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빛을 빠르게 모두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 실험으로 입증
<KISTI의 과학향기> 제3628호 2021년 03월 15일서울대 안경원 교수 연구팀이 양자 중첩 상태의 원자들이 상호 작용해 빛의 흡수 속도가 매우 빨라지는 ‘초흡수’ 현상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양자 중첩 상태는 원자의 에너지 준위가 바닥인 상태와 역위인 상태가 선형합(중첩)으로 존재하는 상태이다. 일반적인 상태의 원자들은 각자 독립적으로 행동하지만, 양자 중첩 상태의 원자들은 동시에 하나의 원자처럼 행동함으로써 일반 상태보다 빛을 빠르게 모두 흡수할 수 있다.
이 같은 초흡수 현상은 현재까지 실험적으로는 증명된 바 없다. 양자역학적으로 연관된 원자들에서 빛의 방출 속도가 강해지는 초방사 현상이 실험을 통해 입증되면서, 동일한 상태에서 이론적으로 초흡수 현상도 가능하다는 예측만 있을 뿐이었다.
원자들이 빛을 빠르게 방출하는 초방사 현상에 가려 초흡수 현상은 관측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초방사 상태의 원자들을 제어해 마치 시간을 되돌리듯 빛을 빠르게 흡수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유도했다.
시간 역행을 위해 원자 상태의 위상을 제어하는 기술을 이용했다. 수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구멍의 격자를 통과한 원자들을 초방사를 일으킬 수 있는 양자역학적 중첩 상태로 만든 뒤 수학적으로 반대되는 위상의 빛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 10개의 원자로 초흡수 현상을 구현해 일반 빛 흡수보다 10배 빠르게 빛을 100% 흡수하는 것을 관측했다.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일상생활에서 버려지는 자투리 에너지를 수확해 전원으로 활용하는 기술), 광자를 이용한 양자정보처리 효율 향상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질문에만 답해도 꿀잠 여부 예측해주는 알고리즘 개발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주은연‧최수정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지현 이화여대 서울병원 교수팀이 번거로운 검사 없이도 수면 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 ‘슬립스(SLEEPS‧SimpLe quEstionnairE Predicting Sleep disorders)’를 개발하고 공개했다. 수면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인 ...
-
- 누에 단백질로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인공 심장판막 개발
- 정세용 세브란스병원 소아심장과 교수와 홍진기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누에나방의 유충인 누에가 만들어 내는 천연 단백질로 기존보다 내구성을 높인 심장판막질환용 인공 판막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했다. 이는 심장판막질환 환자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심장판막 4개는 열리고 닫히면서 혈류의 흐름을 조절...
-
- 수많은 마이크로 LED 칩 중 원하는 색깔만 전사해주는 기술 개발
-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대량의 마이크로 LED 칩 중, 색깔별로 원하는 칩만 선택해 전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OLED보다 전기적·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머리카락 두께인 100μm(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무기물 LED 칩을 활용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광원이다. 마이크로 LED를 상용화하려면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