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인물] 바다 속 탐험에 자유를 선사한 쿠스토

<KISTI의 과학향기> 제1883호   2013년 06월 05일
1943년 6월 프랑스 남부 지중해 도시 방돌의 바닷가에 희한한 차림의 남자가 등장했다. 기다란 오리발을 착용한 채 눈과 코를 한꺼번에 가리는 커다란 수경을 쓰고 등에는 쇳덩어리를 메고 있었다. 새로 개발한 잠수장비를 시험하기 위해서였다.

잠수부의 겉모습은 우스꽝스러웠지만 인간의 바다 진출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기계에 연결된 고무호스를 마스크에 연결하고 수평 자세로만 헤엄쳐야 했던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공기탱크를 등에 지고 물속에서 어떤 자세로든 자유롭고 편안하게 헤엄칠 수 있는 아쿠아렁(Aqualung)을 개발한 것이다.

‘수중 허파’라는 뜻을 지닌 아쿠아렁은 프랑스의 발명가 에밀 가냥(Emile Gagnan)과 20세기 최고의 해저 탐험가 자크 이브 쿠스토(Jacque-Yves Cousteau, 1910~1997)가 탄생시킨 혁신적인 잠수장비다.

쿠스토는 1942년 가냥을 만나 아쿠아렁의 개발을 제안했다. 1943년 1월 첫 시제품을 메고 파리 근교의 마른느 강물에 뛰어들었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황하지 않고 차가운 물속에 계속 머물며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어냈다. 덕분에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6월에 드디어 개인 잠수장비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쿠스토 덕분에 전 세계의 해양 애호가와 과학자들은 바다 속을 유유히 헤엄치며 물고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인류에게 바다 속 풍경의 장엄함과 수중 생태계의 놀라움을 선사한 것이다.

? 가마솥 던져 넣고 가죽주머니로 숨 쉬던 고대 잠수부

[그림] 1960년 3월 타임지 커버를 장식한 자크 이브 쿠스토

바다를 향한 인간의 도전은 역사 초기부터 시작됐다. 수천 년 전부터 세계 곳곳에서는 노를 젓거나 돛을 올려 빠른 속도로 물 위를 이동하는 배를 이용했다. 그러나 물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이야기가 달랐다. 물고기와 조개를 얻기 위해 잠깐 몸을 담그고 몇 미터 아래로 내려갈 수는 있었지만 호흡 때문에 오래 머물 수는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고안됐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레베타(lebeta)라는 잠수장비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기원전 168년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을 종식시킨 피드나 전투에서 페르세우스 왕이 로마군에게 쫓기다 보물상자를 그리스 앞바다에서 던졌는데, 레베타는 이를 건져내기 위해 개발된 장비다. 커다란 가마솥 모양의 쇠로 된 틀을 거꾸로 해서 물속에 던져 넣고 가라앉힌 후 내부에 남은 공기를 이용해 잠깐씩 잠수를 할 수 있는 장비였다. 레베타라는 이름도 그리스어로 ‘가마솥’이란 뜻이다.

세계 정복으로 유명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보다 발전된 형태의 콜림파(colympha)에 탑승해 바다 속 경치를 즐겼다. 콜림파는 잠수 틀에 유리창이 달렸으며 가죽호스가 연결돼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간단한 개인용 장비를 이용했다. ‘물에 뛰어든다’는 뜻을 가진 우리나토레스(urinatores)라는 가죽주머니에 공기를 잔뜩 넣은 후 몸에 매달고 잠수를 했다. 개인용 잠수장비의 시초인 셈이다.

이후 16세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마스크, 호흡기, 공기탱크, 오리발 등을 디자인한 스케치를 남기기도 했지만 잠수장비 기술은 2,000년 가까이 큰 진전이 없었다. 해녀나 전문 잠수부가 아니고서는 바다 속을 구경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20세기 들어 쿠스토가 아쿠아렁을 개발함으로써 마침내 인간은 바다 속을 안방처럼 자유롭게 드나들게 된 것이다.

