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나쁜 건 모두 안경 탓? 안경에 대한 오해와 진실!
<KISTI의 과학향기> 제1467호 2011년 10월 31일
어린이대통령, 뽀로로 군과 국민 MC 유재석씨의 대국민 발표가 있겠습니다.
“에흠흠…, 이런 일로 뵙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모두 오해시라니깐요! 저희 좀 살려주세요~!”
▲사건의 발단
빰빠라~, 빰빰빰빠!
“과학향기 뉴스 테스크에서 알려드립니다. 2012년부터 전국의 모든 안경이 없어질 전망입니다. 그동안 안경은 눈을 튀어나오게 하고 시력을 더 나쁘게 하는 걸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게다가 안경만 쓰면 미남이 추남이 되고 미녀가 추녀가 되는 기이한 현상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안경을 쓴 사람에게 라식과 라섹 수술의 비용을 보조하고 안경을 모두 없애기로…”
뽀로로 : 뭐라구? 안 돼! 저건 안경에 대한 오해일 뿐이라구! 오해 때문에 안경이 없어지다니, 말도 안 돼! 얼른 재석이 형에게 연락해야겠어!
유재석 : 뭐? 안경이 없어지면 우린 끝이야! 당장 안경에 대한 오해를 풀어야 해!
▲사건의 전개
“국민 여러분, 안경을 쓰면 못생겨진다고요? 저희를 보세요. 안경도 얼굴 크기나 모양, 색에 따라 자신에게 어울리는 걸 쓰면 오히려 더 잘생겨 보이게 해줘요. 이 밖에도 안경에 대해 오해하시는 게 많은 것 같은데요. 저희가 오늘 다 풀어드리겠습니다!”

안경을 써서 시력이 더 나빠졌다? X
막 태어난 갓난아기들은 눈의 길이, 즉 각막과 망막상의 거리가 약 18mm로 짧아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원시상태다. 이후 몸이 성장하면서 안구도 자라 약 14세 무렵이면 성인 크기가 된다. 이 때 생활습관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안구가 정상치보다 길게 자라면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면서 먼 곳이 잘 보이지 않는 근시가 된다. 즉 시력은 성장기에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게 자라 나빠진 것이지 안경 때문이 아니다. 다만 자신의 시력과 맞지 않는 안경을 쓰면 안경 때문에 시력이 나빠질 수 있다.
텔레비전을 오래 봐서 눈이 나빠졌다? △
학자들은 근시를 일으키는 데에 유전이 89%, 환경이 11%정도 영향을 끼친다고 본다. 때문에 부모가 근시일 경우 아이도 근시인 경우가 많다. 2010년 영국 킹스대학교의 크리스 해먼드 박사는 근시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기도 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등 한 곳을 오래 바라보거나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는 습관은 근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오직 그 이유만으로 심각한 근시가 되는 경우는 없다.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하지 마라? X
시력은 안경을 쓰는 것과 관계없이 유전적 요인과 생활습관에 따라 더 나빠지거나 유지된다. 따라서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한다고 해서 시력이 더 나빠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근시의 경우 책을 읽는 등 가까운 것을 볼 때는 안경을 벗고 보는 것이 좋다. 가까운 곳을 볼 때는 모양체근이 수축해 수정체를 두껍게 한다. 그 결과 빛이 큰 각도로 꺾인다. 반면 근시를 교정하는 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려 빛을 적게 꺾이게 한다. 이 때문에 안경을 쓴 상태에서 가까운 곳을 보면 모양체근이 더 힘을 주어 수축해야 하기 때문에 눈이 더 쉽게 피로해진다.
안경을 쓰면 눈이 튀어나온다? X
안경을 써서 눈이 튀어나온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주로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 안경을 쓰기 때문이다. 이렇게 안구가 정상치보다 길어지게 되면 자연히 눈이 튀어나온다. 즉 안경을 써서 눈이 튀어나온 게 아니라 튀어나올 만큼 안구가 길어져서 안경을 쓰게 되는 것이다.
어렸을 때는 안경을 쓰지 않는 게 좋다? X
8살 이후부터는 생활에 불편하지 않다면 안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칠판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공부에 흥미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8살 이전에 시력이 나쁜 경우에는 2~3살이라도 꼭 안경을 써야 한다. 사람의 시력은 보통 8세까지 천천히 발달한다. 이 때 아기가 눈이 나쁜 것을 모르고 안경을 쓰지 않으면 시력 발달에 문제가 생겨 약시가 될 수 있다. 약시는 시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사물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나중에 안경이나 수술로 시력을 교정해도 사물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
tip. 안경, 이제 똑똑하게 맞추자!
