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미생물로 만드는 녹색 석유… 미래 융합기술

<KISTI의 과학향기> 제934호   2009년 06월 29일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군함은 부족한 군사 자금을 보충하기 위해 금이 달라붙는 물질(이온교환 수지)을 개발해 커다란 배 뒤에 붙이고 다녔다. 이렇게 확보한 금의 양이 많지 않았지만, 어쨌든 독일군은 단순한 아이디어로 짭짤한 수익을 얻었다.

자원 대란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는 경고의 메시지가 많지만, 이미 사람들은 기발한 상상력 하나로 다양한 자원을 만들어 내고 있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면 양극(+)에선 염산, 음극(-)에선 양잿물이 생긴다. 그렇다면 이번엔 소금물에서 물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남아 있는 소금만 녹여 전기분해하면 어떻게 될까? 양극에서 염소가스가 나오고, 음극에서 나트륨이 생성된다. 아이디어 하나로 흔한 소금물 하나에서 4가지 자원을 얻어내는 셈이다. 이런 물질은 모두 산업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일례로 금속 나트륨은 원자력발전소의 냉각 시스템에 쓰인다.

그러나 21세기 과학, 산업계의 승자가 되기 위해선 이렇게 단순한 상상력과 아이디어로는 부족하다. 그래서 최근 새로운 시도의 하나로 융합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융합기술이란 IT, BT, NT 등 신기술을 상승적으로 결합해 가까운 미래에 인간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기술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융합기술을 발굴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확장하기에 따라서 무궁무진하게 퍼져나갈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원자력발전소에서 버려지는 방대한 열 에너지도 융합기술의 소재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이 에너지를 그대로 바다에 버리고 있는데, 이런 에너지를 체계적으로 모아 관리한다면 해양소재의 정제나 생산에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해양산업과 원자력산업의 융합인 셈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버리는 열을 활용한다면 바다 농장(해양 바이오 플랜트)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정한 열에너지와 무기염류만 보충되면 바다에 사는 해조류와 녹조류는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여름철 남해에서 수온이 올라가면 대규모 적조현상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를 이용하면 해조류나 녹조류를 배양하면서 수억 톤 규모의 해양발효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여기서 수소가스나 비타민, 항생제 같은 의약품의 원료를 생산할 수도 있다.

이런 융합기술은 산업현장에서도 이미 활용되고 있다. 섬유나 종이, 도료 등에 쓰이는 ‘아크릴아마이드’란 물질은 과거엔 주로 석유를 원료로 만들었다. 그러나 요즘은 이 같은 화학공법에서 바이오공법으로 생산방법이 바뀌고 있다. 이미 이웃 일본에서도 바이오공법 중 하나인 효소공법만을 이용하여 아크릴아마이드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여기서 말하는 효소공법이란 미생물이 갖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아크릴아마이드를 만드는 기술이다.

이렇듯 바이오기술로 석유 화학제품을 대체 생산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는데 이는 석유 화학제품의 원료인 석유가 고갈된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천연석유가 아닌 원료를 활용하여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은 비산유국가인 우리가 꼭 가야할 방향이기도 하다. 실제로 바닷물 속에서 건진 녹조류 등을 이용해 종이를 만들거나, 혹은 바이오에탄올 등을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반드시 고민해야 하는 전통과학 기술이 있다. 김치나 요구르트를 만드는데 쓰이는 발효기술이다. 발효기술이란 미생물이 유기물(탄소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완전히 분해시키지 못하고 다른 종류의 유기물(바이오매스)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말한다.

효모를 통해 탄수화물에서 에탄올을 만들어 내는 것을 그 예라 할 수 있으며, 사람들은 먼 옛날부터 이 원리를 이용해 막걸리나 맥주를 만들어 왔다. 과거에는 에탄올이 석유화학제품이었는데, 발효기술을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전에는 에탄올을 얻으려면 석유를 정제, 가공해야 했기 때문이다.


