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검은 연기의 폐광지역, 시원한 바람개비로 리모델링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16호 2005년 07월 18일
신바람 발전소가 원전, 화력발전을 대체
태백 폐광지역, 풍력발전으로 1,000가구 쓸 전기생산
“윙~윙~윙~윙~”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탄광에서 나오는 시커먼 먼지가 흩날리던 강원도 태백시의 매봉산 1,303m고지. 현재 이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걸리버 여행기의 거인들에게 어울릴법한 대형 바람개비 5개가 힘차게 돌고 있다. 이 바람개비는 키가 49m, 날개길이 하나가 26m나 되는데, 거대한 날개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다. 풍력 발전기는 보통 날개 길이가 클수록 유리한데 날개 길이를 2배 늘리면 회전면적이 4배로 커져 이로 인해 생성되는 출력도 4배 늘어난다. 하지만 무턱대고 큰 것을 만들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는 날개를 돌릴 수 있을 만한 강풍에 따라 날개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매봉산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전라도 쪽에서 불어오는 평균 초속 8.3m의 강풍이 지속적으로 불어 안정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현재 매봉산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하나의 용량은 850kW급으로 태백시의 1,000여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만들고 있다.
태백시는 내년에 3기를 추가해 총 8개의 바람개비를 매봉산 꼭대기에서 돌릴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태백시의 8천 가구 주민들이 바람개비가 만드는 전기로 TV도 보고 빨래도 하고 형광등도 밝히게 될 것인데 시로서는 연간 12억원의 경영수익을 보게 된다. 더욱이 대형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모습이 장관이라 기존 매봉산 폐광지역과 함께 관광상품으로도 개발한다는 계획이 수립됐다고 한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 대형 바람개비가 바로 국산이 아닌 덴마크 베스타스 사 제품이라는 것. 덴마크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에너지 가격대란과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및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무공해 에너지인 풍력발전을 비롯한 대체에너지 연구를 활발하게 해왔다.
덴마크의 경우는 풍력발전으로 전체 전력의 20% 정도를 생산하는데 금년 1월에는 바람이 잘(?) 불어 이보다 많은 33%를 생산했다. 또한 덴마크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해상 풍력발전 단지인 혼스 레프 풍력공원(Horns Ref Windmill Park)을 보유하고 있는데, 전력 생산량이 160MW에 달한다. 덴마크는 앞으로도 해산풍력 발전단지 2곳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 풍력발전 기술이나 상용화는 유럽이 가장 앞서 있는데 매봉산 풍력발전기의 제조사인 베스타스는 2003년 현재 세계 풍력발전 시장의 21.7%를 차지하는 최대 기업이다.
독일, 세계 최대의 바람개비(?) 보유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발전기는 덴마크가 아닌 독일에 있다. 작년 10월 네덜란드와 국경 지대에 위치한 독일 북부 작은 시골마을인 엠덴에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발전기 ‘E-112’가가 완공됐는데, 총 높이만 180m로 50층짜리 건물과 맞먹는 키다. E-112가 생산해내는 전기량도 4.5MW로 4,200가구가 쓸 수 있는 양에 해당한다. ‘E-112’ 200대가 돌아가면 대형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전기생산도 가능하다고 한다.
독일은 지난 1980년대 말부터 풍력발전기를 곳곳에 설치하기 시작해 현재 전국에 1만 5,000개가 넘어섰으며, 세계 풍력에너지의 1/3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세계 1위 국가다. 독일은 2030년까지 자국 전기수요의 25%를 풍력으로 생산한다는 계획으로 풍력발전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데 이처럼 독일이 현대판 풍차의 나라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대체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쓸만한 바람 일정 지역에 한정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풍력산업이 30MW 발전에 그쳤다. 정부는 2012년까지 2,300MW(총 발전량의 3%)를 풍력으로 충당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를 달성하려면 현재보다 70배 이상 풍력발전을 늘려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풍력발전을 할만한 ‘쓸만한 바람’을 찾기가 어렵다. 연평균 풍속이 초속 5-6m는 돼야 경제성이 있는데 경북 영덕, 경북 포항시 호미곶, 전북 새만금, 대관령, 태백, 제주도, 울릉도 등 몇몇 곳을 제외하면 기준미달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인 유니슨이 중저속 바람에도 경제성이 있는 750KW급 한국형 풍력발전기를 자체 개발해 지난 4월 영덕풍력단지에 24기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했다. 24기의 풍력발전기를 풀가동할 경우 한 달 동안 2만2천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유닉슨은 지난 3월 대관령풍력단지 조성에도 착수했는데 내년까지 총 49기를 세울 계획이다.