? 포기를 모르는 도전정신으로 인류에게 꿈을 불어넣다

쿠스토는 1910년 6월 11일 프랑스 남동부의 대서양 연안도시 보르도 인근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선천적으로 심장에 문제가 있어 어린 시절 내내 빈혈로 고생했다. 그의 성 쿠스토(Cousteau)가 ‘튼튼하다’는 뜻의 프랑스어 코스토(costaud)와 비슷해 친구들에게 놀림거리가 되기도 했다.

꼬마 쿠스토의 마음에 위안을 준 것은 바다였다. 여름마다 가족 전체가 지중해에서 휴가를 보내면서 바다에 호기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점차 수영 실력이 늘었다. 1920년 아버지를 따라 미국 뉴욕으로 이주한 뒤에는 써머스쿨에서 여름을 보내며 수영과 잠수를 연습했다. 승마에 소질이 없는 쿠스토를 벌주기 위해 수영장 청소를 시킨 선생님의 지시가 쿠스토에게는 오히려 행운으로 작용한 것이다.

1930년 미국에 대공황이 불어닥치면서 프랑스로 되돌아온 쿠스토는 해군사관학교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한다. 실습선 잔다르크호를 타고 먼 바다로 나가면서 처음으로 돌고래를 목격하고 다시 한 번 바다의 매력에 빠진다. 1936년 자동차 사고로 심각한 부상을 입었을 때도 돌고래처럼 헤엄칠 날을 고대하며 꾸준히 재활치료에 임했고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고난과 장애물에도 굴복하지 않는 쿠스토의 끈기와 열정은 잠수장비 개발에서 빛을 발했다. 기존의 장비를 시험하고 개량하다 여러 번 목숨을 잃을 뻔했지만 잠수를 중단하지 않았다. 사람들에게 바다의 신비함을 알릴 수 있다면 무엇이든 시도했다. 트레이드 마크가 된 빨간 모자를 쓴 채 칼립소 호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비며 바다 속 풍경을 촬영해 영화로 만들기도 했다. 환경보호 운동에도 앞장서 대중의 관심을 해양생태 연구로 돌려놨다.

그의 업적은 한두 줄로 요약할 수 없다. 최초의 개인용 스쿠바(SCUBA) 장비를 개발하고 잠수 중의 질소 중독을 예방하는 방법도 알아냈다. 1953년 완성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칸느 영화제와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1977년과 1988년에는 유엔으로부터 국제환경보호상을 받았다. 해양과학자로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1966년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의 회원이 됐고 1989년에는 프랑스 최고 권위의 학술원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으로 추대됐다.

그러나 쿠스토가 남긴 가장 큰 유산은 인류에게 꿈과 용기를 불어넣은 것이다. 수십 년 동안 그의 곁을 지키며 책을 펴낸 동료 이브 파칼레는 그의 명언을 이렇게 기록한다.

“인간에게 생명이 주어진 이유는 시도해 볼 가치가 있는 모든 일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서다. 이 세상을 떠나면서 아무런 후회를 남기지 않기 위해 나는 몸과 마음을 다 바쳤다.”

글 : 임동욱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차이나패스
  • 평점   별 5점

포기를 모르는 쿠스토의 열정에 감동입니다!

2013-06-17

답글 0

김동환
  • 평점   별 5점

멋진 위인이네요. 본받아야겠어요.

2013-06-11

답글 0

윤승환
  • 평점   별 5점

아직도 미지의 셰계는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자들, 특히 젊으신 과학도들이 그런 영역에 열정을 불태우고 있을 것입니다. 그분들을 응원하며 인간의 지헤로 이 세상에 창조주의 생명의 신비와 인간의 기술이 융합된 제 2의, 제 3의 르네상스의 문화가 꽃피워지기를 희망합니다...!^^;

2013-06-05

답글 0

김옥주
  • 평점   별 5점

제가 제일 좋아하는 푸로그램입니다 과학의 향기는 꼭 읽어봅니다 오늘도 아주 좋은 칼럼을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6-05

답글 0

이태욱
  • 평점   별 5점

....몸과 마음을 다 바쳐,,,,많이 듣던 내용 ㅎㅎ

2013-06-05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