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키보드 없이 손동작만으로 글자 입력… 세계 최초 지능형 전자 피부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818호 2023년 01월 02일국내 연구팀이 지능형 전자 피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전자 피부는 딱딱한 전자소자를 피부처럼 유연하고 늘어나는 형태로 만든 것으로, 피부에 부착해서 사용하면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어 가상현실 구현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장비는 크기가 크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또 수많은 관절 조직에 대응하기 매우 복잡하고, 생성되는 정보도 방대해 실제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전도성 액체를 직접 피부에 분사한 후 나노미터(㎚) 단위의 전도성 그물망을 손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였다. 손 위의 전도성 그물망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이때 획득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전송된 여러 종류의 전기신호를 인공지능이 스스로 비교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서로 다른 손동작을 구별하게 한 후,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몇 번만 반복하면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키보드 없이 손동작만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임의의 물체를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물체의 모양이 화면에 그려지게 하는 등 다양한 가상현실 플랫폼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구현한 기술은 앞으로 가상현실 및 원격의료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성호 KAIST 전산학부 교수와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전자 피부와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첫 사례”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켜 향후 확장가상세계를 비롯해 증강/가상현실, 원격의료, 로봇공학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12월 29일 자로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한 번 쓰면 부드러워져 재사용, 염증 걱정 없는 주삿바늘 개발
- KAIST 정재웅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정원일 의과학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환자의 건강과 의사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유연한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체온으로 유연해지는 특성을 가져, 주사 삽입 부위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는 동시에, 바늘에 의한 혈관 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
-
- '팬데믹은 건강 중시', '엔데믹은 여행 중시'? 인공지능으로 알려준다
- 감종훈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사람들의 온라인 소비 심리와 행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국내 주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NAVER)가 데이터 로깅으로 저장한 제품 검색 데이터를 자료로 활용했다. 데이터 로깅(data logging)은 시스템이나 웹사이트 내 활동에 대한 기록인 로그(lg)를...
-
- 하반신 마비 쥐를 일으킨 기적, '주사 한 방'으로 이룩하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신미경 뇌과학이미징연구단 교수와 손동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운동신경을 회복시킬 수 있는 근육 주사 기술을 개발했다. 이 주사를 하반신이 마비된 실험 쥐에게 놓았더니, 사흘 만에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는 연구 결과도 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은 약물이 아닌 일종의 유연한 보형물이다. 정확히는 ‘주사 주입형 조직 보철용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