환경문제까지 고려하면 풍력발전이 저렴
풍력발전을 하려면 많은 예산이 필요하고 또한 여기서 생산되는 전기요금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요금보다 아직은 훨씬 비싸다. 그러나 환경 전문가들은 원자력발전소나 화력발전소의 경우 발전소 부지 매입, 폐기물(또는 대기오염물질) 발생 처리, 낡아서 해체하는 비용까지 전력요금에 포함되면 풍력발전이 더 싸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풍력 발전은 공해 물질 저감 효과도 매우 커서 200kW급 풍력 발전기 1대가 1년간 운전하여 시간당 400,000kW의 전력을 생산한다면, 약 120-200 톤의 석탄을 대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줄어드는 공해 물질의 배출량은 연간 SO2는 2-3.2 톤, NOx는 1.2-2.4 톤, CO2는 300-500톤, 슬래그(slag)와 분진(ash)은 16-28톤에 달한다. 또한 부유물질은 연간 약 160-280kg 정도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풍력발전이 화석연료나 우라늄과 같은 공해 유발성 에너지가 아닌 바람이라는 자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배출감축 움직임, 그리고 화석연료 가격 폭등 및 고갈 가능성 등과 맞물리면서 풍력발전에 거는 기대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무공해 대체 에너지에 대한 인간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원한 해결책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언제쯤 공해 걱정 없는 에너지를 아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까? (글: 서현교 ? 과학칼럼니스트)
태백 폐광지역, 풍력발전으로 1,000가구 쓸 전기생산
“윙~윙~윙~윙~”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탄광에서 나오는 시커먼 먼지가 흩날리던 강원도 태백시의 매봉산 1,303m고지. 현재 이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걸리버 여행기의 거인들에게 어울릴법한 대형 바람개비 5개가 힘차게 돌고 있다. 이 바람개비는 키가 49m, 날개길이 하나가 26m나 되는데, 거대한 날개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다. 풍력 발전기는 보통 날개 길이가 클수록 유리한데 날개 길이를 2배 늘리면 회전면적이 4배로 커져 이로 인해 생성되는 출력도 4배 늘어난다. 하지만 무턱대고 큰 것을 만들기는 어려운데 그 이유는 날개를 돌릴 수 있을 만한 강풍에 따라 날개 길이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매봉산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전라도 쪽에서 불어오는 평균 초속 8.3m의 강풍이 지속적으로 불어 안정적으로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현재 매봉산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하나의 용량은 850kW급으로 태백시의 1,000여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만들고 있다.
태백시는 내년에 3기를 추가해 총 8개의 바람개비를 매봉산 꼭대기에서 돌릴 계획이다. 그렇게 되면, 태백시의 8천 가구 주민들이 바람개비가 만드는 전기로 TV도 보고 빨래도 하고 형광등도 밝히게 될 것인데 시로서는 연간 12억원의 경영수익을 보게 된다. 더욱이 대형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모습이 장관이라 기존 매봉산 폐광지역과 함께 관광상품으로도 개발한다는 계획이 수립됐다고 한다.
아쉬운 점이라면 이 대형 바람개비가 바로 국산이 아닌 덴마크 베스타스 사 제품이라는 것. 덴마크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에너지 가격대란과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및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무공해 에너지인 풍력발전을 비롯한 대체에너지 연구를 활발하게 해왔다.
덴마크의 경우는 풍력발전으로 전체 전력의 20% 정도를 생산하는데 금년 1월에는 바람이 잘(?) 불어 이보다 많은 33%를 생산했다. 또한 덴마크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해상 풍력발전 단지인 혼스 레프 풍력공원(Horns Ref Windmill Park)을 보유하고 있는데, 전력 생산량이 160MW에 달한다. 덴마크는 앞으로도 해산풍력 발전단지 2곳을 추가 건설할 계획이다.
현재 풍력발전 기술이나 상용화는 유럽이 가장 앞서 있는데 매봉산 풍력발전기의 제조사인 베스타스는 2003년 현재 세계 풍력발전 시장의 21.7%를 차지하는 최대 기업이다.
독일, 세계 최대의 바람개비(?) 보유
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발전기는 덴마크가 아닌 독일에 있다. 작년 10월 네덜란드와 국경 지대에 위치한 독일 북부 작은 시골마을인 엠덴에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발전기 ‘E-112’가가 완공됐는데, 총 높이만 180m로 50층짜리 건물과 맞먹는 키다. E-112가 생산해내는 전기량도 4.5MW로 4,200가구가 쓸 수 있는 양에 해당한다. ‘E-112’ 200대가 돌아가면 대형 원자력발전소 1기와 맞먹는 전기생산도 가능하다고 한다.
