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카드뉴스
카드뉴스
내 성격 알려주는 MBTI 맹신은 금물?!
2020년 10월 26일1
내 성격 알려주는 MBTI 맹신은 금물?!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 S&C
내 성격 알려주는 MBTI 맹신은 금물?!
[글] 김청한 과학칼럼니스트 [디자인] 동아 S&C
2
“난 ISTJ형이야. 책임감이 강하지.”
“그래? 난 상상력이 풍부한 ENTF형인데?”
“난 ISTJ형이야. 책임감이 강하지.”
“그래? 난 상상력이 풍부한 ENTF형인데?”
최근 SNS를 타고
많은 곳에서 유행하는 성격 검사가 있다.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가 그것.
많은 곳에서 유행하는 성격 검사가 있다.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가 그것.
3
일명 MBTI라 불리는 이 검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격검사 중 하나다.
일명 MBTI라 불리는 이 검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성격검사 중 하나다.
단순 흥밋거리 외에도
몇몇 기업이나 학교에서 활용할 정도로
널리 실효성을 인정받고 있다.
몇몇 기업이나 학교에서 활용할 정도로
널리 실효성을 인정받고 있다.
4
그런데 정말 질문 몇 가지로
성격을 재단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그런데 정말 질문 몇 가지로
성격을 재단하는 것이 가능한 일일까?
의외로 많은 학자들은
이 검사의 신빙성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검사의 신빙성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5
MBTI는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의 딸 마이어스가
카를 융의 이론에 근거해 만든 성격 분류 테스트다.
MBTI는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의 딸 마이어스가
카를 융의 이론에 근거해 만든 성격 분류 테스트다.
카를 융은 1920년대를 주름잡은 분석심리학의 대가지만,
100년이 지난 지금 시점으로 봤을 땐 완벽하지 않다.
100년이 지난 지금 시점으로 봤을 땐 완벽하지 않다.
6
무엇보다 수많은 테스트를 통해
실증을 진행하는 실험 심리학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이전의 시기다.
무엇보다 수많은 테스트를 통해
실증을 진행하는 실험 심리학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기 이전의 시기다.
객관적 검증 없이 만들어진 MBTI 테스트에
허점이 많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허점이 많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7
가장 대표적인 비판이
“같은 사람의 결과값이 바뀐다”는 것.
가장 대표적인 비판이
“같은 사람의 결과값이 바뀐다”는 것.
실제 MBTI를 진행한 많은 이들이
다음 번 결과값이 달라지는 것에
의구심을 표하는 사례가 많다.
다음 번 결과값이 달라지는 것에
의구심을 표하는 사례가 많다.
8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기본적으로 자기 보고(self-report)식
검사의 한계로 보는 시각도 있다.
검사의 한계로 보는 시각도 있다.
상황이나 심리에 따라 응답이 매번 달라질 수 있다는 것.
다만 이는 꼭 MBTI만의 문제는 아니다.
다만 이는 꼭 MBTI만의 문제는 아니다.
9
가장 큰 문제는 16가지 범주로
수많은 성격을 재단한다는 점이다.
가장 큰 문제는 16가지 범주로
수많은 성격을 재단한다는 점이다.
실제 사람이 갖고 있는 다양한 성격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분석
지나치게 단순화한다는 분석
10
MBTI는 기본적으로 대립되는 2가지 유형으로
사람을 살펴본다.
MBTI는 기본적으로 대립되는 2가지 유형으로
사람을 살펴본다.
//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
//
외향(E)<->내향(I)
감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
//
11
문제는 실제 사람의 성격은
그 중간 어디쯤이라는 것.
문제는 실제 사람의 성격은
그 중간 어디쯤이라는 것.
외향적인 사람이라 해도
어느 정도는 내향적 인간의 특징이 섞여있다는 점이다
어느 정도는 내향적 인간의 특징이 섞여있다는 점이다
12
그러나 16가지 분류에서는
한 유형에 해당되냐 안되냐만이 중요하다.
그러나 16가지 분류에서는
한 유형에 해당되냐 안되냐만이 중요하다.
사람은 그렇게 극단적 존재가 아니기에
어찌 보면 그때 그때 결과값이 달라지는 것도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어찌 보면 그때 그때 결과값이 달라지는 것도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13
최근에는
신경성, 신경증 혹은 신경증적 경향성이라 불리는 요인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다.
최근에는
신경성, 신경증 혹은 신경증적 경향성이라 불리는 요인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다.
쉽게 말해 예민하고 걱정이 많으며,
부정적인 성격이다.
부정적인 성격이다.
14
당연히 이런 신경성과 현대인의 정신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마련.
당연히 이런 신경성과 현대인의 정신 건강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마련.
그러나 MBTI로는 이러한 경향을 파악할 수 없기에,
그 활용도에 있어서 치명적 결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활용도에 있어서 치명적 결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5
결국 MBTI의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보는 것이 심리학계의 주류.
결국 MBTI의 명확한 과학적 근거는
없다고 보는 것이 심리학계의 주류.
가볍게 나 자신을 성찰해 보거나
서로를 알아가는 흥밋거리 정도가
전문가들이 전하는 MBTI의 용도라 할 수 있겠다.
서로를 알아가는 흥밋거리 정도가
전문가들이 전하는 MBTI의 용도라 할 수 있겠다.
![KISTI의 과학향기](/design/theme/scent/img/view_search_logo.png)
추천 콘텐츠
인기 카드뉴스
-
- 개복치, 정말 삐끗해도 죽을까? 돌연사 전문 개복치의 억울한 진실
- 개복치는 쟁반같이 넓적한 몸통에 뾰족한 지느러미가 위아래로 붙어있다. 이러한 못난 생김새 때문에 복어과를 뜻하는 ‘복치’에 대상을 낮출 때 쓰는 접두사 ‘개’가 붙어 개복치로 명명됐다. 라틴어로 맷돌을 뜻하는 학명 Mola mola도 이러한 개복치의 생김새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신기한 생김새를 가진 개복치는 일명 ‘돌연사’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햇...
-
- 새콤달콤한 딸기는 과일이 아니다? 우리가 알던 식물 상식, 오해입니다만?!
- 겨울은 딸기의 계절이다. 딸기는 특유의 새콤달콤한 맛 덕분에 케이크, 잼, 주스, 빙수 등 디저트 재료로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런 딸기를 향한 대표적인 착각이 하나 있다. 바로 ‘딸기가 과일이라는 것’이다. 딸기는 과일이 아닌 ‘채소’로 분류된다. 여기서 과일과 채소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과, 배와 같은 과일은 나무에서 나는 여러해살...
-
- UFO 외계인 정말 존재할까? 미국 NASA, 농담 아닌 ‘진심모드’로 찾는 중
- 최초의 SF영화라고 불리는 ‘달 세계 여행’에는 곤충형 외계인 ‘셀레나이트’가 등장한다. 1902년 이 영화가 개봉한 이래 수많은 SF 작품에서 외계인이 동반자 혹은 몬스터로 등장하곤 했다. 외계인을 향한 관심은 단지 창작물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실제 UFO를 연구하는 모임이 있는가 하면,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프로그램(SETI)과 같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