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아스팔트 먹는 박테리아

<KISTI의 과학향기> 제807호   2008년 09월 05일
엄마는 내가 어렸을 때부터 밤하늘을 보면서 과학 이야기를 해주시곤 했다. 엄마가 얘기해주는 과학 이야기는 정말 실감 나고 흥미진진했기 때문에 나는 얼른 밤이 오기를 기다린 적도 있다. 어느 날 엄마는 나에게 세상엔 눈으로 볼 수 없는 생물도 있다는 이야기를 말씀해 주셨다.

“요즘도 학교에서 우유 잘 먹고 있니?”
“응. 그런데 가끔 깜박하고 안 먹으면 다음 날 우유에 건더기가 생겨. 왜 그런 거야?”
“상해서 그렇단다. 바로 우유 속에 있는 세균 때문이지.”
“세균? 우유 속에? 난 못 봤는데… 막 꿈틀거려?”
“아니~ 세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아. 그래서 미생물이라고 그러기도 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생물?”
“그렇지. 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생물.”
“어디에 있어? 지구에 있어?”
“지구에는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환경 외에도 다양한 자연환경이 존재한단다. 예를 들면 남극 기온은 영하 60도 이하로 내려가고 심해저 열수분화구 주변의 수온은 100도가 넘거든. 이렇게 춥고 뜨거운 곳에는 생명체가 살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생명이 없는 곳은 없어.”

“으아~ 생각만으로 춥고 뜨겁다! 그냥 안 춥고 안 뜨거운 곳에서 살면 안 돼?”
“그 생물들은 그들이 있는 환경이 최적이라고 느끼는 거겠지. 80도 이상 되는 고온 환경에서만 잘 자라는 초고온균 얘길 해줄까? 초고온균이 생산하는 단백질은 100℃에서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중온성 미생물이 고온에서 오염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단다. 그러면서도 중온균이 생산하는 효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하지만 중온균 효소들이 변성을 일으키는 극한 환경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신기한 것이지.”

“음… 좀 신기한 균이네?! 다른 종류 또 있어?
“신기하지? 세균은 원래 중성(pH 7)에서 잘 자라는 성질이 있어. 그런데 호산성균이라는 세균은 산성 환경을 좋아하고, 호염균은 알칼리성 환경을 좋아해서 소금 농도가 아주 높은 곳에서 살아.”

“잠깐! 종류가 많으니까 헷갈려~”
“이렇게 생각하면 돼. 심해저에서 서식하는 호압균의 경우, 압력을 좋아하니까 호압균이라고 부르는 거야. 이 균은 수심 6,500m에서 650기압이 되는 높은 압력을 좋아하는데, 650기압이라면 1㎠ 크기에 650㎏의 무게가 실리는 것과 같거든. 정말 대단하지? 그럼 퀴즈 하나 내볼까? 암석에서 사는 균을 뭐라고 할까?

“암석에서 사는 균? 그럼 호암석균인가?
“으하하~ 반은 맞았다. 암석 안에서 자라는 암석균이 있고, 독성물질이 있어야 사는 내독성균도 있어. 건조내성균은 생명의 필수요건이라는 물이 거의 없는 곳에서만 사는 미생물이고. 다 외우려고 하면 어려워. 이해하는 게 중요하지. 지금도 계속 이런 미생물들이 발견되고 있거든.”

“그러면 이 생물들을 다 미생물이라고 부르는 거고 세균은 안에 포함되는 거야?
“천천히 설명해줄게. 이렇게 극한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의 발견이 늘어나자 미생물의 분류방법도 바뀌게 되었단다. 즉 핵막과 기관이 없다는 점에서는 세균(박테리아)과 비슷하지만 세포막의 구조나 DNA와 단백질을 합성하는 방법은 진균류(곰팡이)와 비슷해. 그래서 극한미생물을 아키아(Archaea)로 따로 분류하게 되었어. 이제 미생물에는 세균, 아키아, 진균이라는 세 개의 도메인이 있는 것이라고 보면 돼.”

“응. 세 개의 도메인이라…”
나는 밤하늘을 쳐다보면서 머릿속으로 분류해 보았다.
“새로 발견된 다른 미생물이 있는지 인터넷에서 같이 찾아볼까?”
엄마는 냉장고에서 간식을 가져오시면서 나를 컴퓨터 앞으로 부르셨다. 나는 미생물에 대해 점점 관심이 깊어졌다. 엄마는 미생물에 대한 기사를 검색하시다가 나를 향해 반갑게 소리치셨다.

