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위조된 글씨, 조사하면 다 나와!
<KISTI의 과학향기> 제494호 2006년 09월 06일
백만장자와 똑같은 필체를 갖고 있다면 백만장자처럼 행세할 수 있을까? 미국의 여성 추리소설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쓴 소설 ‘리플리’(The Talented Mr. Ripley)에선 이것이 가능했다. 이 소설은 1960년에 ‘태양은 가득히’라는 영화로 제작됐고, 1999년에는 ‘리플리’라는 영화로 리메이크돼 큰 흥행을 기록하기도 했다.
일확천금을 꿈꾸는 청년 톰 리플리와 샌프란시스코의 부잣집 외아들 필립 그린리프는 고등학교 동창이다. 고교졸업 후 리플리는 자신을 멸시해온 그린리프를 살해하고 그의 신분증명서를 위조한다. 또 그린리프의 서명을 똑같이 흉내 내며 친구의 돈을 인출하고 새 아파트를 얻는다. 이는 그린리프의 서명을 열심히 연습하며 부단한 노력 끝에 얻은 결과다. 하지만 요즘이라면 불가능한 일이다. 필체감별기술 때문이다.
사람의 필체는 어느 것 하나 똑같은 것이 없고, 자신도 똑같은 글씨를 되풀이하기 어렵다. 그래서 두 서명이 너무 똑같아도 위조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은 역설적이기까지 하다. 어떤 서명이라도 정확히 똑같을 수는 없기 때문에 만일 두 서명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한다면, 분명 그 중 하나는 위조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필체감별은 어떻게 할까?
위조 여부를 가리기 위해 감정관들은 먼저 동일한 사람이 쓴 편지나 공문, 메모 등 다양한 필체를 확보한다. 이어 글씨가 꺾일 때의 각도, 필순, 특정한 습관 등을 다양하게 분석한다. 동일인이 쓸 때는 그 모양은 각기 다르지만 그만의 독특한 ‘공통적인 습관’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같은 사람이 비록 다른 글씨체로 쓰더라도 ‘공통적인 습관’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면 누가 썼는지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필체 감별의 조사법에는 일반적 규칙이 없으며 얼마나 많은 특성이 일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도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한다. 다시 말해 그동안 오랜 경험을 가진 감정관의 판단에 따라 비과학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으로 감별을 해왔다. 고도로 위조된 필체는 2차원 수준에서 탐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필체를 구분하는 것은 전문가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종종 ‘감별불가’라는 판정이 내려진다.
다행히 2004년 8월 로마의 한 물리학자 덕분에 앞으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필체를 감별할 수 있게 됐다. 이탈리아 로마트레 연구대학 전기공학과의 주세페 스파뇰로 교수팀은 필적 샘플에 레이저 광선을 비춰 3차원의 입체상을 만든 뒤 그 특징을 알아내는 홀로그램 시스템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글씨로 새겨진 종이의 홈과 도랑을 영상으로 컴퓨터에 재현해 3차원 필적 경로 홀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두 획의 연결점, 예를 들어 숫자 8의 중간 부분에서 종이에 가해진 필자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변화나 획순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알파벳 ‘E’를 쓸 때, ㄷ를 쓴 뒤 가로획을 그은 것인지 ‘三’을 쓴 뒤 왼쪽을 막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 획을 그을 때도 처음부터 힘을 줬는지 아니면 서서히 힘을 주워 끝에 힘을 뺐는지 아는 것도 어렵지 않다.
필체를 위조하는 방법 중 하나는 본래의 글씨 위에 종이를 대고 베껴 쓰는 것이다. 그래서 TV 드라마 ‘형사 콜롬보’에서 콜롬보가 흰 종이 위에 눌린 글씨를 알아보기 위해 연필로 가볍게 칠한 뒤 그곳에 자국이 드러나는지 지켜보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이제는 종이가 눌린 원본 종이를 찾지 않아도 위조된 글씨를 선별해 낼 수 있다.
위조범이 비슷한 필체를 흉내 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림일 뿐이며 원래의 필자처럼 획을 그을 때 힘을 주는 압력의 변화까지 따라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힘을 많이 준 부분은 언덕으로 적게 준 부분은 계곡으로 나타나는 3차원 기술은 복잡하던 필체 감별을 손쉽게 해결하게 됐다.
이 기술은 무엇보다 종이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여러 종류의 종이와 펜을 이용해 수백 개의 필적 샘플을 3차원 홀로그램 기술로 분석해 봤다. 그 결과 3차원 필적 경로 홀로그램 시스템은 문서와 수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거의 모든 위조를 성공적으로 감지해낼 수 있었다.
회사에서 작성하는 공문서에도, 물건을 살 때도 서명을 하는 세상이다. 모든 개인정보가 디지털화돼 해킹되는 세상이지만 과학기술 덕택에 오히려 서명이 가장 확실한 신분확인 수단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눈빛으로도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마음도장을 찍고 싶은 것은 왜일까?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개인의 신분 확인이 아닌 상호간의 믿음이기 때문일 것이다. (글 : 서금영 과학전문 기자)
일확천금을 꿈꾸는 청년 톰 리플리와 샌프란시스코의 부잣집 외아들 필립 그린리프는 고등학교 동창이다. 고교졸업 후 리플리는 자신을 멸시해온 그린리프를 살해하고 그의 신분증명서를 위조한다. 또 그린리프의 서명을 똑같이 흉내 내며 친구의 돈을 인출하고 새 아파트를 얻는다. 이는 그린리프의 서명을 열심히 연습하며 부단한 노력 끝에 얻은 결과다. 하지만 요즘이라면 불가능한 일이다. 필체감별기술 때문이다.