<다양한 유기물질을 발효시켜 에탄올을 얻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사진은 우뭇가사리로 만든 바이오에탄올. 사진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생물을 이용해 탄수화물로 알코올을 만드는 발효과정은 화학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알코올을 조금 더 가공하면 에틸렌가스, 벤젠 등 다양한 산업소재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이 1970년대 말부터 제안된 이 대체기술은 최근 유전공학과 결합돼 이제 알코올보다 훨씬 부가가치가 높은 생산물까지 만들어낼 수 있는 단계까지 와 있다.

이미 세계 화학 산업계는 화학제품의 원료를 석유 대신 바이오매스로 생산하기 위해 발효기술을 포함한 바이오산업과 융합하려는 시도를 시작했다. 더 나아가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미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해독하고, 특정 산업소재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극한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의 몸속에 있는 독특한 효소를 활용해 새로운 식품소재나 의약품을 효소공학 기술로 생산하고 있다.

융합기술이 과학기술계의 새로운 흐름으로 떠오르고 있다. 새로운 융복합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지만 아이디어만 있다면 과학기술 간의 융합이 그렇게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필요한 것은 용기와 자신감이다. 우리만이 시도해볼 수 있는 새로운 산업형태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고민할 때다. 이런 것이 진정한 녹색성장이 아닐까?

글: 이대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KISTI NDSL(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지식링크


○관련 논문 정보
바이오에탄올 연료개발의 국제적 동향 [바로가기]
원자력발전소의 건설과 가동이 저서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 [바로가기]

○관련 연구보고서
동,서,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 태안바다목장 [바로가기]

○해외 동향분석 자료
스웨덴 원자력정책, 노후화된 원자로 교체 및 폐열 활용 필요성 보고 [바로가기]


평가하기
얼라이브
  • 평점   별 5점

MBFS(Mocrobes based Fertilizer System)에 대하여 국내 관학산업계 이해를 구하기 어려웠었는데, 혹 자문을 청해도 될까요? Cutting-edge Life Sciences(생명과학) 기반의 기술로서 종래의 강제투여방식의 비료(Fertlizer)를 신개념의 Fertilizer System(비료시스템)으로 Smart Release Mechanism에 의거 필요한 양분을 알맞게 생성, 밸런스 있게 공급하는 혁신기술을, 우리나라에서도 선도기술 검증능력을 보유하신 과학자로부터 공인을 받고 싶습니다. Global Tech. Report에 다각도의 Field Trial Data를 보유하고도 우리 관/학/산업계에서 경시되는 현실이 안타까와 사려깊은 검토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09-07-17

답글 0

man
  • 평점   별 5점

good

2009-07-03

답글 0

박현윤
  • 평점   별 5점

감사합니다.

2009-07-02

답글 0

이충희
  • 평점   별 4점

미생물로 만든 석유가 얼마나 경제성이 있는지가 관건이네요....과학도 돈에 좌우되는게 많은 듯 합니다.

2009-06-30

답글 0

최진만
  • 평점   별 5점

좋은 내용에 원문 참고문헌까징... 고맙습니다. ^^

2009-06-30

답글 0

아그노
  • 평점   별 5점

와~우.. 잘 보았습니다..

2009-06-29

답글 0

이우진
  • 평점   별 5점

해양 식물을 가공해서 에탄올을 만드는 방법이 빨리 실천단계로 넘어 갔으면 합니다. 누가 안한다면 제가 할겁니다.

2009-06-29

답글 0

KISTI
  • 평점   별 4점

안녕하세요. KISTI의 과학향기 담당자 입니다.
질문해 주신 내용을 과학자 및 과학전문기자 분들께 문의해 두었습니다. 답변이 도착하는대로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06-29

답글 0

서미애
  • 평점   별 5점

며칠전 TV의 한 프로그램인(한국인)에서 대체 에너지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해서 얘기하던데...대체 에너지를 생산하려면 그만큼의 면적이 필요하고 또한 그 부산물 역시 또 하나의 오염원이 될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잘 모르겟지만 아무튼 유한한 자원의 활용법에 대하여 끊임없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지요...과학이여 영원하라~

2009-06-29

답글 0

이미란
  • 평점   별 5점

융합의 원리를 이용하여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면 정말 좋을것 같네요.