“이것 봐. 미국 로스앤젤레스 도심 한복판에 있는 2만 8천 년 된 타르에서 박테리아가 발견됐대!”
“엄마. 타르가 뭐야?”
“타르란 물질을 태울 때 발생되는 모든 형태의 점액질을 지칭하는 대명사야. 목재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나무 타르라고 하고 담배가 탈 때 생기는 점액물질을 담배 타르라고 하지. 그리고 석유나 석탄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찌꺼기를 콜타르(Coal Tar)라고 하는데 이것이 아스팔트로서 도로포장에 사용되거든. 로스앤젤레스 도심에 있는 타르는 바로 도로포장에 쓰이는 아스팔트야. 그동안 이 거대한 타르에서 무수히 많은 동식물 화석이 발견되었단다.

“어떻게 발견한 거야? 지나가는 사람들이 발견했나?”
“하하. 도심이라고 하니까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구나. 이 중유 찌꺼기인 타르에서 거품이 일어나는 것을 몇몇 과학자들이 관찰했대. 기사에 따르면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 대학의 환경과학자 데이비트 크롤리 교수와 그 연구팀에서 박사 후 과정을 밟고 있는 한국인 김종식 박사가 함께 관찰했다고 하는구나. 연구팀이 거품의 정체를 추적한 결과, 거품은 아스팔트를 먹고사는 박테리아가 배출하는 메탄가스임이 밝혀졌지. 타르 구덩이에서 박테리아 수백 종을 발견한 거고.

“우웩, 아스팔트가 맛있을까? 그걸 먹고살게~”
“덕분에 우린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잖아. 이 아스팔트를 먹는 박테리아의 DNA 염기서열까지 해독하게 되었으니 말이야. 연구팀은 아스팔트를 먹는 박테리아에서 석유를 분해하는 효소 세 가지를 발견했대. 이 효소들을 이용해 토양이나 해양에 유출된 기름으로 인한 오염을 제거할 수 있어. 그리고 신약을 발명하고 바이오연료를 제조하고 석유 회수율을 높이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을 거야.

“음… 그렇게 사람들이 앞으로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면 다른 박테리아도 더 많이 발견됐으면 좋겠다!”
“맞아. 이 박테리아와 마찬가지로 다른 극한미생물들도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어. 어쩌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르지.
“엄마, 앞으로는 어떤 신기한 박테리아가 우리 앞에 나타날까? 생각만으로 가슴이 두근거린다~ 그렇지?”
“응, 나도 그래.”

글 : 이정모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Hi
  • 평점   별 5점

유익한 정보네요!

2011-12-14

답글 0

??
  • 평점   별 5점

관심이 있으면 아주 잘 이해하죠. 굉장히 재밌었습니다.

2011-12-01

답글 0

어떤님
  • 평점   별 5점

너나 낮게 주지 마라

2011-12-01

답글 0

이다인
  • 평점   별 5점

참 잼있네여~!!^^
저 초 3인데 이해 좀 잘됨~^^
과학향기 마니마니 봐야겠어여~!!

2011-12-01

답글 0

ㅋㅋㅋ
  • 평점   별 5점

아이가 이해하기엔 어렵다고 할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국민학교 시절일 때에도 저런 어린이를 상대로 하였어도 과학적이 내용이 많이 담긴 책도 많았습니다.
만화로 되어있던 책은 제가 책 표지 뿐아니라 내지까지 닳아 떨어질 정도로 읽었던 기억이 있네요 ㅎ
아무리 어린 아이라 하더라도 관심이 있고 좋아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ㅋ

2011-12-01

답글 0

김수정
  • 평점   별 5점

어머니 계서 무척이나 똑똑 시네ㅋㅋ 과학교수라도 하심ㅋ

2011-12-01

답글 0

기여미
  • 평점   별 5점

잘봤어여 ㅎㅎㅎ!!>,<너무 재밌었습니당..ㅎㅎㅎ

2011-12-01

답글 0

오렌지사탕
  • 평점   별 5점

재미있어요~^^
재미있게 잘보았습니다~ㅎㅎ

2011-12-01

답글 0

아니
  • 평점   별 5점

그럴꺼면 왜 아이랑 엄마를 넣었음;

