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생존을 위한 킬러본능-단풍
<KISTI의 과학향기> 제360호 2005년 10월 28일
“수레를 멈추고 석양에 비치는 단풍 섶에 앉아보니 서리 맞은 단풍잎이 한창 때 봄 꽃보다 더욱 붉구나.” 大시인 두보가 가을의 정취를 극찬한 시구이다. 두보의 시구를 빌리지 않아도 우리의 10월 가을 산은 말 그대로 만산홍엽(滿山紅葉)이다. 그러나 단풍의 그 붉은 아름다움 속에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다른 종의 번식을 억제하는 킬러본능(?)이 있다고 하는데, 과연 단풍이 감추고 있는 킬러본능은 무엇일까?
단풍(丹楓)은 기후 변화에 의해 나뭇잎에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 녹색 잎이 붉게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광위적으로 황색 및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까지도 포함한다. 단풍은 나무가 겨울나기를 위해 ‘낙엽 만들기’를 준비하면서 만들어지는데, 가을이 되면 나무는 나뭇잎으로 가는 물과 영양분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나뭇잎에 들어 있던 엽록소는 햇빛에 파괴되면서 양이 줄게 되고, 결국 나뭇잎의 녹색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대신 종전에는 녹색의 엽록소 때문에 보이지 않던 다른 색의 색소가 더 두드러져 나뭇잎이 다양한 색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색깔별로 살펴보면, 우선 붉은 단풍은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영양분(당)이 기온이 떨어지면서 이동이 느려지고 점차 붉은색의 안토시안 색소로 변해서 나타난다. 이 색소는 일교차가 클수록 잘 만들어지는데 가을 일교차가 클 때 단풍이 아름다운 것도 이 때문이다. 이밖에 황색 및 갈색 단풍은 각각 노란색의 카로틴 색소와 크산토필 색소에 의해 자신의 색을 띄게 된다.
그런데, 최근 뉴욕 콜게이트 대학 연구진은 “단풍의 붉은색은 경쟁자를 제거하고 자신의 종족을 보전하기 위한 일종의 독이자 방어막이다.”라는 흥미로운 주장을 제기했다. 단풍 나무처럼 붉게 물든 나무들은 주변에 다른 종의 나무가 자라지 못하도록 독을 분비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다른 색의 단풍과는 달리 붉은 색의 단풍에서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단풍나무의 붉은 잎과 파란 잎, 너도밤나무의 노란 잎과 녹색 잎을 채취해 각각 상추 씨앗 위에 뿌려 발아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단풍 나무의 붉은 잎이 다른 색의 잎들에 비해 상추 씨의 발아율을 크게 감소시켰음을 밝혀냈다.
즉, 붉은 단풍의 색소는 다른 성분이 파괴된 뒤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나무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생성하는 일종의 독이자 방어막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가을에 붉은 단풍잎이 떨어지면 안토시아닌(antocyanin)1) 성분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다른 수종의 생장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토시아닌이 어떠한 방법으로 다른 수종의 생장을 막는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주목할 것은 단풍의 그 화려한 아름다움 속에 이처럼 생존과 종족 보존을 위한 숨겨진 이면이 있다는 점이다.
어찌 보면 “단풍이 화려하고 아름답다.”라는 말은 우리의 주관적인 감성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단풍을 볼 때면 아름답다는 말과 함께, 그들의 삶과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과학향기 편집부)
주1)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안토시아니딘의 색소배당체(色素配當體:색소 글리코시드). 가수분해에 의하여 하나 또는 둘의 단당류(單糖類)와 아글리콘(非糖部)으로 분류된다.
단풍(丹楓)은 기후 변화에 의해 나뭇잎에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 녹색 잎이 붉게 변하는 현상을 말하며, 광위적으로 황색 및 갈색으로 변하는 현상까지도 포함한다. 단풍은 나무가 겨울나기를 위해 ‘낙엽 만들기’를 준비하면서 만들어지는데, 가을이 되면 나무는 나뭇잎으로 가는 물과 영양분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나뭇잎에 들어 있던 엽록소는 햇빛에 파괴되면서 양이 줄게 되고, 결국 나뭇잎의 녹색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대신 종전에는 녹색의 엽록소 때문에 보이지 않던 다른 색의 색소가 더 두드러져 나뭇잎이 다양한 색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색깔별로 살펴보면, 우선 붉은 단풍은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영양분(당)이 기온이 떨어지면서 이동이 느려지고 점차 붉은색의 안토시안 색소로 변해서 나타난다. 이 색소는 일교차가 클수록 잘 만들어지는데 가을 일교차가 클 때 단풍이 아름다운 것도 이 때문이다. 이밖에 황색 및 갈색 단풍은 각각 노란색의 카로틴 색소와 크산토필 색소에 의해 자신의 색을 띄게 된다.
