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갑오징어 눈' 닮은 고해상도 카메라
<KISTI의 과학향기> 제3834호 2023년 02월 27일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송영민 교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 부산대 전자공학과 이길주 교수팀이 갑오징어의 눈을 모방해 불규칙한 빛 조건에서도 고대비·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했다.
갑오징어는 바닷속 불리한 환경에서도 눈을 이용해 먹잇감을 손쉽게 잡을 수 있다. 위쪽 빛은 차단하고 아래쪽 빛은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 동공이 W자 모양이 돼 빛 조건을 조절하기 때문이다.또 망막에는 아래쪽 빛이 들어오는 영역에 광(光)수용체들이 밀집돼 있어 먹잇감이 지나다니는 아래쪽으로 고해상도의 시력을 구현한다.
연구팀은 구형 렌즈 앞 조리개를 갑오징어의 동공 모양과 같이 W자형으로 만들어 위쪽에서 강하게 들어오는 빛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광다이오드가 과하게 노출되지 않게 했다. 또 갑오징어 망막처럼 관심 영역이 영상으로 맺히는 영역에 광다이오드 픽셀을 밀집시켜 고해상도 영상을 효율적으로 얻게 했다.
기존 카메라 시스템은 불규칙한 빛 조건에서 영상을 얻은 후 소프트웨어로 개선하는 후처리 방식이지만, 이 시스템은 하드웨어 자체에서 빛 조건을 조절해 질 높은 영상을 수집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영상 처리가 가능하다. 또 원통형 광다이오드에 유연하게 밀착되는 탄소나노튜브 기반 편광 필름을 제작해 편광 방향에 따라 빛이 흡수·투과되게 하고 명암 대비를 높여 더욱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시각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자율주행차, 이동형 로봇, 드론 등에서 고품질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송영민 교수는 "큰 면적을 가진 원형으로 변경이 가능한 가변 동공을 제작할 경우,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활용이 가능한 고품질 카메라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어치의 푸른빛 깃털 모방한 색 구현 기술 나왔다
-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Eurasian jay)는 특이한 광택이 나는 푸른빛 날개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 연구진이 어치 깃털이 특이한 색을 내는 비밀을 밝혀 새로운 색 구현 기술을 개발했다. 여종석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어치 깃털의 색 변화 원리를 밝혔다. 또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의 두께에 따라 구조색이 변하는...
-
- 암세포만 공략하는 스마트 면역세포 시스템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와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스마트 면역세포를 통한 암 치료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가 논리회로를 통해 작동하게 해 암세포만 공략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팀은 수백만개의 세포...
-
- 직접 과일 따고, 운반하는 로봇 개발하다
-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작물을 수확하고 운반하는 로봇 시스템이 개발됐다. 최근 인력난이 극심해 농사를 짓고도 수확을 못하고 있는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 최태용 AI로봇 연구본부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농업 현장에서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고 수확한 작물을 자율주행을 통해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