2011-12-01

답글 0

까은잉*^^*
  • 평점   별 5점

와우~~~굿~새로운사실 감사합니다~곱하기3번

2011-12-01

답글 0

ㅇㅋ
  • 평점   별 5점

재미있네요. 아래 분은 어느 대학 어느 과목이길래 저런게 학부전공으로 나오나요? 전 20년전 초등학교때 과학책에서 보던 글인데.. 어차피 관심가지고 님의 우려만큼 알아들을 사람은 따로 있습니다. 대학원까지 다니시면서... 사람, 세상물정 모르시는 듯

2011-12-01

답글 0

asdasdasd
  • 평점   별 5점

asdasdasdasd

2011-12-01

답글 0

정말
  • 평점   별 5점

설정이 좀 억지네요.
어린아이 = 일반인
엄마 = 교수
급 정도 인듯.

2011-12-01

답글 0

ㅇㅇ
  • 평점   별 5점

저는 생물공학과에 다니는 대학원생인데.,... 정말 아이라면 과연 이 말을 얼마나 알아들을까요...ㅋ 학부 전공수업시간에 나오는 얘기인데 아이들이 보기엔 어렵네요..
어른들을 위한 동화같은 느낌..

2011-12-01

답글 0

gddawr
  • 평점   별 3점

그냥보면될것을 뭘 그렇게 따지고보는 건지....... 이해가안가

2011-12-01

답글 0

유수연
  • 평점   별 5점

우아..진짜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정말 유익한 글이네요!!

2011-12-01

답글 0

설마니가..?
  • 평점   별 5점

대학원생이 지금 이걸 듣는다구요? 어디 대학원인지 수준이 참^^

2011-12-01

답글 0

서론 참
  • 평점   별 2점

더럽게 기네요..

2011-12-01

답글 0

나현희
  • 평점   별 5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2011-12-01

답글 0

;;
  • 평점   별 5점

왜 자꾸 어머니 수준 타령에 아이 수준 타령을 하는거지;;
대상 독자가 어린 아이도 아니고,
어느 수준의 글이던간에 독자가 이해하는 정도는 그 독자의 지식 수준으로 정해지는건데
애가 똑똑하다는 둥 어머니께서 전문적이라는 둥 설정이 억지스럽다는 둥
그런 소리 해봐야 뭐가 나오는거지?
아무리 아이라도 과학에 관심이 많아서 관련 서적도 읽고 한다면 이 정도 수준 이해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테고,
아무리 어른이라도 과학이란 것에 전혀 관심 없는 사람이라면 이 정도 수준도 이해하기 힘든건데.
정말 이상한 걸로 태클을 거네.
모르면 모르는대로 더 찾아보고 더 공부하고
알면 아는대로 잘 읽었다고 하면 되는것을.

2011-12-01

답글 0

pj
  • 평점   별 5점

굿

2011-12-01

답글 0

하순길
  • 평점   별 4점

유익한 상식이네요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2011-12-01

답글 0

평점
  • 평점   별 1점

무식한 것들아 평점 낮게 주지 마라 ... -_-;

2011-12-01

답글 0

아현성
  • 평점   별 5점

쉽게 설명하려고 애쓴게 보이는군요. 설정이 억지스럽다는 분은 의문입니다. 제가 봤을땐 충분이 축약하고 어려운 부분 제거 하고 쉽게 쓰려고 한거 같은데 얼마나 더 줄이고 쉽게 해야 할까요? 차 떼고 포 떼고 더 떼일것이 있겠습니까? 더욱 쉽게 쓰려고 한다면 그건 습자지 같은 얇학한 지식만 심어줄 뿐이고 전혀 과학적이지 못한 뜬 구름 잡는 책이 될 수 도 있습니다...

2011-12-01

답글 0

zz
  • 평점   별 1점

;;

2011-12-01

답글 0

봉봉봉
  • 평점   별 5점

타르를 모르는 애가 중온성 미생물, 중성(Ph7)을 이해하네요 ㅎ

2011-12-01

답글 0

답이요
  • 평점   별 5점

메탄가스를 공기중에 보내면 오염되지만 관리를 할수있으면 에너지원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ㅎ

2011-12-01

답글 0

권진현
  • 평점   별 1점

전 9살인데 너무 쉬운 말을 쓴 것 같은 느낌?

2011-12-01

답글 0

김현민
  • 평점   별 1점

어렸을때 어머니에게들은 이야기치고는 내용이 너무 심도있네요 ㅋㅋㅋ

2011-12-01

답글 0

aodddd
  • 평점   별 3점

아이의 수준이 중학생정도는 되야..ㅋㅋ

2011-12-01

답글 0

...
  • 평점   별 1점

실제로 저렇게 이야기 해주면 얼라들이 알아 듣겠습니까?

