활동이 주춤하면서
7년을 넘어섰으나 최근 6년으로 도로 회귀하며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7년을 넘어섰으나 최근 6년으로 도로 회귀하며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12
글로벌 환경단체 클라이밋클락(Climate Clock)은
홈페이지*를 통해 시시각각 줄어드는 인류의 시간을
경고하고 있다.
‘6년 230일’ 속 가사 역시
“이번엔 좀 심각하던데
들었어 우리 몫이래”라며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이번엔 좀 심각하던데
들었어 우리 몫이래”라며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 https://climateclock.world/
13
세 번째 트랙 ‘물의 여행’은 ‘한줄기의 미약한 가능성’이
마침내 바다로 향하는 물의 여정을 담았다.
세 번째 트랙 ‘물의 여행’은 ‘한줄기의 미약한 가능성’이
마침내 바다로 향하는 물의 여정을 담았다.
구름 속 수증기서부터 빗줄기가 되어 내려오고,
흐르고 흘러 바다로 이어지는 자연의 이치가
마치 내일을 두려워 않고 나아가는 우리네 삶을 응원하는 듯하다.
흐르고 흘러 바다로 이어지는 자연의 이치가
마치 내일을 두려워 않고 나아가는 우리네 삶을 응원하는 듯하다.
14
이밖에도 <END THEORY: Final Edition>에는
‘별의 조각’, ‘하나의 달’, ‘Black hole’ 등
과학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명곡들이 즐비하다.
이밖에도 <END THEORY: Final Edition>에는
‘별의 조각’, ‘하나의 달’, ‘Black hole’ 등
과학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명곡들이 즐비하다.
과학은 딱딱하고 재미없다는 편견을
이토록 멋지고 근사하게 깨뜨린 쾌거가
그저 놀랍고, 또 경이롭게 느껴진다.
이토록 멋지고 근사하게 깨뜨린 쾌거가
그저 놀랍고, 또 경이롭게 느껴진다.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스마트폰 중독이 인간관계에 끼치는 영향
- 같은 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결국 스마트폰과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무작정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시각은 잠시 거두자. 이제 호모 모빌리쿠스 시대에 걸맞는 관계 맺기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