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향기 Story
- 스토리
스토리
2008년 쥐의 해, “부자 되세요~!”
<KISTI의 과학향기> 제701호 2008년 01월 02일
2008년은 무자(戊子)년, 쥐의 해다. 작년 돼지의 해가 복덩이의 출산을 꿈꾸는 ‘출산의 해’라면, 올해 쥐의 해는 ‘다복(多福)의 해’라고 한다.
함경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천지창조’ 신화에는 미륵이 세상을 이룬 뒤, 물과 불을 얻기 위해 생쥐와 담판을 벌이는 대목이 나온다. 이 때 생쥐는 미륵에게 샘물 찾는 법과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그 대가로 미륵에게 “이 세상에 있는 뒤주란 뒤주는 죄다 네가 차지해라”는 약속을 받는다. 뒤주는 바로 쌀독이다. 옛날에는 먹는 게 아주 중요했던 시절이라 쌀독을 차지한다는 말은 곧 가장 큰 재산을 얻는다는 말과 같다. ‘쥐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재물 복을 타고 난다’는 말이 생긴 이유다.
쥐는 남극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지구 전 지역에 살고 있는 설치류로,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설치류는 쥐목 포유류의 총칭이다. 이는 포유류 가운데 가장 큰 목으로 포유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다른 설치류와 달리 쥐는 위아래 앞니에 치근이 없어서 이빨이 계속 자란다. 따라서 이빨을 닳게 하기 위해 전선이나 구조물, 가구 등의 단단한 것을 갉는 습성이 있다.
쥐는 덩치가 작지만 번식력이 왕성하다. 집쥐의 임신기간은 20~21일이고, 출산 뒤 몇 시간만 지나면 금방 발정하여 교미할 수 있다. 보통 1년에 5회 정도 새끼를 낳는데, 한배에 7~10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만일 연간 5회 10마리씩 암수 비율을 똑같이 낳는다고 가정하면 이론적으로 2년 뒤에는 5천만 마리로 불어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야말로 엄청난 번식력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숫자가 많아도 종족끼리는 질서가 분명해 부부침실과 새끼 방, 화장실과 식량창고 등이 따로 구분돼 있을 정도다.
생존력 또한 대단하다. 비록 시각은 약하나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이 발달돼 야행성으로 활동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촉각을 담당하는 긴 수염, 무엇이든 잘 갉아 먹을 수 있는 앞니, 예민한 감각기관으로 환경적응력이 뛰어나다. 행동이 민첩하고 예지력도 뛰어나 사람 이상의 생존 능력을 갖고 있다.
쥐는 해일과 지진, 산사태 등 지각의 변동 상황을 미리 알아차리는 민감한 예지력이 있다. 그래서 지진이나 해일의 조짐이 있으면 쥐가 떼를 지어 피난을 가거나 배 속에 있던 쥐들이 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크게 동요하는 모습을 보인다. 쥐는 1950년 미군의 엔게비섬의 원자폭탄 실험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최근 대만에 지진이 일어날 때도 가장 먼저 민감하게 반응했다. 즉 쥐는 자연재해를 미리 예고해주는 영물이다. 그런 까닭에 바닷가나 섬 지방에서는 쥐의 이동을 보고 풍랑을 미리 점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다. 쥐는 약삭빠르고 잔꾀도 많은 동물이다. 그래서 흔히 눈치 빠르고 약삭빠른 사람을 ‘쥐새끼 같은 녀석’이라고 표현하고, 못난 사람이 잘난 체 할 때에도 ‘쥐뿔나게 잘 났다’고 반어적으로 표현한다. 이롭지 못한 품행과 질병의 매개체로서도 좋지 않은 동물로 각인돼 있다. 농작물을 해치고 곡식을 훔쳐 먹는 해로운 동물에다 식중독, 흑사병, 유행성 출혈열 같은 갖가지 병을 옮긴다고 밝혀져 더 몹쓸 동물로 돼 버린 것 같다.
하지만 쥐가 인간에게 해로움만 가져다 주는 건 아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100위 안의 약품은 모두 쥐 연구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종종 뉴스에 등장하는 ‘슈퍼쥐’도 쥐 연구 과정에서 탄생한다. 최근에 등장한 ‘슈퍼쥐’에는 겁 없는 생쥐, 강철 체력의 생쥐가 있다.
