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똑똑해지는 약, 그 달콤한 유혹
<KISTI의 과학향기> 제3195호 2018년 08월 13일동의보감에 실린 ‘공자대성침중방(孔子大聖枕中方)’ 이라는 조약법이 있다. 이 방법에 따라 만든 한방약을 먹으면 매일 천 마디의 말을 기억할 수 있게 되어 공자만큼 똑똑해질 수 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동의보감에는 과거 시험 전날에 복용하면 장원급제를 한다는 장원환(壯元丸), 주자가 공부 중에 복용했다는 주자독서환(朱子讀書丸) 등 총 12가지의 ‘총명탕’ 제조법이 실려 있다. 이를 통해 옛사람들이 똑똑해지는 약에 대해 얼마나 큰 관심을 두고 있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똑똑해지는 약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리탈린, 덱세드린, 애더랄, 모다피닐 등등 그 종류도 다양하다. 원래는 2000년대 초에 집중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DHD)를 치료하거나 기면증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약이지만 집중력과 기억력을 높여주는 부가 기능이 있다고 입소문을 타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건강한 일반인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작년에 한 연구기관이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수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에게 약리학적 효과를 통하여 기억력과 집중력을 높이고 인지 능력을 향상하는 ‘스마트 약’을 복용한 적 있는지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14%에 달하는 사람들이 과거 12개월 동안 적어도 한번은 스마트 약을 먹은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2015년에 조사했을 때는 5%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세이다.
사진 1. 자신의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딱히 질환이 없는데도,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출처: shutterstock)
경쟁 사회가 스마트 약 열풍을 부추긴다
어째서 이토록 스마트 약이 주목 받는 걸까? 건강한 사람들이 너도, 나도 스마트 약을 찾는 이유가 무엇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전문가들은 공통으로 과도한 경쟁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가 스마트 약 열풍을 불러 왔다고 지적한다. 남들보다 조금이라도 앞서 나가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진다는 강박에 가까운 경쟁의식이 스마트 약 열풍을 불러왔으며 이 약을 먹음으로써 감수해야 할지도 모르는 부작용까지도 무의식적으로 차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직접 성적 경쟁을 벌여야 하는 학생들이 가장 먼저 스마트 약 열풍에 편승했다. 먹으면 성적이 오른다는 입소문이 돌면서 너도나도 스마트 약을 먹기 시작했다. 소문만으로도 성적에 목매는 학생들에게 인기를 끌기 충분했는데 과학적 검증을 거쳐 스마트 약의 효과가 부분적으로 입증되자 이제는 일반 직장인과 심지어 과학자들까지 스마트 약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의사들마저도 고난도 수술을 집도하기 전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약을 복용한다.
스마트 약이 지닌 두 가지 문제점
하지만 스마트 약의 남용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하나는 공정한 경쟁이 가능할지에 관한 윤리적인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부작용에 관한 문제이다. 그리고 이 두 문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예를 들어보자. 소설 ‘The Dark Fields’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 ‘리미트리스’의 주인공 ‘에디 모라’는 무능한 작가이다. 슬럼프에 빠진 그는 마감 전날인데도 한 장의 원고도 쓰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스마트 약 ‘NZT-48’을 한 알 먹고 나서 그의 인생은 180도 뒤바뀌게 된다. 거짓말처럼 그의 뇌의 모든 부분이 100% 활성화되자 그렇게 골머리를 썩이던 원고를 순식간에 써 내려가는 것은 물론 어려운 수학 공식을 푸는데도 막힘이 없으며 비비 꼬여 있던 인간관계까지 합리적인 능변을 통해 순식간에 해결해버린다. 이제 그는 ‘NZT-48’이 없는 삶을 상상할 수 없다.
물론 현실의 스마트 약은 ‘NZT-48’처럼 극적인 효과를 가져오지 않는다. 기껏해야 몇 시간 정도 기억력과 집중력을 높여줄 뿐이다. 하지만 영화 속 주인공 ‘에디 모라’처럼 약의 효과를 몸으로 체험한 사람은 점점 약에 의존하게 될 수밖에 없다.
사진 2. 영화 <리미트리스>에서는 스마트 약으로 인생이 바뀌는 인물 에디 모라를 통해 인간 존재의 한계와 능력의 확장 문제를 논의한다. (출처: 네이버영화)
실제로 미국과 유럽, 그리고 호주를 포함한 9개 나라에서 조사한 결과 스마트 약 복용률이 하락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한번 약을 먹기 시작하면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약을 찾게 되며 그 간격은 점점 짧아지고 이윽고 주기적으로 약을 먹게 된다.
이렇게 되면 날마다 약을 먹을 수 있는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사이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스마트 약의 도움을 받아 높은 작업 효율을 발휘하는 사람들은 사회에서 성공을 거둘 것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수익을 벌어들일 것이다. 반면 매일 약을 먹을 수 없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경쟁에 임할 수밖에 없으며 낮은 작업 효율은 낮은 소득으로 이어지게 된다.
부작용에 대한 고려도 충분하지 않다. 비록 스마트 약을 파는 업계 관계자들과 연구자들은 스마트 약이 쾌락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중독성은 없다고 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서 봤을 때는 이마저도 확실치 않다. 스마트 약을 빈번하게 복용하다 보면 약을 먹지 않았을 때 스스로가 무능력하게 느껴진다는 호소가 끊이지 않고 있다.
스마트 약이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한 지 채 20년이 지나지 않았다. 미래에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 확실치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약 시장의 확장 속도에는 거침이 없다. 지금이야말로 더 늦기 전에 스마트 약 사용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글: 이형석 과학칼럼니스트/일러스트: 유진성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왜 양치를 꼼꼼히 해야 할까?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항문으로 숨을 쉴 수 있다?’…엉뚱한 이그노벨상 연구들
- [과학향기 for Kids] 동물들은 가족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 [과학향기 Story] 에이즈,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 없다?
- [과학향기 Story] 음악이 변했다? 음악이 진화했다!
- [과학향기 Story] 3시간 후에 침수가 일어난다? ‘데이터’는 알고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과학향기 for Kids] 체감온도는 왜 기온과 다를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는것 같습니다. 그 욕심이 인류문명의 발전을 이루어 온 원동력일 수 있겠지만 결국 바벨탑 쌓기처럼 파국으로 가는 길이 되지는 않을지 걱정도 되네요.
2018-08-22
답글 0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자기 관리랑 노력으로도 충분히 작업 효율이나 학업에 대한 성과를 올릴 수 있는데 약에 의존하려고 하는 요즘 현실이 꼭 운동하지 않고 영양제로만 쉽게 건강을 지켜보겠다는 심리와 비슷해 보이기도 하네요. 꾸준한 노력과 궁리를 통해 뭔가를 성취했을 때의 기쁨은 그 무엇과도 바꾸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
2018-08-13
답글 0
예, 유의합시다...! 감사합니다...!^^~
2018-08-13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