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구강 스캐닝 '3차원'으로 구현하는 휴대용 카메라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890호 2023년 09월 11일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팀이 3차원 구강 스캐닝에 적합한 휴대형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설계한 라이트필드 카메라 기반의 구강 스캐너는 치과 치료를 위해 석고 등으로 치아 및 구상조직 형태 모형을 만드는 인상채득(Impression)을 디지털 방식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기존 구강 스캐너는 큰 크기와 낮은 정확도 때문에 사용 빈도가 낮다. 따라서 소형화해 적용 범위를 넓히고 손움직임에 의한 흔들림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라이트필드 카메라 (light-field camera)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s,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 직경의 미세렌즈를 배열하여 만든 광학 소자)를 이미지센서 앞에 배치해 들어오는 빛의 방향을 구분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한 번의 촬영으로 3차원 광학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데다 구조도 간단해 초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3차원 구강 스캐닝을 위해 주 렌즈, 고체 잠입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이미지센서 등을 이용한 흔들림이 없는 초소형 고심도 라이트필드 카메라 (deep focus light-field camera)를 설계하고 제작했다. 여기서 핵심은 마이크로렌즈의 초점거리를 저굴절률의 고분자 코팅으로 향상한 고체 잠입 마이크로렌즈다. 이러한 마이크로렌즈로 제작된 라이트필드 카메라는 피사계 심도가 높아 손떨림에도 둔감하고, 적은 촬영으로도 3차원 영상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연구팀은 구강 모형과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이용해 높은 정확도의 3차원 구강 스캐닝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정기훈 교수는 “개발한 카메라는 구강 스캐닝 뿐만 아니라 내시경, 현미경 같은 다양한 바이오·의료분야는 물론 생체 내 3차원 이미징, 3차원 산업용 검사장비에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에이피엘 바이오엔지니어링(APL Bioengineering)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펄펄 끓는 지구 시원하게 해줄 복사 냉각 페인트 모델링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와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이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펄펄 끓는 지구의 온도를 낮출 복사 냉각 페인트의 최적 설계 조건을 도출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은 최근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의 시대가 끝나고 지구가 끓는(global boiling) 시대가 왔다”고 경고했다. 세계기...
-
- 미세플라스틱 20분만에 잡아내는 광(光) 검출 기술 개발
- 정호상 한국재료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빛을 이용해 미세 플라스틱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고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검출 키트 기술은 간단한 주사기 필터로 미세 입자를 거르는 형태로, 전 처리 과정없이 20분 이내로 미세 플라스틱의 종류와 개수, 분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작은 입자 형태로 동식물 체내에 ...
-
- 다이어트, '별세포' 알면 어렵지 않아요!
- 전 세계 10억 명에 달하는 비만 환자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직접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한 동물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도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