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벼락맞은 대추나무가 단단하다구?
<KISTI의 과학향기> 제201호 2004년 10월 22일
어르신 선물로 도장을 해드리려고 도장집에 간 K씨는 도장 가격을 듣고 깜짝 놀랐다. 수십 만원에 이르는 고가 도장이 즐비했던 것. 선물용이라도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도장집 주인은 벼락맞은 대추나무로 만든 진품 도장이라 비싸다며, 이 도장은 악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을 뿐 아니라 나무로 만들었지만, 물에 가라앉는다고 주장했다.나무로 만든 도장이 물에 가라앉을 수 있을까? 대추나무는 다른 나무들과 마찬가지로 물에 뜬다. 하지만 진짜 벼락맞은 대추나무라면 물에 가라앉는 것이 사실이다. 벼락맞은 대추나무(벽조목)는 단단하기가 돌보다 더해 도끼나 톱으로도 쉽게 쪼개거나 자를 수 없다. 벽조목을 지니고 있으면 악귀를 쫓아준다는 전통적인 믿음 때문에 도장 재료로 인기가 있으나, 그 이면에는 단단하기 때문에 한번 파놓은 글자가 마모되지 않아 오랫동안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특성이 있다.
나무가 벼락을 맞을 확률은 생각보다 낮다. 나무 중에도 벼락은 어린 나무보다 대개 키가 큰 나무에 떨어진다. 일부에서는 오래된 나무에는 어린나무보다 철분성분이 많아 벼락을 맞을 확률이 높다라고 말하지만 이는 정확한 말이 아니다. 벼락은 공중의 ‘전자’와 지표면의 ‘양전하’가 서로 접촉했을 때 발생하게 된다. 벼락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공중의 전하를 끌어 당기는 지상의 ‘양전하’는 보통 뾰족하게 올라와 있고 주위보다 높은 곳으로 모이는데, 이 때문에 벼락은 높이 서있는 나무나, 철탑, 피뢰침 등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벼락이 한번 칠 때의 전기량은 보통 전압 10억V(볼트), 전류는 수만A(암페어)에 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5천A의 비교적 약한 벼락의 경우 1백W(와트)의 전구 7천 개를 8시간 켤 수 있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만약 나무에 이런 벼락이 떨어지게 되면 나무는 폭발하듯 갈라지고 불타게 되는데 이는 수 억 볼트의 전류가 나무 속 수맥을 따라 흐르면서 나무가 가진 전기 저항으로 인해 엄청난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짧은 순간 수 천 도까지 올라가는 열기로 인해 나무가 가지고 있던 수분은 순식간에 증발되며 수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나무는 속까지 검게 타며 아주 단단하게 변하게 된다.
나무를 태워 만든 숯을 살펴보면 벼락맞은 나무와 유사한 특성을 볼 수 있다. 숯의 구성 성분은 탄소가 85%, 수분이 10%, 미네랄 4% 등으로 거의 대부분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견고하다. 다이아몬드처럼 단단한 금강석도 탄소의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 제대로 만든 숯은 이러한 특성 때문에 웬만한 톱으로는 잘리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다. 벼락맞은 나무도 엄밀한 의미에서는 ‘불탄 나무’이기 때문에 숯과 유사하게 강화된 성질을 지니게 된다.
대추나무는 본래도 생명력이 강해 고목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나무에 비해 밀도가 높은 단단한 나무인데, 벼락을 맞으면 더욱 단단해져 아무리 작은 조각이라도 물에 가라앉는 특성을 띄게 된다.
현대에 이르러 피뢰침이 많아져 나무가 벼락을 맞은 확률이 더욱 낮아졌기 때문에 시중에서 진품 벽조목을 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높은 가격의 벽조목 도장을 구입하려고 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최근에는 일반 대추나무를 고압으로 가공해 벼락맞은 대추나무처럼 견고하게 만든 인조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추나무는 원래 재질이 단단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굳이 벼락을 맞지 않았더라도 도장으로 쓰기 적합한 재료이다.(글:과학향기 편집부)
나무가 벼락을 맞을 확률은 생각보다 낮다. 나무 중에도 벼락은 어린 나무보다 대개 키가 큰 나무에 떨어진다. 일부에서는 오래된 나무에는 어린나무보다 철분성분이 많아 벼락을 맞을 확률이 높다라고 말하지만 이는 정확한 말이 아니다. 벼락은 공중의 ‘전자’와 지표면의 ‘양전하’가 서로 접촉했을 때 발생하게 된다. 벼락이 일어날 수 있도록 공중의 전하를 끌어 당기는 지상의 ‘양전하’는 보통 뾰족하게 올라와 있고 주위보다 높은 곳으로 모이는데, 이 때문에 벼락은 높이 서있는 나무나, 철탑, 피뢰침 등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벼락이 한번 칠 때의 전기량은 보통 전압 10억V(볼트), 전류는 수만A(암페어)에 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5천A의 비교적 약한 벼락의 경우 1백W(와트)의 전구 7천 개를 8시간 켤 수 있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만약 나무에 이런 벼락이 떨어지게 되면 나무는 폭발하듯 갈라지고 불타게 되는데 이는 수 억 볼트의 전류가 나무 속 수맥을 따라 흐르면서 나무가 가진 전기 저항으로 인해 엄청난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짧은 순간 수 천 도까지 올라가는 열기로 인해 나무가 가지고 있던 수분은 순식간에 증발되며 수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나무는 속까지 검게 타며 아주 단단하게 변하게 된다.