근시가 심한 경우를 두고 마이너스(-) 시력이라는 표현을 쓴다. 하지만 시력에 마이너스(-)는 없다. 마이너스 렌즈만이 있을 뿐이다. 마이너스 렌즈는 근시를 교정할 때 쓰는 오목렌즈를 말한다. 오목렌즈는 들어오는 빛을 눈 안에서 적게 꺾이게 해서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마이너스 렌즈라고 부른다. 반면 볼록렌즈는 플러스 렌즈라고 한다. 두 렌즈 모두 절대값이 클수록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렌즈를 압축한다는 것도 잘못된 말이다. 눈이 나쁠수록 렌즈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 때 안경점에서는 소위 ‘압축 렌즈’를 쓰길 권한다. 압축렌즈라는 표현 때문에 보통 렌즈에 힘을 가해 렌즈를 압축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보통 렌즈에 비해 굴절률이 더 높은 재질로 만든 렌즈를 말한다.
“어떻습니까? 여러분! 안경에 대한 진실을 이제 아셨죠? 안경이 절대 눈을 더 나쁘게 하거나 못생기게 만들지 않는다고요! 오히려 요즘은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약하고 있답니다. 안경테의 색이나 모양에 따라서 다른 분위기를 낼 수도 있고 단점을 감추고 장점을 부각시킬 수도 있지요. 이래도 정녕 안경을 없앨 셈이세요?”
▲사건의 결론
빰빠라~, 빰빰빰빠!
“과학향기 뉴스 테스크에서 알려드립니다. 어제 유재석 씨와 뽀로로 군의 대국민 발표에 이어 소위 안경빨(?)로 살아온 국민들의 서명운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말씀드리는 순간, 속보가 들어왔습니다. 정부가 안경 디자인 뿐 아니라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비를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보이는 것을 넘어 마음을 읽는 안경, 감정표현을 대신해주는 안경 등 재미있는 안경도 개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잘 보이게 해주는 도구를 넘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안경의 또 다른 변신이 기대됩니다. 지금까지 이화영 기자였습니다”
글 : 이화영 과학칼럼니스트
“에흠흠…, 이런 일로 뵙게 될 줄은 몰랐는데요. 모두 오해시라니깐요! 저희 좀 살려주세요~!”
▲사건의 발단
빰빠라~, 빰빰빰빠!
“과학향기 뉴스 테스크에서 알려드립니다. 2012년부터 전국의 모든 안경이 없어질 전망입니다. 그동안 안경은 눈을 튀어나오게 하고 시력을 더 나쁘게 하는 걸로 악명이 높았습니다. 게다가 안경만 쓰면 미남이 추남이 되고 미녀가 추녀가 되는 기이한 현상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정부에서 안경을 쓴 사람에게 라식과 라섹 수술의 비용을 보조하고 안경을 모두 없애기로…”
뽀로로 : 뭐라구? 안 돼! 저건 안경에 대한 오해일 뿐이라구! 오해 때문에 안경이 없어지다니, 말도 안 돼! 얼른 재석이 형에게 연락해야겠어!
유재석 : 뭐? 안경이 없어지면 우린 끝이야! 당장 안경에 대한 오해를 풀어야 해!
▲사건의 전개
“국민 여러분, 안경을 쓰면 못생겨진다고요? 저희를 보세요. 안경도 얼굴 크기나 모양, 색에 따라 자신에게 어울리는 걸 쓰면 오히려 더 잘생겨 보이게 해줘요. 이 밖에도 안경에 대해 오해하시는 게 많은 것 같은데요. 저희가 오늘 다 풀어드리겠습니다!”

안경을 써서 시력이 더 나빠졌다? X
막 태어난 갓난아기들은 눈의 길이, 즉 각막과 망막상의 거리가 약 18mm로 짧아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원시상태다. 이후 몸이 성장하면서 안구도 자라 약 14세 무렵이면 성인 크기가 된다. 이 때 생활습관이나 유전적 요인으로 안구가 정상치보다 길게 자라면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면서 먼 곳이 잘 보이지 않는 근시가 된다. 즉 시력은 성장기에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게 자라 나빠진 것이지 안경 때문이 아니다. 다만 자신의 시력과 맞지 않는 안경을 쓰면 안경 때문에 시력이 나빠질 수 있다.
