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코에 뿌리면 바이러스 차단? 마스크 역할 하는 스프레이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753호 2022년 05월 23일코에 뿌리면 바이러스나 세균을 제거하는 스프레이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기술 출자를 통해 창업한 디알나노가 빛에 반응하고 바이러스, 세균 등 비강으로 침입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비강형 의료기기 ‘리노딜라이트’를 개발하고 판매 인증을 받았다.
리노딜라이트는 스프레이 형태로, 코점막에 직접 뿌려 외부로부터 침입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비강 점막 관리 용품이다. 콧속 비강의 점막을 촉촉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물리적 마스크 없이도 마스크 역할을 하는 일종의 투명 마스크인 셈이다.
리노딜라이트 내에는 메틸렌블루 나노입자가 있는데, LED 광원을 비추면 주변의 산소와 반응해 코점막 상피세포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황색포도상구균을 95% 이상 사멸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아 증식을 억제했으며,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동물모델에서는 폐 염증과 부종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세균과 바이러스 등 외부침입 이물질이 사멸된 이후에는 빛에 의해 나노입자도 분해되기 때문에 안전하다.
디알나노 관계자는 “비슷한 원리를 활용한 기존 광반응 제품들이 고출력의 레이저 광원을 활용하기 때문에 병원, 수술실 등 한정된 장소에서만 사용 가능했지만, 본 제품은 저출력 LED 광원으로도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가정, 사무실 등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쓸모없다 믿었던 정크 DNA, 노화와 발암의 원인?
- 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김민정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권현우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쓸모없는 DNA를 뜻하는 정크 DNA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규명했다. 인간 유전체 중 일반적인 단백질 생성 유전자는 전체 염기서열의 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유전체 영역은 그 기능이 뚜렷하게 알...
-
- 겨울철 차가운 냉기, 한여름 냉방에 꺼내 쓴다
- 국내 연구팀이 차가운 겨울철 냉기를 땅 속에 저장했다가 한여름에 꺼내 하우스 등의 냉방에 이용하는 새로운 냉방 기술을 개발했다. 한여름 폭염에 달궈진 하우스 온도는 50~70℃에 육박해 농작물의 생육에 치명적이다. 하지만 한여름 불볕더위에는 냉방기기에도 한계가 있고 높은 에너지비용은 농가에 큰 부담이 된다. 특히나 올해는 고유가에 따른 전력 요금의...
-
- 망막의 모든 영역을 2.3초 안에 이미징하는 기술
- 2.3초 안에 망막의 모든 영역을 3차원으로 이미징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KAIST 기계공학과/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 망막의 넓은 영역에서 초점 위치뿐만이 아니라 초점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망막은 안구의 렌즈를 통해 이미징해야 하기 때문에 안구 렌즈의 ...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좀 늦은 감이 있지만 많은 국민이 애용했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북한 동포들에게 원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2022-05-24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