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하반신 마비 쥐를 일으킨 기적, '주사 한 방'으로 이룩하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906호 2023년 11월 06일기초과학연구원(IBS) 신미경 뇌과학이미징연구단 교수와 손동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운동신경을 회복시킬 수 있는 근육 주사 기술을 개발했다. 이 주사를 하반신이 마비된 실험 쥐에게 놓았더니, 사흘 만에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도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은 약물이 아닌 일종의 유연한 보형물이다. 정확히는 ‘주사 주입형 조직 보철용 전도성 하이드로젤 소재’다. 근육 손상을 치료하려면 근육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재활용 소재가 필요하다. 전기신호가 보행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소재는 딱딱하고 부피가 큰 데다,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체내 삽입용으로 쓰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기존 소재를 ‘히알루론산’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았다. 히알루론산은 부드러우면서도 근육에 잘 접착돼 히알루론산은 피부 미용 필러로도 쓰인다. 연구팀은 히알루론산 소재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인터페이싱 소자’ 등을 이식해 보형물을 완성했다.
연구팀이 이를 주사기에 넣어 근육에 주입한 결과, 보형물이 근육 표면에 밀착해서 달라붙고 전기신호도 정상적으로 전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조직이 손상돼 잘 걷지 못하던 실험 쥐에게 주사했더니, 손(앞발)으로 짚을 수 있는 보행 보조 장비의 도움만으로 3일 만에 정상적 보행이 가능해졌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임상 수준에서 재활 시술로 활용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신 교수는 “근육과 말초 신경 뿐만 아니라 뇌, 심장 등 다양한 장기에 적용할 수 있는 조직 재생용 신물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 교수도 “재활 치료가 어려운 신경근계 환자들의 재활 여건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인체 내 다양한 장기의 정밀 진단 및 치료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
- 가상현실도 만질 수 있게 해주는 '맞춤형' 햅틱 슈트 제작
- 영화 ‘스파이더맨’을 보면 단추를 누르면 헐렁한 슈트가 몸에 딱 맞게 조정되는 장면이 나온다.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팀은 이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신체 부위에 착 맞춰 장착되는 옷감 형태의 웨어러블 햅틱 기술을 개발했다. 정확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오그제틱 메타 구조라는 형태로 매듭지어 옷감 형태로 착용할 수 있는 햅틱 인터페이스다. 최...
-
- 전자기기와 친한 어르신, 우울증은 낮게, 인지기능은 높게 나온다
- 스마트폰, 키오스크 같은 전자기기와 친한 고령자들은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현웅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평균 73세 고령자 7,988명을 대상으로 한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고령자들의 디지털 문해력이 좋을수록 우울감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디지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