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친환경 나일론, 미생물로 만든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82호 2023년 08월 14일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나일론을 포함한 다양한 고분자들의 친환경 생산에 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는 중이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한태희 박사가 `나일론-5의 단량체인 발레로락탐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했다.
나일론-5와 나일론 6,5는 역사가 가장 오래된 합성섬유인 나일론의 일종으로, 나일론-5는 탄소 5개짜리 단량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나일론 6,5는 탄소 6개와 5개짜리의 두 가지 단량체로 이루어진 고분자를 말한다. 둘 다 우수한 가공성과 가볍고 질긴 특징을 가진 덕에 의류뿐 아니라 배드민턴 라켓 줄, 어망, 텐트, 그리고 기어 부품 등에 활용된다. 여기서 발레로락탐(valerolactam)은 나일론-5 및 나일론 6,5을 만들어주는 중요한 단량체 재료다.
석유 화학 기반의 화학적 발레로락탐 생산은 극한 반응조건과 유해 폐기물 생성이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발레로락탐을 친환경적이며 고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세포 공장을 개발하려고 노력 중이다. 연구팀은 대사공학(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을 이용해, 아미노산 생산에 주로 사용되는 세균인 코리네박테리움에 발레로락탐 생산 합성 대사회로를 구축했다. 바이오매스인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해 고부가가치의 발레로락탐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한 것이다.
연구팀은 2017년 대장균을 대사공학적으로 개량해 발레로락탐을 세계 최초로 생산하는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그 당시 낮은 발레로락탐 생산능과 부산물 생성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미생물의 발레로락탐 생산능을 향상시키고 개발한 균주에 추가로 부산물 제거를 위한 시스템 대사공학 전략을 도입했다. 그 결과 주요 부산물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제거하고, 유전자 스크리닝을 통해 부산물이자 전구체인 5-아미노발레르산(5-aminovaleric acid)을 발라로락탐으로 전환시켜 부산물 생성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이어 연구팀은 5-아미노발레르산을 발레로락탐으로 전환하는 유전자를 게놈 상에 여러 번 삽입하는 전략을 통해 발레로락탐 생산을 위한 대사 흐름을 강화하고, 세계 최고 농도(76.1g/L)의 발레로락탐을 고효율로 생산해냈다. 이는 기존보다 6.17배 높은 수치였다.
한태희 박사는 “미생물을 기반으로 나일론의 단량체인 락탐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친환경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이번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기반의 바이오 고분자 산업이 석유화학 기반의 화학산업을 대체하는 데에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대사공학지(Metabolic Engineering)'에 지난 7월 12일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펄펄 끓는 지구 시원하게 해줄 복사 냉각 페인트 모델링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와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이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펄펄 끓는 지구의 온도를 낮출 복사 냉각 페인트의 최적 설계 조건을 도출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은 최근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의 시대가 끝나고 지구가 끓는(global boiling) 시대가 왔다”고 경고했다. 세계기...
-
- 미세플라스틱 20분만에 잡아내는 광(光) 검출 기술 개발
- 정호상 한국재료연구원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팀이 빛을 이용해 미세 플라스틱을 현장에서 신속하고 고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검출 키트 기술은 간단한 주사기 필터로 미세 입자를 거르는 형태로, 전 처리 과정없이 20분 이내로 미세 플라스틱의 종류와 개수, 분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미세 플라스틱은 작은 입자 형태로 동식물 체내에 ...
-
- 다이어트, '별세포' 알면 어렵지 않아요!
- 전 세계 10억 명에 달하는 비만 환자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직접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한 동물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도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