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사건 해결의 단서, 구더기

<KISTI의 과학향기> 제815호   2008년 09월 24일
서울 인근의 야산에서 꽤 오래된 것 같은 시신이 발견되었다. 그 산속까지 어떻게 알고 왔는지 구더기들이 코와 입 등에 들끓고 있었다. 시신은 부패가 많이 진행되어 육안으로는 누구인지 전혀 구별할 수 없었다. 그의 옷과 소지품 등에서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단서를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증거를 찾지 못했다. 신원을 알 수 없어 더 이상 수사가 진행될 수 없었고, 미궁에 빠진 수사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갈피를 못 잡는 상황이었다.

신원 확인이 안 되는 시신의 경우는 시신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인 성별, 연령 등을 확인하는 검사를 한다. 치아의 마모정도로 연령을 측정함으로써 변사자의 대략의 나이를 알 수 있으며, 두개골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판단으로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알 수 있어 수사 범위를 좁힐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추정되는 사람이 나타나서 그들과 비교가 되어야지만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체가 발견된 수사에 있어서 시신의 신원 확인이 불가능하면 일단 시신이 언제 그곳에 유기되었는가를 파악해야 한다. 그곳에 유기된 날짜를 역 추적하여 그때에 실종된 사람을 중심으로 수사를 하게 되면 변사자의 신원 확인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유기된 날짜를 역 추적하는 것은 수사가 진행되면서 용의자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시신이 유기된 시간을 중심으로 용의자들의 행적을 정밀하게 검사함으로써 범행을 밝힐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실마리가 된 것은 바로 구더기였다. 구더기하면 우리의 머릿속에서는 ‘더럽다, 징그럽다’라는 단어가 연상되는데, 과연 이것이 어떻게 사건을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을까? 구더기들의 생활사 중 어느 단계인가를 관찰하면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발견 당시까지 성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거꾸로 시간을 역산하면 거의 정확한 사망 시점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사망하게 되면 파리가 시신의 코, 입 등 서식에 알맞은 곳에 알 또는 유충(쉬파리는 구더기를 낳는다)을 낳는다. 이들 유충은 성장을 거쳐 번데기로 되고 성충인 파리로 된다. 이때 유충(구더기)이 단계별 (1령, 2령, 3령 및 번데기)로 성장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유충은 온도, 습도 등 외부적인 요인에 따라 성장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에 따른 성장 속도 등을 연구하여 이를 반영한 후 사후경과시간을 계산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사계절이 뚜렷하기 때문에 더욱 그의 계산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시신이 유기된 지 오래된 경우도 어떤 종류의 곤충이 공격을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여 부패 과정에서 관여하는 지표 종들과 비교함으로써 사후 경과시간을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시체를 공격하는 생물 중 약 85%는 곤충이다. 시신의 부패가 진행되면서 곤충들은 그들의 생활 습성과 주요 먹이습성에 따라 시간을 두고 모여든다. 가장 먼저 시체에 접근하는 곤충은 검정 파리, 쉬파리와 같은 파리들이다. 이들은 몇 분 안에 시신에 도착하여 부패가 진행된 후 2주까지 시신에 머물기 때문에 초기의 사후 경과시간의 지표로 비교적 정확하다. 그 후 송장벌레와 같은 딱정벌레가 파리의 알과 구더기를 먹기 위해 몰려들고, 그다음으로 개미나 말벌 같은 잡식성 곤충들이 달려든다.

이렇듯 범죄와 관련된 여러 가지의 정보 및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시신의 주변에서 관찰되는 여러 곤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가 법곤충학이다. 법곤충학을 이용한 사건의 해결은 18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때 처음으로 사건에 적용된 이후 1960년대 들어서는 동물의 사체를 대상으로 한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체의 부패가 진행되는 단계에 따라 이에 관여하는 곤충 등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법곤충학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과학수사의 영역은 제한이 없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의 모든 곳에서 범죄는 일어나게 마련이고 이러한 모든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과학수사다. 이런 의미에서 과학수사는 모든 학문적 영역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흉악 범죄의 경우 모든 과학적 지식을 동원해서라도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법곤충학도 매우 중요한 분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 추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면 사건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과학 수사에서는 구더기 같은 작은 생물마저도 사건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단서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많은 과학수사 관련자들의 이러한 노력이 있는 한, 모든 범죄는 반드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범죄 수법이 변화하는 것만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도 진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 : 박기원 박사(국립과학수사연구소 유전자분석과 실장)
평가하기
이미란
  • 평점   별 5점

