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키보드 없이 손동작만으로 글자 입력… 세계 최초 지능형 전자 피부 개발
<KISTI의 과학향기> 제3818호 2023년 01월 02일국내 연구팀이 지능형 전자 피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전자 피부는 딱딱한 전자소자를 피부처럼 유연하고 늘어나는 형태로 만든 것으로, 피부에 부착해서 사용하면 인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어 가상현실 구현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장비는 크기가 크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또 수많은 관절 조직에 대응하기 매우 복잡하고, 생성되는 정보도 방대해 실제 활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전도성 액체를 직접 피부에 분사한 후 나노미터(㎚) 단위의 전도성 그물망을 손에 자동으로 인쇄하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였다. 손 위의 전도성 그물망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이때 획득한 정보를 블루투스 통신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전송된 여러 종류의 전기신호를 인공지능이 스스로 비교하고 학습하는 과정을 거쳐 서로 다른 손동작을 구별하게 한 후,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몇 번만 반복하면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키보드 없이 손동작만으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고, 임의의 물체를 문지르는 것만으로도 물체의 모양이 화면에 그려지게 하는 등 다양한 가상현실 플랫폼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구현한 기술은 앞으로 가상현실 및 원격의료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성호 KAIST 전산학부 교수와 고승환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전자 피부와 최신의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한 첫 사례”라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켜 향후 확장가상세계를 비롯해 증강/가상현실, 원격의료, 로봇공학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12월 29일 자로 실렸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
-
- 움직이는 심장에 딱 달라붙는 심근경색 치료 패치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최이현 박사, 가톨릭대 의대 박훈준 교수‧김혁 박사, 홍콩시티대 반기원 교수팀은 온도감응성 나노섬유 막(membrane)을 기반으로 만든 인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시트를 심장에 이식해, 체내에서 활성화시켰다. 특히, 혈관내피시트를 줄기세포 시트와 함께 이식해 기존의 혈관에서 새로운 혈관이 형성되는 혈관신생(angiog...
-
-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이유
- 비만인 사람에게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해로운 지방조직으로 작용하는 이유가 밝혀졌다. 지방조직은 위치에 따라 복강 내부에 존재하는 내장지방과 피부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으로 나뉜다. 비만 시 내장지방은 각종 대사질환 등 건강에 이상을 유발하는 해로운 지방조직인 반면, 피하지방은 이로운 지방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