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우린 억울해! 새 대가리의 역습

<KISTI의 과학향기> 제2225호   2014년 09월 29일
새 대가리, 닭 대가리는 기분이 몹시 나빠지는 말이다. 깜빡깜빡 잘 잊는 사람은 ‘까마귀 고기를 먹었냐’고 놀리기도 한다. 새의 지능에 대한 평가는 개그 프로그램을 봐도 알 수 있다. 주말 개그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에는 ‘닭치고’라는 코너가 있다. 약속을 지키는 교장 ‘꼭이오’, 닭치고에서 가장 똑똑한 선생님 ‘똑닭’과 같은 다양한 닭 캐릭터들이 무엇을 하든 금세 잊어버리고 재미있는 상황을 만든다. 닭이 머리가 나쁘다는 것을 개그로 만든 것이다. 하지만 닭들이 이 코너를 보면 아마 ‘우린 억울하다’라고 화를 낼 것이다.

■ 치느님은 똑똑하다

닭이 똑똑하다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지난 2011년 병아리들이 고통을 받으면 이를 인식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왕립자연과학학회지’에 발표됐다. 병아리들에 강한 바람을 쏴 깃털이 구겨지자 엄마 닭의 심장 박동이 높아지는 등 스트레스 반응을 보였다. 닭도 공감할 수 있다는 얘기다.

2014년 2월, 미국의 유명 과학 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는 ‘똑똑한 새’라는 글이 실렸다. 똑똑한 새는 다름 아닌 닭. 닭의 울음소리는 2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울음소리로 서로 소통할 수 있다고 한다. 재미있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반응도 다르다는 것. 닭을 잡아먹는 포식자를 발견한 수탉은 경고음을 낸다. 하지만 주변에 수탉만 있을 경우는 경고음을 내지 않았다. 다른 수탉, 즉 라이벌이 잡아먹히면 오히려 이득이기 때문이다.

■ 챔팬지보다 똑똑한 까마귀

똑똑한 동물의 대명사 침팬지보다 더 똑똑한 새도 있다. 바로 까마귀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알렉스 카셀니크 연구팀이 뉴칼레도니아 까마귀에게 문제를 냈다. 긴 시험관에 아주 작은 양동이를 넣고 그 안에 먹이를 놓은 뒤, 그 옆에는 갈고리 모양의 막대기를 두어서 갈고리로 양동이를 끌어올려 먹이를 먹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한 것이다. 원래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들은 나무속에 숨어 있는 애벌레를 꺼내 먹기 위해 막대기를 사용한다. 까마귀는 문제없이 시험관에 갈고리를 넣어 양동이를 꺼낸 뒤 먹이를 먹었다.

놀라운 일은 다음에 벌어졌다. 똑같은 상황에서 펴진 철사를 주고 까마귀의 반응을 본 것이다. 뉴칼레도니아 까마귀는 부리로 철사를 구부려 갈고리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리고는 양동이의 먹이를 꺼내 먹었다. 과학자들은 야생동물 중 가장 똑똑하다는 침팬지도 인공 재료로 갈고리를 만들 수는 없다며 몹시 놀라워했다.

■ 미끼로 낚시를 하는 해오라기

새들의 지능에 놀랐는가? 더 놀라운 사실이 있다. 새가 낚시를 한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일본의 해오라기는 빵이나 과자로 물고기를 낚는다. 공원의 연못에 사는 잉어들은 사람이 과자나 빵을 던지면 수면 위로 올라온다. 해오라기는 이 모습을 보고 빵 조각을 물어다 수면 위에 떨어뜨린 후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빵이 없으면 작은 곤충을 이용하기도 한다.

똥을 미끼로 사용하는 새도 있다. 굴파기올빼미는 이름처럼 땅에 굴을 파서 둥지로 사용하는데, 둥지에 말과 개,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의 똥을 수집한다. 이 똥이 쇠똥구리와 같이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유인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똥이 놓인 땅굴에 사는 굴파기올빼미는 똥이 없을 때보다 쇠똥구리와 같이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10배나 더 많이 잡아먹을 수 있다.

■ 새가 숫자를 세고, 단어를 안다고?!

새가 숫자를 셀 수 있고, 단어의 의미도 안다면? 새들에 대한 평가를 정말 다시 해야 하지 않을까? 비둘기가 숫자를 셀 수 있고, 숫자의 크기도 비교할 수 있다는 놀라운 연구가 있다.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교 심리학과 연구팀이 1~3개의 도형이 그려진 카드를 보여주고 도형이 그려진 개수대로 카드를 정렬하도록 교육했다. 그 결과 비둘기는 교육받았던 1~3개는 물론 4~9까지도 구분하고 이를 정렬할 수 있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천재 회색앵무새 알렉스는 미국 브랜다이스 대학교 페퍼버그 교수에게 30년 동안 말을 배웠다. 그 결과 알렉스는 150여 개 영어 단어의 의미와 색깔, 모양, 개수를 이해했다. 파란 열쇠 두 개와 빨간 열쇠 두 개를 보여 주고 파란 열쇠가 몇 개인지 물으면 ‘두 개’, 둘 사이에 다른 점이 무엇인지 물으면 ‘색깔’이라고 대답할 정도였다.

놀라운 새들의 지능, 이젠 새대가리, 닭대가리라는 말을 들으면 칭찬으로 여겨야 하는 건 아닐까?

글 : 현수랑 과학칼럼니스트
평가하기
칙힌
  • 평점   별 3점

조류의 인지능이 비약적으로 발달해서 인류의 인지능 수준까지 따라잡는다고 해도.. 아마 그 시점에서의 인류는 더 멀리 가 있을거야.. 라고 말하고 싶다.

2019-09-18

답글 0

김영식
  • 평점   별 5점

믿어지지 않는기사네요 닭이 머리가 좋다고???

2014-10-08

답글 0

고영완
  • 평점   별 5점

알찬 정보 잘 읽었습니다. 공룡이 새로 진화했다는 최근 과학 연구 결과를 보았는데, 그런 진화 유전자가 몸 속에 있어서 더 똑똑한 것 아닐까요?

2014-10-01

답글 0

이태욱
  • 평점   별 5점

....그래도 여전히 새대가리 아닌가?

2014-09-30

답글 1

신덕희
  • 평점   별 5점

회색앵무도 종류가 다르며, 많은 언어를 구사 하는 새도 있습니다.
또한 검은머리카이큐 종류는 습득된 행동은 어느새와 비교하지 못합니다.

2014-09-30

답글 0

주상일
  • 평점   별 5점

새들이 머리가 나쁘나는 편견을 깨는 그런 조사내용이군요... 무엇보다 까마귀~~ 까마귀가 머리가 좋은 새중 상위권에 속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도구를 이용하는 차원을 넘어 응용(?)까지 하는 정도의 뛰어난 머리를 가진줄은 이 글을 통해 처음 알았습니다. 잘 봤습니다.

2014-09-29

답글 0

조재민
  • 평점   별 5점

신기하고 재미있어요! ^.^

2014-09-29

답글 0

김옥주
  • 평점   별 5점

나는 과학의 향기를 읽으면 마음이 상쾌합니다 오늘도 모르는 지식 하나를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9-29

답글 0

윤승환
  • 평점   별 5점

잘 보았습니다. 생각보다는 조류도 똑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도니 기쁘고 신기하네요...!

2014-09-29

답글 0

김지영
  • 평점   별 5점

와~ 정말 놀랍네요.. 새들이 이렇게 똑똑하다니..

2014-09-29

답글 0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 구독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