겁 없는 슈퍼쥐는 일본 도쿄대의 사카노 히토시 교수가 만들었다. 뇌 속에 있는 특정 후각세포를 제거하자 쥐는 고양이 앞에서도 떨지 않고 당당히 행동했다. 겁 없는 슈퍼쥐는 동물들이 주로 후각을 통해 공포를 느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강철 체력의 슈퍼쥐는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의 리처드 헨슨 교수팀이 만들었다. 유전자를 조작해 운동할 때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젖산이 줄어들게 했다. 통계적으로 보통 쥐가 19분 정도 달리는 데 비해 슈퍼쥐는 6시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다. 슈퍼쥐는 보통 쥐보다 먹이를 1.6배 많이 먹지만 대사가 활발해 몸매는 날씬하다.
쥐를 이용한 실험과 연구는 결국 인간에게 적용하기 위한 연구다. 2008년은 이런 쥐의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뤄져 무서움을 모르고 막강한 체력까지 지닌 쥐들이 속속 튀어나와 부지런히 뛰어다니는 세상이 될 것 같다. 그 힘을 받아 우리도 강한 체력으로 365일 부지런히 뛰어 ‘부자 되는’ 한 해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글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함경도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천지창조’ 신화에는 미륵이 세상을 이룬 뒤, 물과 불을 얻기 위해 생쥐와 담판을 벌이는 대목이 나온다. 이 때 생쥐는 미륵에게 샘물 찾는 법과 부싯돌로 불을 일으키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그 대가로 미륵에게 “이 세상에 있는 뒤주란 뒤주는 죄다 네가 차지해라”는 약속을 받는다. 뒤주는 바로 쌀독이다. 옛날에는 먹는 게 아주 중요했던 시절이라 쌀독을 차지한다는 말은 곧 가장 큰 재산을 얻는다는 말과 같다. ‘쥐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재물 복을 타고 난다’는 말이 생긴 이유다.
쥐는 남극과 뉴질랜드를 제외한 지구 전 지역에 살고 있는 설치류로,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설치류는 쥐목 포유류의 총칭이다. 이는 포유류 가운데 가장 큰 목으로 포유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다른 설치류와 달리 쥐는 위아래 앞니에 치근이 없어서 이빨이 계속 자란다. 따라서 이빨을 닳게 하기 위해 전선이나 구조물, 가구 등의 단단한 것을 갉는 습성이 있다.
쥐는 덩치가 작지만 번식력이 왕성하다. 집쥐의 임신기간은 20~21일이고, 출산 뒤 몇 시간만 지나면 금방 발정하여 교미할 수 있다. 보통 1년에 5회 정도 새끼를 낳는데, 한배에 7~10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만일 연간 5회 10마리씩 암수 비율을 똑같이 낳는다고 가정하면 이론적으로 2년 뒤에는 5천만 마리로 불어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야말로 엄청난 번식력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숫자가 많아도 종족끼리는 질서가 분명해 부부침실과 새끼 방, 화장실과 식량창고 등이 따로 구분돼 있을 정도다.
생존력 또한 대단하다. 비록 시각은 약하나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이 발달돼 야행성으로 활동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촉각을 담당하는 긴 수염, 무엇이든 잘 갉아 먹을 수 있는 앞니, 예민한 감각기관으로 환경적응력이 뛰어나다. 행동이 민첩하고 예지력도 뛰어나 사람 이상의 생존 능력을 갖고 있다.
쥐는 해일과 지진, 산사태 등 지각의 변동 상황을 미리 알아차리는 민감한 예지력이 있다. 그래서 지진이나 해일의 조짐이 있으면 쥐가 떼를 지어 피난을 가거나 배 속에 있던 쥐들이 배 밖으로 튀어나오는 등 크게 동요하는 모습을 보인다. 쥐는 1950년 미군의 엔게비섬의 원자폭탄 실험에서도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최근 대만에 지진이 일어날 때도 가장 먼저 민감하게 반응했다. 즉 쥐는 자연재해를 미리 예고해주는 영물이다. 그런 까닭에 바닷가나 섬 지방에서는 쥐의 이동을 보고 풍랑을 미리 점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쥐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다. 쥐는 약삭빠르고 잔꾀도 많은 동물이다. 그래서 흔히 눈치 빠르고 약삭빠른 사람을 ‘쥐새끼 같은 녀석’이라고 표현하고, 못난 사람이 잘난 체 할 때에도 ‘쥐뿔나게 잘 났다’고 반어적으로 표현한다. 이롭지 못한 품행과 질병의 매개체로서도 좋지 않은 동물로 각인돼 있다. 농작물을 해치고 곡식을 훔쳐 먹는 해로운 동물에다 식중독, 흑사병, 유행성 출혈열 같은 갖가지 병을 옮긴다고 밝혀져 더 몹쓸 동물로 돼 버린 것 같다.
