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바닷속 산호초 죽이는 자외선 차단제 성분 분해 미생물 발견
<KISTI의 과학향기> 제3774호 2022년 08월 01일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분해가 어려운 유기화합물인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찾아냈다.
옥시벤존은 자외선 차단제에 주로 쓰이는 벤젠 계열의 유기화합물로, 특히 바닷속 산호에 큰 피해를 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하와이에서는 지난해 1월부터 옥시벤존이 함유된 자외선 차단제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도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때 배합 한도를 5%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전체옥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천 산업단지 인근의 하천에서 옥시벤존을 분해하는 신종 미생물을 발견했으며, ‘먹어치우다, 삼키다’라는 뜻을 갖는 라틴어 ‘보란스’를 붙여 이 미생물에게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Rhodococcus oxybenzonivoran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는 호기성 세균으로, 증식이 활발할 때는 길이 1.6㎛, 폭 0.4㎛의 막대 모양을, 증식이 멈추면 직경 0.4㎛ 미만의 둥근 모양을 띤다. 산업단지 하천에서 발견됐지만 토양이나 하천뿐만 아니라 사막이나 원유 오염지, 빗물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로도코커스 옥시벤조니보란스’는 1L의 담수가 100mg의 옥시벤존으로 오염됐을 때 3일 만에 90% 이상을 제거했으며, 남은 10% 미만의 옥시벤존도 10일 이내에 완전히 제거했다. 분해 과정에서 유해 부산물 또한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됐다. 또 연구팀은 미생물이 옥시벤존을 산화시키는 효소를 찾아내는 등 유전자, 효소, 대사체 확인을 통해 생불학적 분해 기작도 알아냈다.
유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연구는 잠재적인 유해성을 갖는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발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생물의 분해 기작에 대한 과학적 근거까지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담수 미생물을 활용한 하·폐수 처리기술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
- 가상현실도 만질 수 있게 해주는 '맞춤형' 햅틱 슈트 제작
- 영화 ‘스파이더맨’을 보면 단추를 누르면 헐렁한 슈트가 몸에 딱 맞게 조정되는 장면이 나온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팀은 이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신체 부위에 착 맞춰 장착되는 옷감 형태의 웨어러블 햅틱 기술을 개발했다. 정확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오그제틱 메타 구조라는 형태로 매듭지어 옷감 형태로 착용할 수 있는 햅틱 인터페이스다. 최...
-
- 전자기기와 친한 어르신, 우울증은 낮게, 인지기능은 높게 나온다
- 스마트폰, 키오스크 같은 전자기기와 친한 고령자들은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현웅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평균 73세 고령자 7,988명을 대상으로 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고령자들의 디지털 문해력이 좋을수록 우울감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디지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