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이유
<KISTI의 과학향기> 제3731호 2022년 03월 07일비만인 사람에게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지방조직으로 작용하는 이유가 밝혀졌다.
지방조직은 위치에 따라 복강 내부에 존재하는 내장지방과 피부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으로 나뉜다. 비만 시 내장지방은 각종 대사질환 등 건강에 이상을 유발하는 해로운 지방조직인 반면, 피하지방은 이로운 지방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와 DGIST 김종경 교수 공동 연구팀이 지방조직을 구성하는 줄기세포에 그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줄기세포가 지방조직의 다양한 기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비만 시 내장지방 줄기세포는 지방조직의 증가를 유도하고, 염증반응과 섬유화를 유발해 지방조직 기능을 악화시켰다. 반면, 피하지방 줄기세포는 지방조직의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고 염증반응을 억제해 지방조직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내장지방의 줄기세포와 피하지방의 줄기세포가 비만 극복 및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대사 분야의 최고 국제학술지인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 온라인판에 최초 공개됐으며, 3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쓸모없다 믿었던 정크 DNA, 노화와 발암의 원인?
- 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김민정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권현우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쓸모없는 DNA를 뜻하는 정크 DNA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규명했다. 인간 유전체 중 일반적인 단백질 생성 유전자는 전체 염기서열의 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유전체 영역은 그 기능이 뚜렷하게 알...
-
- 위조 방지 보안 기능, 연어 DNA로 만든다?
- KAIST 화학과 윤동기 교수 연구팀이 연성 소재(Soft material)의 자기조립(Self-assembly) 시 발생하는 무작위 패턴을 이용해 보안 및 인증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최근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기기 및 서비스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신기능 창출이 가능해졌다. 동시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위조 기술도 발달되어 그 피해를 ...
-
- 세균 유전자 언제든지 억제할 수 있는 바이오 도구 개발
-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팀은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 모두를 포함한 다양한 박테리아에서 표적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신규 sRNA 도구를 개발했다. 박테리아는 우리 일상에서 김치, 된장, 술 등 식품에 활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대사 공학을 통해 플라스틱, 영양제, 사료, 의약품 등을 생산하는 산업용 세포 공장으...
좋은정보 잘 읽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2-09-29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