사람의 필체는 어느 것 하나 똑같은 것이 없고, 자신도 똑같은 글씨를 되풀이하기 어렵다. 그래서 두 서명이 너무 똑같아도 위조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은 역설적이기까지 하다. 어떤 서명이라도 정확히 똑같을 수는 없기 때문에 만일 두 서명의 형태가 정확히 일치한다면, 분명 그 중 하나는 위조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필체감별은 어떻게 할까?
위조 여부를 가리기 위해 감정관들은 먼저 동일한 사람이 쓴 편지나 공문, 메모 등 다양한 필체를 확보한다. 이어 글씨가 꺾일 때의 각도, 필순, 특정한 습관 등을 다양하게 분석한다. 동일인이 쓸 때는 그 모양은 각기 다르지만 그만의 독특한 ‘공통적인 습관’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같은 사람이 비록 다른 글씨체로 쓰더라도 ‘공통적인 습관’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면 누가 썼는지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필체 감별의 조사법에는 일반적 규칙이 없으며 얼마나 많은 특성이 일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도 특별히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한다. 다시 말해 그동안 오랜 경험을 가진 감정관의 판단에 따라 비과학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으로 감별을 해왔다. 고도로 위조된 필체는 2차원 수준에서 탐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필체를 구분하는 것은 전문가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종종 ‘감별불가’라는 판정이 내려진다.
다행히 2004년 8월 로마의 한 물리학자 덕분에 앞으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필체를 감별할 수 있게 됐다. 이탈리아 로마트레 연구대학 전기공학과의 주세페 스파뇰로 교수팀은 필적 샘플에 레이저 광선을 비춰 3차원의 입체상을 만든 뒤 그 특징을 알아내는 홀로그램 시스템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글씨로 새겨진 종이의 홈과 도랑을 영상으로 컴퓨터에 재현해 3차원 필적 경로 홀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두 획의 연결점, 예를 들어 숫자 8의 중간 부분에서 종이에 가해진 필자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변화나 획순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알파벳 ‘E’를 쓸 때, ㄷ를 쓴 뒤 가로획을 그은 것인지 ‘三’을 쓴 뒤 왼쪽을 막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 획을 그을 때도 처음부터 힘을 줬는지 아니면 서서히 힘을 주워 끝에 힘을 뺐는지 아는 것도 어렵지 않다.
필체를 위조하는 방법 중 하나는 본래의 글씨 위에 종이를 대고 베껴 쓰는 것이다. 그래서 TV 드라마 ‘형사 콜롬보’에서 콜롬보가 흰 종이 위에 눌린 글씨를 알아보기 위해 연필로 가볍게 칠한 뒤 그곳에 자국이 드러나는지 지켜보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이제는 종이가 눌린 원본 종이를 찾지 않아도 위조된 글씨를 선별해 낼 수 있다.
위조범이 비슷한 필체를 흉내 내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림일 뿐이며 원래의 필자처럼 획을 그을 때 힘을 주는 압력의 변화까지 따라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힘을 많이 준 부분은 언덕으로 적게 준 부분은 계곡으로 나타나는 3차원 기술은 복잡하던 필체 감별을 손쉽게 해결하게 됐다.
이 기술은 무엇보다 종이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여러 종류의 종이와 펜을 이용해 수백 개의 필적 샘플을 3차원 홀로그램 기술로 분석해 봤다. 그 결과 3차원 필적 경로 홀로그램 시스템은 문서와 수표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거의 모든 위조를 성공적으로 감지해낼 수 있었다.
회사에서 작성하는 공문서에도, 물건을 살 때도 서명을 하는 세상이다. 모든 개인정보가 디지털화돼 해킹되는 세상이지만 과학기술 덕택에 오히려 서명이 가장 확실한 신분확인 수단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눈빛으로도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마음도장을 찍고 싶은 것은 왜일까?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개인의 신분 확인이 아닌 상호간의 믿음이기 때문일 것이다. (글 : 서금영 과학전문 기자)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국내외 데이터 잇는 KREONET, 미래 과학기술을 부탁해!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과학향기 Story] 사이버 안보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 어떻게 대응할까?
- [과학향기 Story] 생성형AI를 발전시키는 ‘거대 언어 모델’
- [과학향기 for Kids] “어떤 일이든 맡겨줘!” 마법 같은 생성형 AI의 비밀은?
- [과학향기 for Kids] 인공지능(AI)이 똑똑해진 비결은? ‘기계학습’
- [과학향기 Story] ‘꿈의 컴퓨터’ 양자컴퓨터, 어디까지 왔을까?
- [과학향기 for Kids] 전 세계 연결망, 해저케이블을 위협하는 범인은?
- [과학향기 for Kids] 놀라운 힘을 가진 미래 컴퓨터, 양자컴퓨터
- [과학향기 for Kids] 한국의 슈퍼컴퓨터, 어디까지 왔니?
기사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익한 정보네요. ^^
2009-04-08
답글 0
그렇다면 인터넷에 키보드로 입력한 문자나 그림을 통해서도
자기 필체인지 아닌지 알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2006-09-16
답글 0
Wow~!That's amazing!!!
2006-09-14
답글 0
아주 훌륭한 기술인데요. 우리 사회에 범죄없는 그날까지~~!*^^*
2006-09-07
답글 0
이런 과학 수사 방법이 어디까지 발전하게 될까요?
나중에는 카드 영수증에 사인도 무서워서 못하게 될지도 ㅋㅋ
2006-09-06
답글 0
3D micro-topography 응용분야 같네요. ^^
2006-09-06
답글 0
거의 모든이라는 것은 아직도 필체감별기술이 완벽하지 못하다는 말이군요.. 완벽해질 날을 기다리며.. ㅠ
2006-09-06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