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소드
'터미네이터'처럼 액체로 녹았다가 돌아오는 로봇
<KISTI의 과학향기> 제3828호 2023년 02월 06일SF 영화 '터미네이터2'에 등장하는 악역 안드로이드 로봇 'T-1000'은 전신이 액체금속으로 이루어져 다른 인간이나 사물로 모습을 바꾸고, 좁은 틈이나 막힌 공간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홍콩 중문대 연구팀은 이 'T-1000'처럼 액체로 녹았다가 돌아오는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의 이름은 '자기 활성 고체-액체 상전이 기계'다. 연구팀은 해삼에서 로봇 개발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해삼은 콜라겐성 조직으로 이뤄져 있어 주변 상황에 따라 자신의 몸을 단단하게 또는 무르게 만들고 더 나아가 몸집도 팽창, 수축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갈륨 금속과 자성 입자를 9대 1 비율로 혼합한 소재로 로봇에게 해삼과 같은 변신 능력을 구현했다. 갈륨은 녹는 점이 29.8도로 낮은 연질 금속이다.
그 다음 로봇을 창살 안에 가둔 뒤 로봇에 교류 자기장을 쏘였다. 그러자 자기장에 노출된 입자가 가열되면서 갈륨이 녹아내려 고체에서 액체로 변신했다. 연구팀은 이 액체에 다시 자기장을 쏘여 로봇을 창살 밖으로 이동시켰다.
몸체 복원 과정은 영화와 달리 자동으로 이뤄지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이 액체를 거둬 거푸집에 넣은 뒤 냉각시키는 수동 작업을 거쳐야 했다.
연구팀은 아직은 극히 초보적인 개념증명 실험에 성공했을 뿐이지만, 이 기술을 더 발전시킨다면 몸속에 약물을 전달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또 사람의 손이 직접 닿기 어려운 곳에서 부품을 조립하거나 납땜을 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이 로봇이 체온 36가 넘는 사람 몸에서 작동하려면 다른 금속을 추가해 녹는점을 높이고 금속 소재의 독성을 제거하는 등 넘어야 할 벽이 많다고 덧붙였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터(Matter)'에 게재됐다.

추천 콘텐츠
인기 에피소드
-
- 어치의 푸른빛 깃털 모방한 색 구현 기술 나왔다
-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Eurasian jay)는 특이한 광택이 나는 푸른빛 날개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국내 연구진이 어치 깃털이 특이한 색을 내는 비밀을 밝혀 새로운 색 구현 기술을 개발했다. 여종석 연세대 인공지능융합대학 IT융합공학과 교수팀은 14일 어치 깃털의 색 변화 원리를 밝혔다. 또 깃털 내부의 나노구조체의 두께에 따라 구조색이 변하는...
-
- 암세포만 공략하는 스마트 면역세포 시스템
-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수와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스마트 면역세포를 통한 암 치료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가 논리회로를 통해 작동하게 해 암세포만 공략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팀은 수백만개의 세포...
-
- 직접 과일 따고, 운반하는 로봇 개발하다
- 사람의 도움없이 스스로 작물을 수확하고 운반하는 로봇 시스템이 개발됐다. 최근 인력난이 극심해 농사를 짓고도 수확을 못하고 있는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 최태용 AI로봇 연구본부 로봇메카트로닉스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농업 현장에서 작물을 자동으로 수확하고 수확한 작물을 자율주행을 통해 하...
이 주제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