2009-06-29

답글 0

어머
  • 평점   별 5점

이상한 링크가 생겼다... @_@; 도움이 되네요~~ @_@

2009-06-29

답글 0

조조
  • 평점   별 5점

융합, 에너지대체, 두 용어는 21세기에 넘어서야 할 중요한 단어이자 과업, 생존전략이라 생각됩니다. 노력, 고생하는 분들께 감사를,,,,,,,

2009-06-29

답글 0

전승민
  • 평점   별 4점

안녕하세요. 동아사이언스의 전승민 기자입니다.

질문하신 요지를 살펴보았는데, 바이오메스를 이용해 바이오에탄올 등 자원을 만들어내는 것이 과연 환경에 도움이 되는가? 라고 질문하신 것으로 이해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인류가 이런 부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세계적인 과학잡지, 사이언스 5월호에 재미있는 기사가 실렸더군요. 바이오매스가 과연 효율적인가? 하는 질문이었는데, 농작물을 생산해 바이오 에탄올을 만들 경우의 효율은 10%, 이 농작물을 그대로 불에태워 화력발전을 할 경우 얻는 효율이 20~25%로 나왔습니다. 바이오메스 기술이 큰 효과가 없다는 뜻이지요.

하지만 꼭 그렇게 나눌 문제는 아닙니다. 과학자들마다 굉장히 많은 연구결과를 내 놓고 있고, 판단도 사람마다 다릅니다.

이번 사이언스기사도 효율 분석일 뿐으로, 화력발전 등을 하면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발생문제 등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아요.

이번 과학향기의 글도 바이오매스와 융복합기술을 이용해 자원을 확보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서 쓰신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정리드리면,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것은 분명 부족한 자원을 보충할 만한 한가지 방법이 될 것이고,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서는, 석유화학제품을 쓰지 않으니 어쨌든 환경에 더 좋을 것이라는 주장과 실상을 들여다 보면 결국 비슷하다는 의견 사이에서, 아직까지 과학계에서도 결론을 내리고 있지 못합니다.

2009-06-29

답글 0

윤승환
  • 평점   별 5점

아주 좋은 지식 감사드립니다. 잘 읽어 보고 있습니다...!^^;

2009-06-29

답글 0

이태욱
  • 평점   별 5점

글을 읽는 도중에 보니 원자력발전소에 대하여 나오네요...진작에 쫌 하지...처음에 발전소 지을 때는 혐오시설이니,환경파괴니,바다의 자원고갈이니,어민들 보상문제니,기타등등 여러가지로 골머리를 앓더니만 결국은 자원을 낭비한 셈이네요.

2009-06-29

답글 0

윤지수
  • 평점   별 4점

요즘 관심있어하는 주제인데 너무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석유화학제품 자체 때문에도 환경오염이 되는건가요? 석유화학을 바이오 매스로 대체한다해도 만들어진 물건은 동일한 화학재료를 쓰는거잖아요?? 음... 그러니깐 다시 질문하면 석유를 정제해서 화학제품을 만드는 과정이 환경오염의 원인인건가요 아니면 만드는과정뿐만아니라 물건(화학제품) 자체로도 오염의 원인이 되는건가요??그리고 또 궁금한게 있는데요. 바이오에탄올이요. 석유를 대체하기는 하지만, 그게 환경오염이 덜 된다는건 확실한건가요? 지금 휘발유를 사용했을때 나오는 공해물질이나, 바이오 에탄올을 사용했을때 나오는 공해물질이 다르지 않을 것 같아서요.. 차이점이 확실히 있는건가요? 아님 없는데 석유는 이제 고갈되어 가니깐 말그대로 대체를 위해서 만드는건가요?

2009-06-29

답글 0

권순직
  • 평점   별 5점

흥미로운 이야기 네요. 융합을 통해 과거에 특정자원을 이용한 방법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만들어 낼 수 있군요.

2009-06-29

답글 0

권정효
  • 평점   별 5점

귀한 資料 주어서 고맙읍니다. 특히 發酵기술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우리나라가 앞서 있는 기술인데... 貴 연구원의 꾸주한 연구결과로 이를 상품화하여 內需는 물론 세계시장을 席卷할 수 있기를 懇切히 바랍니다. ㅡ沙

2009-06-29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