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74살에도 엄마가 된 새가 있다? 앨버트로스 ‘위즈덤’
<KISTI의 과학향기> 제3128호 2025년 01월 20일새는 얼마나 오래 살까요? 종에 따라 다른데요, 2~3년밖에 살지 못하는 새도 있고, 수십 년간 사는 새도 있습니다. 오래 사는 새 중 가장 유명한 종은 ‘앨버트로스’예요. 앨버트로스는 보통 50년 이상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지혜’라는 뜻의 영어 ‘위즈덤(wisdom)’이라는 이름이 붙은 앨버트로스는 무려 74세로, 현재 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야생 조류예요.
앨버트로스, 커다란 날개로 장거리 비행
위즈덤에 대해 소개하기 전에, 앨버트로스가 어떤 새인지부터 알아볼까요? 아마 앨버트로스라는 새를 처음 들어 보는 친구들이 많을 텐데요. 한국에서는 보기 어려운 새이기 때문이에요. 앨버트로스는 주로 하와이나 알래스카 같은 북태평양이나 남반구 바다에 살거든요. 넓은 바다를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만나기 힘들어요.
앨버트로스는 크기가 크고, 커다란 날개를 가진 것이 특징인데요. 날개를 펼치면 길이가 2~3m나 된답니다. 그래서 날아다니는 모습도 다른 새들과는 달라요. 날개를 펄럭이며 나는 대신, 넓고 긴 날개를 쫙 펼쳐서 바람의 흐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날아다녀요. 글라이더가 하늘을 나는 모습과 비슷하죠. 바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행하는 데 에너지도 많이 쓰지 않아요. 그래서 한 번 날아오르면 수천 킬로미터를 며칠간 쉬지 않고 날 수 있답니다.
74살의 위즈덤, 또 알 낳다!
앨버트로스의 장수 비결(?)도 바로 이 뛰어난 비행 능력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하늘과 바다 위에서 보내기 때문에 천적이 거의 없고, 포식자로부터 먹힐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이런 앨버트로스 중에서도 가장 나이가 많은 새가 위즈덤입니다. 위즈덤은 1956년 태평양의 미드웨이섬에서 처음 발견됐는데요, 그때가 5살 정도였어요. 과학자들은 이때부터 위즈덤에게 꼬리표를 붙여 매년 관찰해왔습니다.
앨버트로스는 매년 둥지로 돌아와 같은 짝을 만나 한 개의 알을 낳는 습성이 있어요. 지금까지 위즈덤은 50~60개의 알을 낳고, 30마리가량의 새끼를 부화시켰어요. 그리고 지난해 11월 말, 74살의 나이에도 알을 낳았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알이 부화하는 데는 약 2개월 이상이 걸리는데, 과학자들은 위즈덤이 낳은 알이 부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기대하고 있어요. 새끼가 태어나면 위즈덤은 남편과 함께 번갈아 바다로 나가 먹이를 사냥하며 새끼를 돌볼 거랍니다.
사진 3. 위즈덤은 74살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새다. ⓒJohn Klavitter/U. S. Fish and Wildlife Service
그런데 위즈덤이 새로 태어난 새끼와 행복하려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있어요. 바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건데요. 현재 앨버트로스는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로 생존에 큰 위협을 받고 있거든요. 바다를 떠다니는 플라스틱 조각을 먹이로 착각해 삼키고, 심지어 새끼에게 먹이로 주기도 합니다. 플라스틱을 먹은 앨버트로스는 내장 기관 손상으로 죽게 돼요. 멋진 앨버트로스의 모습을 오래 볼 수 있도록, 모두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해양 환경을 보호하는 데 동참해 봐요!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3학년 1학기 과학 - 동물의 한살이
3학년 2학기 과학 - 동물의 생활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for Kids] 지진운, 동물의 이상행동… 지진 전조 현상은 정말 있을까?
- 지난 8월 8일, 일본 남부 미야자키현 앞바다에서 규모 7.1의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일본은 원래 1년에 약 1500번의 지진이 날 만큼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나라지만, 100~150년마다 거대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대형 지진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 일본 기상청은 사상 처음으로 대지진 주의보를 발령했어요. 다행히 주의보는 해제됐고 대지진은...
-
- [과학향기 for Kids] 지금은 빅데이터 시대! 빅데이터란 무엇일까?
- 흔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또는 빅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회의 발전에 빅데이터가 큰 역할을 하고 있고, 데이터가 중요하다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곤 하죠. 그런데 아직도 빅데이터가 무엇인지, 데이터와 빅데이터의 차이는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데이터가 많으면 빅데이터일까요? 빅데이터에 대해 알...
-
- [과학향기 for Kids] 전 세계 연결망, 해저케이블을 위협하는 범인은?
- 다가오는 7월, 전 세계인이 열광하는 국제 스포츠대회 올림픽이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됩니다. 수천 ㎞ 떨어진 곳에서 열리는 경기지만, 한국에서도 실시간으로 경기 상황을 지켜볼 수 있어요. 어떻게 프랑스에서 열리는 경기를 한국에서도 볼 수 있는 걸까요? 바로 대륙과 대륙, 국가와 국가, 육지와 섬을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해저케이블’ 덕분이에요.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나무 뗏목 타고 8000km 항해? 태평양을 건넌 이구아나의 대모험
- [과학향기 Story] '디저트 배'는 진짜였다! 당신 뇌 속의 달콤한 속삭임
- [과학향기 for kids]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for Kids] 한 달 동안 똥을 참는 올챙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Story] 유전정보 담는 DNA… 빅데이터 · 우주 시대 이끌 새 저장장치로 각광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