애들한테 보여줄거면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야지 않겠나요?

지나치게 설정이 억지스럽네요.

2011-12-01

답글 0

ㅁㄴㅇㄹ
  • 평점   별 1점

ㅁㄴㅇㄹ

2011-12-01

답글 0

qkrdlstn
  • 평점   별 5점

잘봤어요

2011-12-01

답글 0

ㄱㄱㄱ
  • 평점   별 1점

속독과 정독의 차이를모르냐 아가야

2011-12-01

답글 0

현윤혜
  • 평점   별 5점

엄마가 대단하신분이셧어,,,,,,,,,,,,,울아들한테 저리설명잘해줄수있을란가.ㄷ

2011-12-01

답글 0

ㅋㅋㅋㅋㅋ?
  • 평점   별 1점

ㅋㅋㅋㅋㅋㅋㅋ아이타령하고 어머님이 쉽게 말해주는것같이하는데 걍ㅋㅋㅋㅋㅋㅋ닥치고설명이네여ㅑ

2011-12-01

답글 0

dd
  • 평점   별 5점

그렇다고 모든 호염기성균이 호염균인것은 아닙니다.
염분은 알칼리성 뿐만 아니라 삼투압을 만들기 때문에 호염균과 호염기성균은 확실히 구분되야 하는 용어입니다.
용어와 그 정의를 분명히 해야하지요.

2011-12-01

답글 0

asdasd
  • 평점   별 5점

완전 쉬운데 너어렵다고 별점 낮추지마라 초딩아

2011-12-01

답글 0

one
  • 평점   별 5점

그래서 제목이 퍼니 과학인겁니다...

2011-12-01

답글 0

zz
  • 평점   별 5점

대학원은 얼어죽을 중,고등학교 교육책에 나올법한 단어들이구만

2011-12-01

답글 0

세상에
  • 평점   별 3점

내용은 참 재미있는데.. 설정이 좀 억지 스럽습니다.^^; 아이가 무슨 송유근이라도 되나 보네요..

2011-12-01

답글 0

본인이
  • 평점   별 1점

이해안된다고 아이들이 이해못할것을 핑계삼아 별점을 낮게주는 행위는 삼가하시길 바랍니다

2011-12-01

답글 0

rs
  • 평점   별 3점

어려워서 이해를 못하는 부분도 있고, 어린이한테 이런말 해봤자 까먹을듯...
그래도 감탄하고 갑니다.

2011-12-01

답글 0

오영철
  • 평점   별 4점

내말이 그말입니다
어린나이에 천재소리 들으며 자라셨을듯... ㅋㅋ

2011-12-01

답글 0

류금선
  • 평점   별 5점

과학을 알기 쉽게 설명해서 아이들에게 많이 유익하네요. 우리애들에게도 보여주면 좋겠습니다

2011-12-01

답글 0

권현우
  • 평점   별 5점

유용한 정보. 재밌게 봤습니다!

2011-12-01

답글 0

김소리
  • 평점   별 5점

이 아이 똑똑한듯 ㅋㅋ

2011-12-01

답글 0

韓나라당
  • 평점   별 4점

유익한 이야기인데

아이가 몇살인지 궁금하네요

저도 이해가 잘안되는데...

2011-12-01

답글 0

MasterP
  • 평점   별 5점

흠.... 수용성 염기=알칼리 라는데, 화학에서는 염기성=알칼리성 같은 말인데...?!?! 백과사전을 보니 염분은 염류(NaCl, MgCl2, Na2SO4, CaCl2, KCl 등)가 바닷물 1kg에 녹아있는 그램수라는데.. 그렇다면, 염분이 높은 곳은 자연히 알칼리성일텐데... 설마 염분이 소금만 얘기하는 줄 알았다는....?!?! 공기가 산소로만 있다는...?!?! 과 비슷한 생각이라는?!?!

2010-05-30

답글 0

권순직
  • 평점   별 5점

과학자들의 관찰력이 새로운 발견의 원동력이군요. 타르에서 사는 박테리아를 발견하여 석유로 오염된 곳에 이를 이용하여 석유를 분해하여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다니 작은 미생물이지만 인류보다 중요한 일을 하네요.

2009-04-09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