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KISTI의 과학향기> 제30호 2003년 09월 19일
◈ 지퍼에 옷이 끼었을 때 쉽게 빼는 법
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더가 들리면서 천이 쉽게 빠진다. 지퍼의 슬라이더는 대부분 윗부분에만 붙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없는 아랫부분에 드라이버를 꽂음으로써 슬라이더와 옷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힘을 주어 비틀면 지퍼가 고장날 수 있으니 적당한 힘 조절이 필요하다.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집에 있는 냉장고에서 물을 얼리면 투명하지 않은 희뿌연 얼음이 만들어 진다. 반면, 시장에서 파는 큰 얼음은 투명하고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유가 뭘까? 얼음 속에는 공기의 작은 구멍이 수없이 갇혀 있는데,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 속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수돗물 속에는 공기가 녹아 있어, 얼리면 공기가 갇힌 채 얼음이 만들어 진다. 그래서 얼음이 투명하지 못한 것. 하지만 얼음 제조 회사에서는 물을 휘저어 물 속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천천히 얼게 하므로 속까지 환히 보이는 맑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파는 얼음도 중심부에는 거품이 생겨 약간 흰빛을 띤다.
이불커버나 바지의 지퍼에 천이 끼어 고생해 본 분들이 가끔 있을 것이다. 대개 지퍼는 한번 물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고 같은 자리에서 반복해서 물리게 된다. 이 때 간단한 일자 드라이버를 준비하여, 지퍼와 끼인 천 사이에 넣고 헝겊을 잡아 당긴다. 포인트는 드리이버를 약간 비틀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지퍼의 슬라이더가 들리면서 천이 쉽게 빠진다. 지퍼의 슬라이더는 대부분 윗부분에만 붙어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없는 아랫부분에 드라이버를 꽂음으로써 슬라이더와 옷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너무 힘을 주어 비틀면 지퍼가 고장날 수 있으니 적당한 힘 조절이 필요하다.
◈ 왜 우리집 얼음은 투명하지 않을까?
집에 있는 냉장고에서 물을 얼리면 투명하지 않은 희뿌연 얼음이 만들어 진다. 반면, 시장에서 파는 큰 얼음은 투명하고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유가 뭘까? 얼음 속에는 공기의 작은 구멍이 수없이 갇혀 있는데,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 속 공기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수돗물 속에는 공기가 녹아 있어, 얼리면 공기가 갇힌 채 얼음이 만들어 진다. 그래서 얼음이 투명하지 못한 것. 하지만 얼음 제조 회사에서는 물을 휘저어 물 속의 공기를 내보내면서 천천히 얼게 하므로 속까지 환히 보이는 맑은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파는 얼음도 중심부에는 거품이 생겨 약간 흰빛을 띤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쓸모없다 믿었던 정크 DNA, 노화와 발암의 원인?
- 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김민정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권현우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쓸모없는 DNA를 뜻하는 정크 DNA가 노화와 발암 과정에 연관이 있음을 규명했다. 인간 유전체 중 일반적인 단백질 생성 유전자는 전체 염기서열의 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99%의 유전체 영역은 그 기능이 뚜렷하게 알...
-
- 겨울철 차가운 냉기, 한여름 냉방에 꺼내 쓴다
- 국내 연구팀이 차가운 겨울철 냉기를 땅 속에 저장했다가 한여름에 꺼내 하우스 등의 냉방에 이용하는 새로운 냉방 기술을 개발했다. 한여름 폭염에 달궈진 하우스 온도는 50~70℃에 육박해 농작물의 생육에 치명적이다. 하지만 한여름 불볕더위에는 냉방기기에도 한계가 있고 높은 에너지비용은 농가에 큰 부담이 된다. 특히나 올해는 고유가에 따른 전력 요금의...
-
- 망막의 모든 영역을 2.3초 안에 이미징하는 기술
- 2.3초 안에 망막의 모든 영역을 3차원으로 이미징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KAIST 기계공학과/KI헬스사이언스연구소 오왕열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사람 망막의 넓은 영역에서 초점 위치뿐만이 아니라 초점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세포 수준 고해상도 이미징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망막은 안구의 렌즈를 통해 이미징해야 하기 때문에 안구 렌즈의 ...
아주 좋은 정보입니다.
2021-09-27
답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