텔레비전을 오래 봐서 눈이 나빠졌다? △
학자들은 근시를 일으키는 데에 유전이 89%, 환경이 11%정도 영향을 끼친다고 본다. 때문에 부모가 근시일 경우 아이도 근시인 경우가 많다. 2010년 영국 킹스대학교의 크리스 해먼드 박사는 근시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찾아내기도 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등 한 곳을 오래 바라보거나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는 습관은 근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오직 그 이유만으로 심각한 근시가 되는 경우는 없다.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하지 마라? X
시력은 안경을 쓰는 것과 관계없이 유전적 요인과 생활습관에 따라 더 나빠지거나 유지된다. 따라서 안경을 썼다 벗었다 한다고 해서 시력이 더 나빠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근시의 경우 책을 읽는 등 가까운 것을 볼 때는 안경을 벗고 보는 것이 좋다. 가까운 곳을 볼 때는 모양체근이 수축해 수정체를 두껍게 한다. 그 결과 빛이 큰 각도로 꺾인다. 반면 근시를 교정하는 오목렌즈는 빛을 퍼뜨려 빛을 적게 꺾이게 한다. 이 때문에 안경을 쓴 상태에서 가까운 곳을 보면 모양체근이 더 힘을 주어 수축해야 하기 때문에 눈이 더 쉽게 피로해진다.
안경을 쓰면 눈이 튀어나온다? X
안경을 써서 눈이 튀어나온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주로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기 시작하는 시점에 안경을 쓰기 때문이다. 이렇게 안구가 정상치보다 길어지게 되면 자연히 눈이 튀어나온다. 즉 안경을 써서 눈이 튀어나온 게 아니라 튀어나올 만큼 안구가 길어져서 안경을 쓰게 되는 것이다.
어렸을 때는 안경을 쓰지 않는 게 좋다? X
8살 이후부터는 생활에 불편하지 않다면 안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칠판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공부에 흥미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8살 이전에 시력이 나쁜 경우에는 2~3살이라도 꼭 안경을 써야 한다. 사람의 시력은 보통 8세까지 천천히 발달한다. 이 때 아기가 눈이 나쁜 것을 모르고 안경을 쓰지 않으면 시력 발달에 문제가 생겨 약시가 될 수 있다. 약시는 시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사물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나중에 안경이나 수술로 시력을 교정해도 사물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
tip. 안경, 이제 똑똑하게 맞추자!
근시가 심한 경우를 두고 마이너스(-) 시력이라는 표현을 쓴다. 하지만 시력에 마이너스(-)는 없다. 마이너스 렌즈만이 있을 뿐이다. 마이너스 렌즈는 근시를 교정할 때 쓰는 오목렌즈를 말한다. 오목렌즈는 들어오는 빛을 눈 안에서 적게 꺾이게 해서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마이너스 렌즈라고 부른다. 반면 볼록렌즈는 플러스 렌즈라고 한다. 두 렌즈 모두 절대값이 클수록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렌즈를 압축한다는 것도 잘못된 말이다. 눈이 나쁠수록 렌즈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 때 안경점에서는 소위 ‘압축 렌즈’를 쓰길 권한다. 압축렌즈라는 표현 때문에 보통 렌즈에 힘을 가해 렌즈를 압축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보통 렌즈에 비해 굴절률이 더 높은 재질로 만든 렌즈를 말한다.
“어떻습니까? 여러분! 안경에 대한 진실을 이제 아셨죠? 안경이 절대 눈을 더 나쁘게 하거나 못생기게 만들지 않는다고요! 오히려 요즘은 패션 아이템으로도 활약하고 있답니다. 안경테의 색이나 모양에 따라서 다른 분위기를 낼 수도 있고 단점을 감추고 장점을 부각시킬 수도 있지요. 이래도 정녕 안경을 없앨 셈이세요?”
▲사건의 결론
빰빠라~, 빰빰빰빠!
“과학향기 뉴스 테스크에서 알려드립니다. 어제 유재석 씨와 뽀로로 군의 대국민 발표에 이어 소위 안경빨(?)로 살아온 국민들의 서명운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말씀드리는 순간, 속보가 들어왔습니다. 정부가 안경 디자인 뿐 아니라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비를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보이는 것을 넘어 마음을 읽는 안경, 감정표현을 대신해주는 안경 등 재미있는 안경도 개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잘 보이게 해주는 도구를 넘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안경의 또 다른 변신이 기대됩니다. 지금까지 이화영 기자였습니다”
글 : 이화영 과학칼럼니스트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하루하루 바쁘게 사는 현대인들은 잠을 깨우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 이에 커피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 커피의 소비량은 ‘차(茶)’의 소비량을 뛰어넘지 못했다. 이는 많은 국가에서 차를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카페인 외에도 다양한 성분이 함유돼 있어, 건강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도 다수 존재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Story] 칠흑같이 깜깜한 우주…그래서 얼마나 어두운데?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유재석한태반한이유(안경이였구나)^^ㅎㅎㅎ
2013-08-21
답글 0
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됬어요~
2011-12-01
답글 0
다른건필요없음
안경은모에아이템임
[뽀통령은안경없으면걍팽귄]
2011-12-01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