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에피소드
에피소드
어치의 푸른빛 깃털 모방한 색 구현 기술 나왔다
<KISTI의 과학향기> 제3840호 2023년 03월 20일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Eurasian jay)는 특이한 광택이 나는 푸른빛 날개를 가진다. 여종석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어치 깃털의 색 변화 원리를 밝혔다. 또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의 두께에 따라 구조색이 변하는 것을 모방하는 나노공정 기술도 개발했다.
구조색은 색소나 염료 같은 화학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색이 아닌 물체 표면의 미세 구조 때문에 빛이 반사하거나 산란하면서 나타난다. 자연에서 구조색을 띠는 동물은 많지만 구조색을 보이는 원리가 저마다 달라 어치를 포함한 개체의 색 변화 원리는 아직 미지로 남아있었다.
과학자들은 색이 변화하는 원리를 밝히면 색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친환경적으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조색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소와 달리 색이 바래지 않고 자연광에서도 밝은색을 내기 때문에 일찍부터 반사형 디스플레이나 야외 디스플레이, 색 변이 센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연구팀은 구조색 원리를 밝히기 위해 3차원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어치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를 관찰했다. 관찰 결과, 단백질의 한 종류인 케라틴으로 이뤄진 나노구조체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파란색에서 흰색으로 색이 밝아졌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어치 깃털의 구조색은 나노구조체의 두께와 비례해 가시광선을 반사하는 파장 영역이 넓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로노이(Voronoi) 분석법으로 깃털 내 나노구조체가 두꺼울수록 깃털의 깃가지 내 수질 세포(medullary cell)의 수가 많아져 깃가지의 크기가 커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에 어치가 구조색을 표현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나노구조체 두께를 조절하며 색을 바꾸는 모방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연구는 2022년 12월 20일 광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즈(Advanced Optical Materials)’에 게재됐다. 또 지난 2월 20일에는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나무 한 그루는 이산화탄소 얼마나 줄여줄까?
- 숲은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나무 심기를 권장해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노력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줄여줄까?우리나라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결과가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이 40년간 전국 3,000여 개의 숲을 조사한 결과, 산림 단위 면적당 연간 10.4톤...
-
- 뛰어난 방음 성능에 전기와 열까지 만드는 방음벽 개발
- 교통 소음을 줄여주는 방음벽에 전기와 열까지 생산하는 다기능 방음벽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변환시스템연구실 연구팀은 PVT 기술과 방음벽을 결합한 형태의 다기능성 방음벽 기술을 개발했다. PVT는 태양광 패널과 태양열 집열기가 융합돼 전기와 열을 같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 태양광 패널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전량이 감소한다...
-
- 질문에만 답해도 꿀잠 여부 예측해주는 알고리즘 개발
-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주은연‧최수정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지현 이화여대 서울병원 교수팀이 번거로운 검사 없이도 수면 질환 위험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 ‘슬립스(SLEEPS‧SimpLe quEstionnairE Predicting Sleep disorders)’를 개발하고 공개했다. 수면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성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