하지만 쥐가 인간에게 해로움만 가져다 주는 건 아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100위 안의 약품은 모두 쥐 연구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종종 뉴스에 등장하는 ‘슈퍼쥐’도 쥐 연구 과정에서 탄생한다. 최근에 등장한 ‘슈퍼쥐’에는 겁 없는 생쥐, 강철 체력의 생쥐가 있다.
겁 없는 슈퍼쥐는 일본 도쿄대의 사카노 히토시 교수가 만들었다. 뇌 속에 있는 특정 후각세포를 제거하자 쥐는 고양이 앞에서도 떨지 않고 당당히 행동했다. 겁 없는 슈퍼쥐는 동물들이 주로 후각을 통해 공포를 느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강철 체력의 슈퍼쥐는 미국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의 리처드 헨슨 교수팀이 만들었다. 유전자를 조작해 운동할 때 피로감을 느끼게 하는 젖산이 줄어들게 했다. 통계적으로 보통 쥐가 19분 정도 달리는 데 비해 슈퍼쥐는 6시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다. 슈퍼쥐는 보통 쥐보다 먹이를 1.6배 많이 먹지만 대사가 활발해 몸매는 날씬하다.
쥐를 이용한 실험과 연구는 결국 인간에게 적용하기 위한 연구다. 2008년은 이런 쥐의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뤄져 무서움을 모르고 막강한 체력까지 지닌 쥐들이 속속 튀어나와 부지런히 뛰어다니는 세상이 될 것 같다. 그 힘을 받아 우리도 강한 체력으로 365일 부지런히 뛰어 ‘부자 되는’ 한 해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글 : 김형자 과학칼럼니스트)
추천 콘텐츠
인기 스토리
-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이름은 사람과 사물, 개념 등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기호이자, 각각의 정체성을 부여하며 객체와 구별 짓는 상징 체계다. 또한, 이름을 붙이는 행위는 추상적, 무가치적 존재를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들고, 자신의 영역에 포섭하는 고도의 사회적·인지적 행위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김춘수의 시 <꽃>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몇몇 드라마에서는 교통사고로 의식을 잃고 장기간 입원 중인 인물이 등장하곤 한다. 식물인간은 심각한 뇌 손상으로 의식과 운동 기능을 상실했으나 호흡이나 소화 등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다른 활동은 계속하는 이를 말한다. 현실에서는 교통사고 외에도 넘어져 머리를 부딪치거나 고의적인 충격으로 두부를 다치는 경우, 수술 중 뇌의 혈류가 막혀 의식을 잃는 등 ...
-
- [과학향기 Story] 우리은하보다 230배 큰 블랙홀 제트가 발견되다!
- 바야흐로 천문학 및 우주공학의 시대다. 천문학계에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최첨단 우주 망원경을 우주로 보내고 있다. 또 지상에서는 수많은 전파 망원경들이 드넓은 우주를 밤낮 가리지 않고 관측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망원경은 우주의 여러 수수께끼를 풀어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천체를 발견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
이 주제의 다른 글
- [과학향기 for Kids] 왜 양치를 꼼꼼히 해야 할까?
- [과학향기 Story]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원숭이가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가을에는 왜 나뭇잎이 알록달록 물들까?
- [과학향기 Story] 식물인간 넷 중 하나는 당신 말을 듣고 있다
- [과학향기 for Kids] 동물들은 가족의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 [과학향기 Story] 에이즈,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 없다?
- [과학향기 for Kids]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 [과학향기 Story] 프로포폴을 맞으면 왜 정신을 잃을까?
- [과학향기 Story] 수혈 걱정 끝… 인공혈액 시대 눈 앞에?
- [과학향기 Story] 인체에서 ‘알코올’이 만들어진다?
정신없이 돌아다니고, 찍찍거리고, 질병을 옮기는 쥐들이 종족끼리는 질서가 분명하고, 부부침실과 새끼 방, 화장실과 식량창고 등이 따로 구분돼 있다니 놀랍네요. 겁없는 슈퍼생쥐 이야기도 재미있네요.
2009-04-10
답글 0
슈퍼쥐, 강철쥐 탈출하지 않게 조심하세요 ㅎㅎㅎ
2008-02-08
답글 0
저도 개인적으로 쥐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오늘 이 기사로 인해
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은 것 같습니다.
2008-01-28
답글 0
쥐가 고양이 앞에서도 무서워하지 않는다 해도 결국 고양이 한데 잡아먹히는거 아닌가????
2008-01-08
답글 0
쥐의 해 돈점 법시다 화이팅
2008-01-08
답글 0
쥐는 무서비...무서비...
2008-01-05
답글 0
필진들께서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2008-01-04
답글 0
부자되세요~
2008-01-03
답글 0
정해년이 가고 무자년이 오네요 ^^
2008-01-02
답글 0