그런데, 최근 뉴욕 콜게이트 대학 연구진은 “단풍의 붉은색은 경쟁자를 제거하고 자신의 종족을 보전하기 위한 일종의 독이자 방어막이다.”라는 흥미로운 주장을 제기했다. 단풍 나무처럼 붉게 물든 나무들은 주변에 다른 종의 나무가 자라지 못하도록 독을 분비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다른 색의 단풍과는 달리 붉은 색의 단풍에서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단풍나무의 붉은 잎과 파란 잎, 너도밤나무의 노란 잎과 녹색 잎을 채취해 각각 상추 씨앗 위에 뿌려 발아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단풍 나무의 붉은 잎이 다른 색의 잎들에 비해 상추 씨의 발아율을 크게 감소시켰음을 밝혀냈다.
즉, 붉은 단풍의 색소는 다른 성분이 파괴된 뒤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나무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생성하는 일종의 독이자 방어막이라는 것이다. 연구진은 “가을에 붉은 단풍잎이 떨어지면 안토시아닌(antocyanin)1) 성분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다른 수종의 생장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토시아닌이 어떠한 방법으로 다른 수종의 생장을 막는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가 주목할 것은 단풍의 그 화려한 아름다움 속에 이처럼 생존과 종족 보존을 위한 숨겨진 이면이 있다는 점이다.
어찌 보면 “단풍이 화려하고 아름답다.”라는 말은 우리의 주관적인 감성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단풍을 볼 때면 아름답다는 말과 함께, 그들의 삶과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에 대해서도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과학향기 편집부)
주1)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안토시아니딘의 색소배당체(色素配當體:색소 글리코시드). 가수분해에 의하여 하나 또는 둘의 단당류(單糖類)와 아글리콘(非糖部)으로 분류된다.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데이터로 운영하는 미래 농장, 스마트 팜
- [과학향기 for Kids] 중독 부르는 빨간 맛, 먹어도 괜찮을까?
- [과학향기 Story] 블루베리는 원래 ‘파란색’이 아니다?!
- [과학향기 for Kids] 봄꽃, 점점 더 빨리 핀다?
- 국내 최초 럼피스킨 확산에 축산업 ‘비상’, 무슨 병이길래?
- 대변 모으는 은행 있다? 인류를 지킬 데이터 모으기의 세계
- 고양이 집사가 생긴 사연은? 인류 농사의 출발점부터!
- 꿀벌 집단 실종, 인류를 위협한다
- 관찰로 만든 실용 어류도감의 조상, <자산어보>
- 매생이, 철분과 칼슘의 왕
단풍의 붉은 색이 독을 품고 있어서 그런것인지 처음 알았네요. 그러고 보니 화려한 것들은 다 독을 가지고 있는것 같네요. 독버섯도 그렇고....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2009-04-15
답글 0
일러스트가 참 재미있네요.. 저번 조류독감에서 새 한마리가 지구를 잡고있고 인간들이 떨어져나가는 그림보고 참 재밌게 잘 그렸다라고 생각했는데...^^ 낙엽투하~ 덜덜덜...
일러 재밌게 잘 그리네요
2005-12-06
답글 0
잘 읽었습니다.^^
2005-11-05
답글 0
위글내용에 대하여 중요한것은 아니지만...
두보시를 찾아보다가...
http://blog.etnews.co.kr/html/blog_home_comment.php?bid=daljjini&ිid=1457
에 보면 위시는 두목 이라는 사람이 지은것이라고 나오는데...
2005-11-02
답글 0
아하~!
그렇군요....!
식물도 종족보존을 위해 나름의 대책을 가지고있군요...!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2005-10-30
답글 0
큰 나무 아래에 잡초가 없는 것은 햇빛이 들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2005-10-28
답글 0
아오 , 재미없어 내면상 굳
2005-10-28
답글 0
만약에 단풍나무 낙옆이 썩어 퇴비가 잘되어 모든 나무가 더 잘 자라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고 가정 해 보면 그 때는 어찌 해석 하시렴니까? 단풍나무의 낙엽은 자신이 다음 해에 더 잘 자라도록 하기위해 떨어지는 자신의 낙엽까지도 이동한다고 하겠지요? ..... 어찌 이상하지 않나요?
2005-10-28
답글 0
식물도 살기 위해 나름의 생존법을 사용하는거니까.. 뭐 그것도 의도적으로 아름다운 것이라고 봐야겠죠. 큰나무도... 나름의 나무겠죠. 한해살이 풀종류들은 큰나무 밑이더라도 아주 잘 자라나구요. 여러해살이 식물들도 종종 큰나무 밑에서 기생(인지 공생인지..) 같이 삽니다. 우리나라는 여름에는 아무리 햇빛이 들지 않더라도 습기 때문에.. 습한데에 익숙한 식물들은 많이 삽니다.
2005-10-28
답글 0
아오 , 재미없어 내면상 굳
2005-10-28
답글 0
예전엔 큰 나무의 나뭇잎에서 일종의 제초제가 분비된다는 얘기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비가 내리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주변의 풀들을 제거하는 거죠. 그래서인지 공원의 큰 나무 주변에는 유난히 풀이 없거나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제 보니 낙엽조차 무기였군요. 독버섯의 화려한 색깔에 비교해야 되는 건가.....
이런 사실들을 알고 나니 나무들이 예전처럼 평화롭게 보이지는 않더군요. -_-; 나름대로 살아가려고 많은 노력을 해야 하며, 또 그런 이유로 남들을 공격하기도 한다는......
=^.^=
2005-10-28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