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for Kids
- 에피소드
에피소드
[과학향기 for Kids] 잘 모를 때 친구 따라 하는 이유!
<KISTI의 과학향기> 제3133호 2025년 02월 17일가족들과 새로 생긴 중국집에 갔어요. 메뉴를 고르다가 주위를 둘러보니 다른 손님들이 모두 짜장면을 먹고 있네요. 원래는 짬뽕을 먹고 싶었는데, 갑자기 짜장면이 먹고 싶어지면서 고민이 되기 시작해요. 우리는 이렇게 가끔 다른 사람들의 선택을 따라 하고 싶을 때가 있어요. 왜 그럴까요?
사진 1. 다른 사람의 선택을 따라 하고 싶어지는 이유가 최근 밝혀졌다. ⓒshutterstock
사진 2. 뇌는 모든 정보를 종합해 가장 좋은 선택을 고른다. ⓒshutterstock
사진 3. 우리 뇌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남들의 선택을 따라 한다. ⓒshutterstock
모든 정보를 종합해 결정을 내리는 뇌
우리는 매 순간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요. 오늘 학교에는 어떤 옷을 입고 가야 할지, 신호등의 초록불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뛰어갈지 혹은 기다려서 다음 신호에 건널지, 친구들과 어떤 게임을 하면서 놀지 등등. 이런 결정은 우리 몸의 사령관, 뇌가 담당하는데요.
우리 뇌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선 눈, 귀, 코, 피부 등 감각기관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모아요. 예를 들어 우리가 편의점에서 맛있는 과자를 고르고 있다면, 진열대에 어떤 과자들이 놓여 있는지, 새로 나온 과자는 없는지 둘러봐요. 친구들이 어떤 과자를 고르는지도 눈여겨보고, 예전에 먹었던 과자들이 어떤 맛이었는지, 맛있었던 과자와 맛없었던 과자도 골라내죠. 이렇게 우리 뇌는 갖고 있는 모든 정보를 종합해서 가장 좋은 선택을 내립니다.
잘 모를 때, 뇌는 남을 따라한다
그런데 선택지가 너무 많거나, 아무런 정보가 없는 새로운 상황에서는 어떤 선택을 해야 좋을지 어려울 때가 있어요. 이럴 때 우리 뇌는 어떻게 할까요?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 뇌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의 선택을 따라 한다고 해요. 다른 사람들이 많이 선택하는 게 더 좋은 선택이고, 그걸 따라 하는 게 안전한 지름길이라 생각하는 거죠.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은 뇌의 특정 부분이 다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요. 이들은 뇌에서 불확실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가 손상된 사람들이었어요. 연구팀은 이들에게 2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게 했는데요, 처음에는 다른 사람이 어떤 걸 선택했는지 보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지를 고르게 했어요. 실험 참가자들은 불확실한 정보를 처리하기 어려워 쉽게 선택을 내리지 못했죠.
그런데 다른 사람의 선택을 보게 한 다음 결정을 내리도록 했더니,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의 선택을 따라 했어요. 연구팀은 뇌 손상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에도 남을 따라 하려는 모습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청소년기까지는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를 아직 잘 모르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새로운 상황에 놓이거나, 모르는 게 많을 때 다른 사람들의 선택을 따라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하지만 그만큼 자신만의 생각을 갖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친구들을 따라 하는 것도 좋지만, 내가 진짜 좋아하는 게 무엇인지 생각해본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을 거예요.
Q. 어떤걸로 고르시겠어요?
음~~~ / 저도 같은 걸로 주세요!
KISTI의 과학향기
※ 교과서 연계 - 이번 과학향기 에피소드는 어떤 교과 단원과 관련돼 있을까?
5학년 1학기 과학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5학년 1학기 과학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학년 2학기 과학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글: 오혜진 동아에스앤씨 기자 / 일러스트: 감쵸 작가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과학향기 Story] 추위에도 끄떡없어!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은?
- 눈으로 뒤덮인 극지를 보면, 금방이라도 손발이 얼어붙을 것 같아요. 그런데 북극에 살고 있는 북극곰은 따뜻한 옷을 입은 것도 아닌데, 강추위에도 멀쩡합니다. 심지어 물속에 들어갔다 나온 후에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추운 겨울, 머리카락을 제대로 말리지 않고 나가면 머리카락이 곧바로 얼어붙는 우리와 딴판인 셈이죠. 그렇다면 북극곰의 털은 대체 왜 얼어...
-
- [과학향기 for Kids] 곤충이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이유는?
- 여름은 파리, 모기, 나방과 같은 곤충이 많아지는 계절입니다. 그만큼 밤에 가로등이나 전구 같은 인공불빛에 수많은 날벌레들이 모여드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곤충은 왜 빛에 모여드는 걸까요? 사진 1. 여름이면 가로등 빛에 모여드는 곤충들을 쉽게 볼 수 있다. ⓒshutterstock 인공불빛에 모여드는 것은 방향 감각 상...
-
- [과학향기 for Kids] 종이에 베이면 왜 이렇게 아플까?
- 책을 읽거나, 종이접기에 집중하다가 종이에 베여본 경험, 다들 있을 텐데요. 얇은 종이에 베인 건데도, 칼에 베인 것만큼이나 따갑습니다. 종이에 베인 상처에선 피도 거의 나지 않는데 왜 이렇게 따가운 걸까요? 그리고 어떤 종이에 베였을 때 가장 아플까요? 이 엉뚱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파헤친 연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연구인지 함께 알아봅시다. ...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죽음을 초월한 인간, 《미키17》이 던지는 질문
- [KISTI의 과학향기 for kids] 사람 근육으로 움직이는 로봇 손 등장!
- [과학향기 Story] 인간의 뇌, 와이파이보다 느리다니?
- [과학향기 for Kids] 귓바퀴의 조상은 물고기의 아가미?
- [과학향기 Story] 하루 한 두 잔은 괜찮다더니… 알코올, 암 위험 높이고 건강 이점 없어
- [과학향기 Story] 커피가 좋은 당신, 이 미생물 8배 많다
- [과학향기 Story] AI 전문가, 인간과 함께 미래 유망기술을 꼽다
- [과학향기 for Kids] 개는 왜 몸을 흔들어 물을 털어낼까?
- [과학향기 Story] 위고비의 뜻밖의 효능들
- [과학향기 for Kids] 피를 에너지로? 흡혈박쥐만의 놀라운 생존법!
ScienceON 관련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