독일은 지난 1980년대 말부터 풍력발전기를 곳곳에 설치하기 시작해 현재 전국에 1만 5,000개가 넘어섰으며, 세계 풍력에너지의 1/3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세계 1위 국가다. 독일은 2030년까지 자국 전기수요의 25%를 풍력으로 생산한다는 계획으로 풍력발전을 점차 확대하고 있는데 이처럼 독일이 현대판 풍차의 나라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대체에너지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쓸만한 바람 일정 지역에 한정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풍력산업이 30MW 발전에 그쳤다. 정부는 2012년까지 2,300MW(총 발전량의 3%)를 풍력으로 충당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이를 달성하려면 현재보다 70배 이상 풍력발전을 늘려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풍력발전을 할만한 ‘쓸만한 바람’을 찾기가 어렵다. 연평균 풍속이 초속 5-6m는 돼야 경제성이 있는데 경북 영덕, 경북 포항시 호미곶, 전북 새만금, 대관령, 태백, 제주도, 울릉도 등 몇몇 곳을 제외하면 기준미달이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인 유니슨이 중저속 바람에도 경제성이 있는 750KW급 한국형 풍력발전기를 자체 개발해 지난 4월 영덕풍력단지에 24기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했다. 24기의 풍력발전기를 풀가동할 경우 한 달 동안 2만2천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유닉슨은 지난 3월 대관령풍력단지 조성에도 착수했는데 내년까지 총 49기를 세울 계획이다.
환경문제까지 고려하면 풍력발전이 저렴
풍력발전을 하려면 많은 예산이 필요하고 또한 여기서 생산되는 전기요금이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요금보다 아직은 훨씬 비싸다. 그러나 환경 전문가들은 원자력발전소나 화력발전소의 경우 발전소 부지 매입, 폐기물(또는 대기오염물질) 발생 처리, 낡아서 해체하는 비용까지 전력요금에 포함되면 풍력발전이 더 싸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풍력 발전은 공해 물질 저감 효과도 매우 커서 200kW급 풍력 발전기 1대가 1년간 운전하여 시간당 400,000kW의 전력을 생산한다면, 약 120-200 톤의 석탄을 대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줄어드는 공해 물질의 배출량은 연간 SO2는 2-3.2 톤, NOx는 1.2-2.4 톤, CO2는 300-500톤, 슬래그(slag)와 분진(ash)은 16-28톤에 달한다. 또한 부유물질은 연간 약 160-280kg 정도 배출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풍력발전이 화석연료나 우라늄과 같은 공해 유발성 에너지가 아닌 바람이라는 자연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배출감축 움직임, 그리고 화석연료 가격 폭등 및 고갈 가능성 등과 맞물리면서 풍력발전에 거는 기대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무공해 대체 에너지에 대한 인간의 도전은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원한 해결책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언제쯤 공해 걱정 없는 에너지를 아주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까? (글: 서현교 ? 과학칼럼니스트)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전 지구를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드디어 국내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스페이스X와 순조롭게 협의가 이뤄지면 다가오는 3월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과연 스타링크는 국...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이 주제의 다른 글
유익하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9-04-18
답글 0
아 역시 과학은 알면 알수록 재미있네요~ 좋은글 고맙습니다~!
2009-04-05
답글 0
사진을 정말 같이 봤으면 좋을뻔 했네요. 엠덴이 그런 곳이었다니!... 수업시간이 배운 엠덴인데 꼭 가보고 싶네요.. 50층높이의 풍력발전기라... ^ㅠ^
2005-07-18
답글 0
석유에너지는 이제 40년 후면 더이상 사용할것이 없다는 말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그러나 저는 앞으로 10년만 지나도 석유 대란은 일어난다고 봅니다.그것은 각 나라에서 석유가 아직 남아 있을때 최대한 비축해 둘려고 할 것이리라 하는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저는 사실상 앞으로 10년 후 어느날 에너지문제로 우리나라 같은 나라는 나라전체가 휘청거리다 못해 나라가 망할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우리정부와 국민은 너무 안이하게 걱정들을 하지 않고 있다고 생각합니다.지금의 사회 분위기만 봐도 그러한 생각을 거의 하지않는 것 같습니다. 칼럼니스트님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물론 대체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너무 멀리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에너지 대란은 코앞으로 닥쳐 왔는데......
2005-07-18
답글 0
'대형 바람개비 5개가 힘차게 돌고 있다'는 사진 한 장 넣었더라면 기사될 뻔 했습니다 마는...
2005-07-18
답글 0
안녕하세요 독자님? 과학향기 담당자입니다. ^- ^
독자님꼐서 말씀하신 유니슨이 맞습니다. 앞으로 원고 검토시 맞춤법에 유의하겠습니다.
과학향기에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리구요~
주위 많은 분들에게 과학향기를 널리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과학의 숲을 보는 즐거움
KISTI의 과학향기
2005-07-18
답글 0
동영상으로 보세요...
http://news.posco.co.kr/news/SGM/PNB/docs/news/s91fnews002v.jsp?menuCatId=0443&idx=121070
2005-07-18
답글 0
태백시에서 전라도에서 오는 바람을 쓰나요? 충청도가 아니고?
태백시도 그렇지만 독일에서도 가구당 동시사용 평균전력량이 1kW가 안되나요?
시간당 400,000kW는 확실히 잘못되었군요. 400,000kWh겠지요?
2005-07-18
답글 0
국내의 풍력발전기술을 가진 회사로 언급된 회사는 유닉슨이 아니라 유니슨인 것 같습니다. 확인해보시면 어떨지요.
2005-07-18
답글 0
동감입니다.
기사 읽으면서 사진한장 봤으면 아쉬움 있네요.
2005-07-18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