언젠가 텔레비젼에서 보니 외국의 경우는 시체를 기증받아 땅에 묻고 땅의 온도나 습도에 따라 시체가 부패하는 정도나 상태등을 관찰하면서 범죄나 법의학에 이용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해부용으로도 기증을 꺼려하는데 말입니다. 구더기가 사건해결의 실마리가 된다고 하니 지저분하게만 보이던 구더기를 다시 보게 되네요. 요즘은 의료용으로도 사용한다죠 ^^

2009-04-13

답글 0

권순직
  • 평점   별 5점

경찰시험 준비할 때 많이 공부했던 내용이에요. 다시 읽어보니 기억이 나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09-04-06

답글 0

김재균
  • 평점   별 5점

여기서 뵙네요/많이 들어보았다했는데 여하튼 반갑네요

2008-11-06

답글 0

제비
  • 평점   별 5점

마음에 드는 정보네요.

2008-10-15

답글 0

이지헌
  • 평점   별 5점

화이팅! 우리의 과학 수사

2008-10-09

답글 0

이현경
  • 평점   별 5점

최고인데요 이번 지식은!!

2008-09-27

답글 0

최근욱
  • 평점   별 5점

오 굳,이네

2008-09-27

답글 0

지킴이
  • 평점   별 4점

몰랐던 사실을 알았습니다.

2008-09-25

답글 0

홍호준
  • 평점   별 5점

그리섬을 불러 ~

2008-09-24

답글 0

작은곰
  • 평점   별 5점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본 시체농장이 생각나네요~ 암튼.. 구더기의 성장을 역추정할수있다는 것이 놀라워요. 두개골에 대한 법의인류학적으로 남녀를 구분할 수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08-09-24

답글 0

의돌이
  • 평점   별 4점

미국에 시체공원이 있는데 사체가 자연상태에서 어떵게 부패과정을 거치는지를 연구하기위함이더군요. 공원에 버려지듯이

2008-09-24

답글 0

어깨넘
  • 평점   별 5점

창과 방패군요!!!

2008-09-24

답글 0

김옥주
  • 평점   별 5점

참으로 신기한 과학의 신비를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하루를 시작하기전 과학의 향기를 읽어야 마음이 후련하거든요 잘 보고 갑니다

2008-09-24

답글 0

공돌이
  • 평점   별 5점

책 개미에서는 파리를 이용하여 사망시간을 추적하던데.. 구더기까지 생길 경우는 상당한 부폐가 진행된경우겠죠;;

2008-09-24

답글 0

겨울아찌
  • 평점   별 3점

사건을 예화로 들었으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알려주셔야 할듯...

2008-09-24

답글 0

sodum1
  • 평점   별 5점

완전범죄는 과학으로 부터 출발한다

2008-09-24

답글 0

아그노
  • 평점   별 5점

늘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2008-09-24

답글 0

csi
  • 평점   별 5점

csi랑 개미 생각했는데, 저만 그런건 아니네요. 상세한 설명으로 좀더 자세히 알게됐어요:) 언제나 좋은 지식 감사요:D

2008-09-24

답글 0

imjk
  • 평점   별 5점

파리는 인간의 가장 가까운 친구. 달라붙는다고 너무 귀찮게 여기지 마시기를. 지구상에서 파리 만큼 인간과 가까운 곤충은 없지요. 인간의 모든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인간의 배설물을 제일 좋아하고, 인간이 먹는 음식물에도 달라붙고, 인간의 냄새가 나는 곳이면 어디든 달라붙지요.그 결과 억울하게 비명횡사를 했을때 범인을 잡아주기도 하는군요. 사람이 죽어서 버려졌을 때 제일 먼저 찾아오는 것이 파리겠죠. 인간의 몸이 파리의 밥이 되는 것이 보기에는 흉측할지 모르나 구더기들이 깨끝이 시체를 청소해주고 육신은 수많은 파리로 다시 탄생하는 거죠. 사람목숨 파리 목숨이라는 말도 다시 음미해야 할 것 같네요.

2008-09-24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