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쌍둥이 분자, 소리로 분리한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06호 2022년 11월 21일똑 닮은 생김새의 쌍둥이들처럼 자연계의 많은 분자도 자신과 똑 닮은 ‘쌍둥이 분자’가 있다. 쌍둥이 형제의 성격이 서로 다르듯, 쌍둥이 분자 역시 서로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가지곤 한다. 이들 쌍둥이 분자는 용액 안에서도 늘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기 어렵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런데 최근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연구팀이 소리만을 이용해 한 용액 안에서 서로 다른 키랄성을 가지는 분자들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서로 거울에 비친 모습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분자의 성질을 거울상 이성질성 또는 키랄성이라고 한다. 쌍둥이처럼 닮은 키랄성 분자들은 양손처럼 서로를 거울에 비춰보면 같은 모양이지만, 아무리 회전시켜도 겹쳐지지 않는다.
화학에서 키랄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체분자들은 특정 키랄성을 가지는 분자만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대의 키랄성을 가진 분자는 사용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해로운 작용을 일으킨다. 하지만 키랄성 분자들은 입체 구조적 관점에서만 서로 다를 뿐, 물리·화학적 성질이 유사하기 때문에 용액 안에서 두 물질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연구팀은 산화-환원에 따라 서로 다른 키랄성을 보이는 분자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페릴린 다이이미드(PDI)는 L-페닐알라닌 유도체(LPF) 분자와 결합하면 왼쪽 방향으로 꼬인 고분자를 형성한다. 반면 PDI가 환원되면, 오른쪽 방향으로 꼬인 분자를 이룬다. 키랄성이 다른 두 분자는 각각 붉은색과 푸른색을 띤다.
환원된 PDI/LPF 용액이 담긴 접시에 소리를 재생하자, 공기와 접촉이 활발한 부분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며 용액이 붉은색으로 변했다. 이에 따라 페트리 접시에는 산화된 붉은색과 기존의 푸른색이 번갈아 나타나는 동심원 모양의 색깔 패턴이 나타났다. 서로 다른 키랄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김기문 연구단 단장은 “소리는 에너지가 작아 화학 반응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여겨졌지만, 우리 연구팀은 지금까지 소리로 산화-환원 반응, 효소 반응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특히, 이번 연구의 결과가 의약품 제조 등 키랄성 물질의 분리·조절이 필요한 여러 화학 반응에서 획기적 도구로 사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11월 16일 화학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인 ‘켐’에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
- '팬데믹은 건강 중시', '엔데믹은 여행 중시'? 인공지능으로 알려준다
- 감종훈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사람들의 온라인 소비 심리와 행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가 데이터 로깅으로 저장한 제품 검색 데이터를 자료로 활용했다. 데이터 로깅(data logging)은 시스템이나 웹사이트 내 활동에 대한 기록인 로그(lg)를...
-
- 하반신 마비 쥐를 일으킨 기적, '주사 한 방'으로 이룩하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신미경 뇌과학이미징연구단 교수와 손동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운동신경을 회복시킬 수 있는 근육 주사 기술을 개발했다. 이 주사를 하반신이 마비된 실험 쥐에게 놓았더니, 사흘 만에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도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은 약물이 아닌 일종의 유연한 보형물이다. 정확히는 ‘주사 주입형 조직 보철용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