나무를 태워 만든 숯을 살펴보면 벼락맞은 나무와 유사한 특성을 볼 수 있다. 숯의 구성 성분은 탄소가 85%, 수분이 10%, 미네랄 4% 등으로 거의 대부분이 탄소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견고하다. 다이아몬드처럼 단단한 금강석도 탄소의 결합으로 이뤄져 있다. 제대로 만든 숯은 이러한 특성 때문에 웬만한 톱으로는 잘리지 않을 정도로 단단하다. 벼락맞은 나무도 엄밀한 의미에서는 ‘불탄 나무’이기 때문에 숯과 유사하게 강화된 성질을 지니게 된다.
대추나무는 본래도 생명력이 강해 고목으로 성장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나무에 비해 밀도가 높은 단단한 나무인데, 벼락을 맞으면 더욱 단단해져 아무리 작은 조각이라도 물에 가라앉는 특성을 띄게 된다.
현대에 이르러 피뢰침이 많아져 나무가 벼락을 맞은 확률이 더욱 낮아졌기 때문에 시중에서 진품 벽조목을 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높은 가격의 벽조목 도장을 구입하려고 할 때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최근에는 일반 대추나무를 고압으로 가공해 벼락맞은 대추나무처럼 견고하게 만든 인조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추나무는 원래 재질이 단단하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굳이 벼락을 맞지 않았더라도 도장으로 쓰기 적합한 재료이다.(글:과학향기 편집부)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저주파 자극기, 계속 써도 괜찮을까?
- 최근 목이나 어깨, 허리 등에 부착해 사용하는 저주파 자극기가 인기다. 물리치료실이 아니라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으로 반나절 넘게 작동한다.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다. SNS를 타고 효과가 좋다는 입소문을 퍼지면서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
-
- [과학향기 Story] 어디서든 인터넷을 쓸 수 있다…스타링크, 한국 통신 시장 뒤엎나
- 전 지구를 초고속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드디어 국내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타링크 서비스의 국경 간 공급 협정 승인을 위한 ‘주파수 이용 조건’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타링크의 모회사인 스페이스X와 순조롭게 협의가 이뤄지면 다가오는 3월에 국내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 과연 스타링크는 국...
-
- 우리 얼굴에 벌레가 산다? 모낭충의 비밀스러운 삶
- 썩 유쾌한 얘기는 아니지만, 우리 피부에는 세균 같은 각종 미생물 외에도 작은 진드기가 살고 있다. 바로 모낭충이다. 모낭충은 인간의 피부에 살면서 번식하고, 세대를 이어 간다. 태어난 지 며칠 되지 않은 신생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사람의 피부에 모낭충이 산다. 인간의 피부에 사는 모낭충은 크게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주로 얼굴의 모낭에 사는...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Story] 차 한 잔에 중금속이 줄었다? 찻잎의 숨겨진 능력!
- [과학향기 Story] 우주를 102가지 색으로 그려낼 스피어엑스
- [과학향기 Story] 기후변화가 불러온 역대급 LA 산불… 한국도 위험하다?
- [과학향기 Story] 인공지능이 맛보는 위스키의 미래
- [과학향기 Story] 동물도 술을 즐겨 마신다?
- [과학향기 Story] 인류의 탄수화물 사랑, 80만 년 전부터 시작됐다?
- [과학향기 for Kids] 거제에서 첫 발견된 스테고사우루스류 발자국!
- [과학향기 for Kids] 지구에도 아름다운 고리가 있었다?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과학향기 for Kids] 달 크레이터에 조선 천문학자 이름이? 우주에 새겨진 한국 이름들
저도 벽조목으로 만든 도장을 갖고 있는데, 벼락을 맞으면 대개의 나무가 숯처럼 되는 군요. 밀도가 높은 대추나무는 더욱 단단해져서 물에 가라앉을 정도가 되는 군요. 오래쓸수 있으니 벽조목으로 도장을 파는 것이 좋은 것이겠죠.
2009-04-16
답글 0
그렇군요 ^^ 저도 시중에서 벼락맞은 대추나무도장을 파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벽조목은 원래 단단한 대추나가 벼락을 맞고 수분이 빠져나가 숯과 같은 상태가 되어 단단하다는사실 잘 알고 갑니다.
2009-04-14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